강원도 정선의 상월산, 갈비봉, 수병산, 괘병산
강원도 정선 상월산, 갈미봉, 수병산, 괘병산
1. 산행지: 상월산 970,3, 갈미봉 1,285, 수병산 1,221, 괘병산 1,201.3
2. 위치: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가목리
3. 일시: 2016년 6월 10일(토)
4. 날씨: 맑고 덥고 옅은 박무
5. 누구랑: 나 홀로
6. 소요시간: 8시간
7. 난이도: 상급
8. 들머리/ 날머리: 가목1교(원점회귀)
9. 산행 코스: 가목1교~괘병산 갈림길~차단기~원방재~상월산~이기령~갈미봉~수병산~괘병산 갈림길~괘병산 왕복~임도~명주목이~암반~괘병산 갈림길~가목1교
10. 특징:
괘병산
괘병산(1,201.5m)은 병풍을 걸어놓은 듯 구름은 바위산위의 청송을 감싸안고 눈아래 보이는 자작나무와 고산지대 원시림의 도열이 장관이며, 동쪽에서는 해풍이 몸에 와락 와 안기는 그러한 산이 괘병산이다. 수병산(樹屛山)이라고도 하며 도전리와 가목리 일원에 있으며, 원시림이 있어 태고의 신비를 간직한 곳이다. 거대한 바위가 우뚝 솟은 정상에서는 가목리와 동해바다가 한 눈에 들어와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특히, 정상에는 공룡 발자국 모양의샘이 여래개가 있고, 또한 바다조개가 있는 것으로 보아 수억년전 바다가 융기되면서 생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전설에 의하면 인근 주민들이 가장 신성 시 한 산으로 바위가 병풍처럼 둘러져 있는 형상을 하였다하여 괘병산이라 하며, 암벽이 흰색으로 변하면 비가 온다는 이야기가 전해 온다.
갈미봉: 강원 정선군 북평면(北坪面)에 있는 높이 1,271m이다. 황병산(黃柄山)·주봉(周峰)·발왕산(發旺山) 등과 함께 백두대간의 등줄기를 이루며, 한강의 지류(支流)인 송천(松川)이 이곳에서 발원한다. 가까이에 정선아리랑(강원무형문화재 1)의 발상지인 아우라지가 있다.
이기동(耳基洞): 강원도 동해시에 있는 법정동. 행정동인 삼화동(三和洞) 관할이다. 동해시 서남부에 위치하며, 주위에 이로동(泥老洞), 달방동(達芳洞), 삼화동, 신흥동과 접하고, 서쪽으로 정선군(旌善郡)과 접경을 이룬다. 1914년 삼척군(三陟郡) 북삼면(北三面) 이기리가 되었으며, 1945년 북삼면이 북평읍(北坪邑)으로 개칭, 승격됨에 따라 북평읍 관할이 되었다. 1980년 북평읍과 명주군(溟州郡) 묵호읍(墨湖邑)이 통합되어 동해시가 신설됨에 따라 동해시 삼화동 관할의 이기동이 되었다. 북쪽 마을 달방동과의 사이에 소말산(603.9m)이 있고. 백두대간으로 가르는 서쪽의 정선군과의 경계에는 상월산(970.3m)이 있다. 이기동이라는 마을 이름이 된 귀터를 비롯하여 새골, 웃점, 관로동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출처: 위키백과)
원방재: 백두대간 백봉령과 댓재 사이에 있는 재이다.
산줄기이야기
궁금증: 어떤 자료는 수병산과 괘병산이 다른 산으로 표시되어 있고
어떤 자료는 같은 산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정상석도 따로 떨어져 있다
백두산에서 뻗어 내린 큰 줄기라는 의미를 뜻한다. 한반도의 뼈대를 이루는 산줄기로, 황해와 동해/ 낙동강 수계의 분수령이 된다. 이 산줄기는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동쪽 해안산을 따라 남쪽 지리산까지 이어진다. 총길이가 1625km이고 지리산에서 향로봉까지의 남한 구간만 해도 690km에 이른다. 각 지방을 구분 짓는 경계선은 삼국시대에는 국경으로 조선시대에는 행정 경계로 쓰였다.그리고 각지의 언어와 풍습 등이 나누는 기준도 되었다. 백두대간은 한국의 풍속, 언어 등을 이해하는 바탕이 된 것이다.
백두수병단맥
백두대간 갈미봉에서 수병산(괘병산)으로 이어지는 단맥
백두대간 길 진입
백두대간 길 탈출, 백두수병 단맥길 진입
괘병산 정상 바위에 새겨진 공룡발자국
임도
부수베리(가목리) 방향
암반(원점회귀)
에휴 누가 치우나 ㅉㅉ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