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 양천산, 봉화산, 문안산
진천 양천산, 봉화산, 문안산
1. 산행지: 양천산(凉泉山, 350m),문안산 (文安山, 412m), 봉화산
2. 위치: 충북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 은탄리, 사양리에 걸쳐 있는 산.
9. 산행코스: 옥성삼거리 → 옥성저수지 → 임도 → 양천산 → 그럭재 → 임도 → 차도 → 파재마을 → 문덕리 → 진천화랑공원
거리: 15.77km(시간: 4시간 35분)
10. 특징:
양천산
‘찬물이 솟는 샘이 있는 산’이어서 붙인 이름이다. 양천을 양천(良泉)으로 보아, 산 정상에 좋은 샘이 있어 붙인 이름이라고도 하고, 양을 양씨(梁氏)의 양으로 보아, 양씨 성을 가진 사람 1,000명이 피난한 곳이라 하여 붙인 이름이라고도 한다. 또한 양천(養千)으로 보아, 임진왜란 때 마을 사람을 구해 준 산이어서 붙인 이름이라고도 한다. 산세가 달리는 말의 형상을 한 분마형(奔馬形)으로 정상은 평원이며, 산중턱에 석지(石池)가 있어 찬물이 그치지 않고 솟아난다. 옥성교에서 그럭재마을을 지나 정상에 오르면 사양저수지가 내려다보이고, 사미마을 쪽으로는 경사가 가파르다. 문백면 중앙부에 돌출되어 있는 산으로 해발 고도 350m이다. 산 정상에는 임진왜란 때 주민들이 피난했던 양천산성(凉泉山城)이 있다. 둘레 약 320m의 토성으로 임진왜란 때 중수했다고 하는데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봉화산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사석리에 위치하고 있는 산.
조선시대 봉수대가 있던 산이라고 하여 봉화산, 봉화뚝으로 불리운다. 소나무가 무성한 솔산에서 연유된 것으로 보이는 지명으로 소을산(所乙山), 소인산(所仁山), 소을산(蔬乙山), 소월산(所月山) 등이 있다. 진천군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산으로 문안산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산이다. 남쪽으로는 미호천을 둘러싼 평야와 청주 방면이 보이고, 북쪽으로는 진천읍내가 조망된다. 산 정상에 소흘산(所訖山) 봉수대라고도 불리우는 봉화산 봉수 터가 있어 남쪽으로 청주의 거차대산(巨次大山)의 봉수를 받아 북쪽으로 충주의 망이산(望夷山) 봉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해주었다.
문안산
충북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와 사석리, 행정리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산.
산의 모양이 노적가림처럼 생겼다 하여 노적봉이라고도 하나 이 산의 맞은 편 산인 봉화산(烽火山)의 안에 있다하여 문안산이라 하였다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문안산(文案山)으로 쓰고 있고, 또문한산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진천군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산으로서쪽의 태령산, 동쪽의 봉화산으로 이어지는 줄기가 백곡천과 성암천의 분수계가 되어 진천읍의 생활권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문안산에는 문안산성이 위치하고 있는데 1.2㎞의 돌로 쌓은 성으로 신라에서 변방을 지키기 위하여 군사를 머물게 했던 곳이라 한다. 현재는 중요한 군사시설이 있어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고 있다. 봉화산과 사이에 잣고개가 위치하고 있어서 진천군의 남쪽 관문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진천읍에서 승용차로 약 10분이 소요된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17번 국도를 따라 달리다 옥성교차로에서 옥성삼거리로 내려와 석복 버스승강장 옆 공터에 차를 세웠다.
산줄기이야기
금북만뢰단맥
금북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분기하여 흐르며 서운산에서 성거산으로 가면서 엽돈재에서 남쪽으로 약0.3km 올라간 천안시 입장면 북면 진천군 백곡면의 삼면 지점에서 동남방향으로 금북만뢰지맥이 분기하여 흐르다가 진천군 백곡면 진천읍 천안시 병천면의 삼면 지점에서 금북만뢰지맥은 남쪽으로 흘러가고 한줄기를 동쪽으로 분기하여 만뢰산 정상을 치닫는다. 진천군 백곡면과 진천읍의 경계를 따라 萬筋산(△612.2)-갈미봉-쥐눈이안부-△366봉(3.8)-胎靈산(450)어깨-동골도로(230)에서 진천읍을 가르며 동진한다. △330.9봉(3/6.8)-文案산(410)을 지나-17번국도 잣고개(190, 2/8.8)로 내려선다峰火산(△411.2)-△346.9봉(2.3/11.1)에서 진천군 문백면을 가르며 한티고개(230)-7번군도 파재고개(270, 1.9/13)-그럭재 임도(210, 1.5/14.5)-凉泉산(△350.9)-주라골임도(210, 1.5/16)를 지나 3번군도 느랭이고개(170, 2.4/18.4)로 내려선다. 佛堂산(△246.8, 2.2/20.6)-188봉-허고개(70, 4.2/24.8)-중부고속도로를 지나 논두렁 밭두렁으로 이어져 만뢰산이 발원지인 성암천이 미호천물이 되는 곳(50, 3.5/28.3)에서 끝이나는 약28.3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산경표따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