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평의 삼보산
증평의 삼보산
1. 산행지: 삼보산(三寶山, 273m), 삼밭랭산(170m), 선반다리봉(247.5m)
2. 위치: 충북 증평군 증평읍
3. 일시: 2016년 9월 14일(수)
4. 날씨: 맑고 후덥지근
5. 누구랑: 나 홀로
6. 소요시간: 3시간
7. 난이도: 중급
8. 들머리/ 날머리: 증평역/ 장내마을(수살리 삼거리)
9. 산행코스: 증평역 - 지하차도 - 삼밭랭산(운동시설) - 사각정자 - 선반다리봉(운동시설) - 쉼터봉 - 삼보산정상 - 무명봉 - 초정고개 - 지방도 - 장내마을 수살리 버스정류장
수살거리[장내마을에서 증평역까지 택시 요금\10,000원]
10. 특징:
삼보산: 증평군 증평읍 죽리 초등학교에서 서남으로 700m 쯤에 우뚝 솟은 삼보산은 정상의 남쪽은 청원군 북일면이고 서쪽은 북이면이며 동쪽과 북쪽은 증평군 증평읍이다. 삼보산은 이름 그대로 3가지 보배를 가지고 있는데 첫째 보배는 이 산맥에서 탄산약수가 솟아 나고 있음이니, 청원군 북일면 초정리 천연약수는 옛날부터 유명하여 많은 인파가 이 곳을 찾으며, 증평군 증평읍 남하리 탄산수도 위장병과 피부병에 유효하다 하여 복용객이 많다. 또한 두번째 보배는 이 산에 금광석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안동김씨의 종산이여서 그들 조상 누대의 묘소로 되어 있어 개광을 아니하고 있다 한다. 세번째 보배는 이 산맥에서 나오는『산골』이란 광물질 약인데 청원군 북일면 호명리에서 나는 이『산골』은 골절 되었을 때 접골치로 쓰이며 풍치통일때 담배에 섞어 피우면 진통에 유효하고 강정제로도 좋다고 한다.(참고: 두산백과)
우리산줄기이야기
한남금북(초정,삼보, 증평)단맥
한남금북정맥 구녀산 북동측 0.7km 지점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상당구 미원면, 증평읍의 삼경봉인 등고선상450봉을 조금 내려가다 살짝 오른 곳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내수읍과 증평읍의 경계를 따르며 △302.8m 지점 (1.5)-540번지방도로 초정고개(150, 1.5/3)-원골고개(170)-△202.2봉(1.5/4.5)-비학골고개(170)-삼보산(270, 1.3/5.8)-서당골(염골)고개(190, 0.5/6.3)-선반다리고개(210, 0.7/7)-선반다리봉(250, 0.7/7.7)을 지나 도면상247.5봉에서 산줄기가 2갈래로 분기를 한다
첫번째
경계능선을 버리고 좌측 동쪽으로 분기하여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을 남북으로 나누며 대체적으로 동진을 하며 광암리 광암마을 삼거리(90, 1.8/9.5) 이후 도면상으로 보면 밭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가다가 논으로 내려가 보강천이 미호천을 만나는 곳까지 그려볼수 있는데 거의 밭 아니면 도로를 따르게 된다 즉 이론상으로는 마루금이 존재하지만 실제로는 이어가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암튼 도면상으로 능선을 계속 이어가면 충북선 철로를 건너 북이초교(90, 1.6/11.1)-△112.9봉(1.8/12.9)-삽다리(70, 2.2/15.1)-석성초교(70, 2/17.1) 인근에서 다시 두갈래로 갈라지는데 청주시 청원구 석성리 화순이마을을 지나 보강천이 미호천을 만나는 곳(50, 3.5/20.6)에서 끝나는 약20.6km의 산줄기이거나 상당구 외하동 석화천이 미호천을 만나는 곳(50, 6/23.1)에서 끝나는 약23.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두번째
경계능선을 계속따라가다 증평읍내로 들어가 삼밭랭산(170, 1.8/10.5)-증평역(70, 1.6/12.1) 이후 증평시내를 관통하여 증평읍 증평리 장동마을에서 논두렁으로 진행해 안봉천이 보강천을 만나는 곳(50, 1.5/13.6)에서 끝나는 약13.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출처: 산경표따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