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꼴통 도요새 2016. 8. 8. 16:19


분류 낙엽 활엽 덩굴나무
학명 Pueraria thunbergiana
분포지역 전국 각지
자생지역 산기슭, 야산
번식
약효 꽃·열매·뿌리
생약명 갈근(葛根)
길이 10~20m
콩과
별칭 분갈(粉葛)·갈자근(葛子根)
채취기간 가을(꽃·열매), 가을~봄(뿌리)
취급요령 날것 또는 말려 쓴다.
특징 평온하며, 달고 약간 맵다.
독성여부 없다.
1회사용량 뿌리 20~40g, 열매 10~20g
주의사항 오래 많이 써도 무방하다.


어긋나며 3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3출 겹잎이다. 작은 잎은 마름모꼴 또는 넓은 달걀꼴로서 길이와 나비가 각각 10~15c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얕게 3갈래로 갈라지고 끝이 뾰족하다.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돈다. 잎자루는 길이 10~20cm이고 털이 있다. 댓잎피침형의 턱잎이 중앙 부근에 붙어 있다.


7~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에 홍자색 꽃이 많이 달려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피는데 큰 꽃잎의 가운데 부분은 황색이다. 꽃턱잎은 선형이고 긴 털이 있으며 곧 떨어진다. 작은 꽃턱잎은 좁은 달걀꼴 또는 넓은 댓잎피침형이다. 꽃받침은 불규칙하게 5개로 갈라진다.


열매

9~10월에 협과가 달려 익는데 꼬투리는 넓은 선형으로 편평하며 갈색 털이 촘촘히 난다.



특징 및 사용 방법

흑갈색의 줄기가 길게 뻗으면서 자라 다른 초목들을 감고 올라간다. 줄기는 매년 자라서 굵은 줄기를 이루기 때문에 나무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줄기가 겨울에도 얼어죽지 않고 살아남지만 끝 부분은 겨울 동안에 말라 죽는다. 줄기에 갈색 또는 흰색의 퍼진 털과 뒤로 구부러진 털이 많다. 뿌리가 굵고 깊게 들어가는데 그 속에 녹말이 많이 들어 있다. 뿌리를 갈근, 뿌리로 만든 녹말을 갈분(葛粉)이라 하며 식용 또는 약용한다. 어린잎은 봄에 따서 나물을 해 먹고, 뿌리는 이른 봄이나 늦가을에 녹말로 만들어 떡이나 과자를 해 먹는다. 꽃은 말려서 나물에 쓰고, 가루를 만들어 술에 타 먹으면 취기를 덜 수 있다. 덩굴의 속껍질은 청올치라 하며 끈으로 쓰거나 피륙을 짠다. 또한 칡은 잎이 크므로 생초나 건초를 많이 얻을 수 있어 예로부터 가축의 먹이로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다만, 복용 중에 살구 씨를 금한다. 또한 산에서 대변을 보고 칡 잎으로 밑을 씻으면 치질에 걸릴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효능

주로 소화기·신경계·순환계 질환을 다스리며, 열증을 풀어 준다.

관련질병: 가슴답답증, 감기, 강장보호, 견비통, 경련, 고혈압, 관격, 관절통, 광견병, 구역증, 구토, 근육통, 금창, 냉한, 뇌빈혈, 당뇨병, 대변불통, 독기 잘 타는 피부, 동맥경화, 두통, 두풍, 발열(신열), 변혈증, 부종, 불면증, 비사증, 산후식욕부진, 설사, 소갈증, 숙취, 식욕부진, 식체(어류(물고기)-바닷물고기, 술), 신경통, 심기증, 심장병, 암(위암), 액취증, 온신, 위염, 유행성감기, 음종(남성외음부부종), 이롱·난청, 이완출혈, 일사병·열사병, 자한, 장염(급성장염), 장출혈, 장풍, 적면공포증, 종창, 주독, 주황병, 중독(과일중독, 식중독, 아편중독, 알코올중독, 약물중독), 중풍, 진정, 진통, 출혈, 충수염, 취한, 탄산, 태양증, 편도선염, 풍독, 풍한, 피부소양증, 한진, 항강, 해수, 해열, 행혈, 현훈증, 협심증
소아질환: 소아마비, 토유, 홍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