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은행
분류 | 은행나무과(Ginkgoaceae) |
---|---|
서식지 | 산지 |
학명 | Ginkgo biloba L. |
본초명 | 백과(白果) |
분포지역 | 절, 부락, 길가에 식재, 원산지(중국) |
은행나무는 지구상에 약 2억년가량 존재해온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할 수 있는 생물이다. 은행나무는 암, 수나무가 따로 있으며 10월부터 암나무의 종자가 황색으로 익으면서 땅으로 떨어진다. 종자의 바깥쪽에는 과육처럼 보이는 이취가 있는 외피로 이루어져 있고 안쪽에는 단단한 종자의 껍질이 있다. 이를 제거하면 얇은 연갈색의 내피에 싸여 있는 노란색의 종자가 나오는데, 이를 은행이라 한다.
종자는 볶아먹거나 전골 등 여러음식의 고명으로 이용된다. 중국에서는 '루한차이'라는 야채요리에 사용되고, 일본에서는 '차완무시'라는 달걀찜 요리에 사용되기도 한다. 기침, 천식 등 기관지계통질환에 효과가 있고 혈전 분해 성분이 있어 혈액순환에 좋다
독성
은행은 익혀먹으면 쫄깃한 식감과 고소한 풍미가 있지만, 메틸피리독신이라는 독성물질이 있어 과량 섭취할 경우 중독으로 간질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성인은 하루 은행 10개 내외, 유아는 은행 2개 정도로 제한하는 것이 좋고, 정기적인 섭취는 피하는 것이 좋다. 한편, 은행에는 혈전분해성분이 있어 평소에는 혈액순환을 돕지만, 수술을 앞둔 사람은 3일전 섭취를 중단해야 한다.
낙엽성 활엽 교목
잎은 단엽, 호생 또는 총생 배열, 엽연은 깊은 거치연 또는 2갈래로 열편, 엽병은 4~6cm, 차상분지맥, 엽신은 역삼각형, 분백색
꽃은 단성화, 4~5월 개화
수꽃은 수상화서, 화서의 길이 3~4cm, 2-6개
암꽃은 화경이 길고 배주는 쌍으로 달림, 암술은 2심피
과실은 핵과, 9~10월 노란색 성숙, 원형
종자는 1개.
화분은 단립
모양은 배모양
극축길이는 32-38㎛, 적도면지름은 17-21㎛
발아구는 단구형
표면무늬는 미립상.
열매가 살구(행 杏)를 닮았으나 표면에 은백색의 가루를 덮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나무를 심은 사람이 나무의 결실을 보지 못한채 죽고 손자대에 가서야 결실을 본다고 공손수(公孫樹)라고도 한다
민속·속담·격언
향교, 문묘, 서원에 심어 위엄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은행나무는 불이나면 줄기에서 물을 뿜어 불을 끈다는 말이 전하여 진다. 시집가는날 새벽에 어머니가 볶은 은행을 딸에게 먹이는 풍습이 있다. 나라의 큰 길흉사가 있을 때면 미리 밤마다 윙윙 소리내어 운다. 오줌싸개 아이는 은행나무의 열매를 먹고 오줌싸는 버릇이 고쳐졌다. 부부의 금슬에 문제가 있는 사람은 은행나무앞에서 사랑을 다지면 금슬이 회복된다.
용도
원예 및 조경수 : 단풍이 아름다워 정원수나 가로수로 심는다.
식용 : (종자) 종자를 구워서 식용한다.
가구용 : (목재) 가구를 만드는데 사용한다.
약용 : (종자) 해수, 가래, 천식에 사용한다. (잎) 동맥경화와 심장병 치료에 사용한다.
성분
전분, 당분, 벤토산, 지방유, cytokinin 등이 들어있다.(출처: 다음백과)
특기사항
1. 천연기념물 제30호
☞경기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산 99-1, 용문사의 은행나무
2. 천연기념물 제59호
☞서울시 종로구 명륜동 3가 52 성균관대, 서울 문묘의 은행나무
3. 천연기념물 제64호
☞경남 울주군 두서면 구랑리 860, 두서면의 은행나무
4. 천연기념물 제76호
☞강원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 139, 영월의 은행나무
5. 천연기념물 제84호
☞충남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 329-8, 금산 행정의 은행나무
6. 천연기념물 제90호
☞전남 보성군 벌교읍 고읍리 799, 벌교의 은행나무
7. 천연기념물 제165호
☞충북 괴산군 청안면 읍내리 221-2, 읍내리의 은행나무
8. 천연기념물 제166호
☞강원 명주군 주문진읍 장덕리 643, 주문진 장덕리의 은행나무
9. 천연기념물 제167호
☞강원 원성군 문막면 반계리 1495, 반계리의 은행나무
10. 천연기념물 제175호
☞경북 안동군 길안면 용계리 943, 용계의 은행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