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난함산, 문암봉, 극락산
김천 난함산, 문암봉, 극락산
1. 산행지: 난함산(733.4m), 문암봉(589.5m),극락산(498.6m)
2. 위치: 경북 김천시 어모면 은기리와 봉산면 상금리의 경계에 있는 산.
9. 산행코스: 각골교~다리건너~삼거리(우)~동화나라(어린이집)~세멘길끝지점~좌측가지능선으로올라서~지금부터숲길(능선산행)~정씨묘~조씨묘~(준)임도합류—다시능선~극락산(삼각점=498.6m)~장등고개(임도)~안부(사거리)~주능선(삼거리)=(문암봉갈림길)--좌측산행~난함산(문암봉=3.5k봉계초교8.6k)~다시뒤돌아~주능선(삼거리=원위치)~임도(문암봉=1.8)~능선산행~안부(삼거리)=직진~문암봉(삼각점=589.5m)`(봉계초교=5.2k)~삼거리(애기봉갈림길)~H장~(전망테크)~삼거리(좌)~안부(사거리)~운동기구~삼거리(좌)~조씨묘~쌍묘~사거리(우)~세멘길과합류~세멘길따라서~주거밀집지역~삼거리(좌)~봉계교회~온누리할인마트(각골교) [소요시간 6시간 30분]
10. 특징:
남함산
난함산(卵含山)은 김천시 어모면 은기리 봉황마을에서 서쪽으로 약 2.1㎞, 봉산면 상금리 사기점마을에서 북동쪽으로 약 1.8㎞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 정상부 높이 약 733.4m의 봉우리이다. 난함산은 속리산에서 추풍령으로 내려오는 백두대간 마루금으로부터 약 550m 떨어져 있다. 김천시 어모면과 영동군 추풍령면 사이의 행정 경계인 백두대간 마루금은 북에서 남으로 이어지다가 난함산 부근에서 서쪽으로 방향이 바뀌게 된다. 난함산(卵含山)이라는 명칭은 알을 품고 있는 것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난함산 정상은 난함산 북쪽의 백두대간 마루금보다 오히려 더 높은 고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김천시 북부에서 눌의산과 함께 700m 이상의 도고를 갖는 봉우리이다. 난함산의 동사면과 북사면에서 발원한 하천은 아천이 되어 감천에 유입되고, 서사면과 남사면에서 발원한 하천은 직지천을 지나 역시 감천에 유입된다.
산줄기이야기
백두난함단맥
백두대간이 속리산을 지나 남진하면서 상주땅을 지나 추풍령으로 가기전 영동군 추풍령면과 김천시 어모면, 봉산면의 삼면의 경계에 있는 등고선상730봉에서 백두대간은 도경계를 따라 서쪽으로 흘러가고 한줄기를 남쪽으로 분기하여 김천시 봉산면과 어모면의 경계를 따라 卵含산(△733.4, 0.4)-임도(450)-아천고개(450, 2.5/2.9)-門岩봉(△589.7, 0.7/3.6)-노곡고개(190, 2.3/5.9)-332봉(삼거리봉, 1.7/7.6)에서 남쪽으로 약0.2km(7.8)정도 내려가다 길은 2갈래로 나누어진다. 한갈래는 계속 남쪽으로 진행해 △310.8봉(1.3/9.1)-3번국도 경북선철로 교차점 금음교(90, 1/10.1)를 지나 시내 한복판을 가르며 삼애농장 도로(90)를 지나 59번국도 경부선 철로가 만나는 곳(90, 2.5/12.6)을 지나 황악산이 발원지인 직지천이 감천을 만나는 곳(90, 0.2/12.8)에서 끝나는 곳으로 가는 산줄기다. 다른 한줄기는 북동쪽으로 흘러 김천~어모간고속도로(130)-3번국도 남산고개(130, 1.2/9)-KCC공장 김천산업단지를 관통해 경북선 철로(90, 1.2/10.2)-廣德산(228, 1/11.2)-△200.7봉-913번지방도로 묘망고개(90, 1.7/12.9)-59번국도(1.5/14.4)를 지나 김천시 개령면 황계리 아천이 감천을 만나는 곳(70, 1.3/15.7)에서 끝나는 약15.7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산경표따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