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일락산
서산 일락산
1. 산행지: 일락산(日樂山, 516m)
2. 위치: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와 해미면 황락리의 경계에 걸쳐 있는 산
3. 일시: 2017년 1월 1일(일)
4. 날씨: 흐리고 따스함
5. 누구랑 나 홀로
6. 소요시간: 1시간 50분
7. 난이도: 초급
8. 들머리/ 날머리: 일락사 가기전 주차장(원점회귀)
9. 산행코스: 일락사 가기 전 주차장~일락사 주차장~일락사 좌측 등산로 진입~정상~가야산 석문봉 방향~임도~일락사 주차장~일락사 가기전 주차장
10. 특징:
일락산(日樂山)은 일악산(日岳山)이라고도 불린다. 일락산이란 볕을 즐기는 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일락산은 가야산에서 북서북으로 갈라져 나가 형성된 산줄기 중에 가장 높은 산이며, 중생대 쥐라기 대보 조산 운동 말기에 화강암이 관입하여 형성된 대보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락산 주변은 상왕산, 감투봉, 매봉재 등으로 둘러싸여 있는 동고서저형 경사를 보이고 있다. 일락산의 완만한 남사면에는 일락사, 급경사인 동북 사면에는 용현계곡, 서쪽에는 개심사가 있다. 일락산은 울창한 숲길의 용현계곡, 용현자연휴양림이 있으며, 산 정상과 정자 전망대에서는 서산과 당진의 넓은 평야, 서해 등을 조망할 수 있다. 등산 코스는 덕산면 수덕산에서 석문봉을 거쳐 오르는 코스와 해미면 황락리 쪽에서 일락사를 오르는 코스가 있다. 일락산의 남서쪽에 위치한 일락사는 신라 시대인 663년(문무왕 3)에 의현선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진다. 수덕사(修德寺)의 말사이며, 조선 전기까지는 일악사(日岳寺)라고 하였다. 북동쪽의 용현계곡을 내려가면 용현자연휴양림, 서산 보원사지, 서산 마애삼존불상 등 문화 자원이 풍부하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산줄기이야기
금북정맥(錦北正脈)은 한반도 13정맥(正脈) 중 하나이다. 백두대간(白頭大幹)의 속리산(俗離山)에서 시작된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이 안성시(安城市) 칠장산(七長山)에서 금북(金北)·한남(漢南)으로 갈라지면서 칠장산(七長山, 516m)에서 시작된 산세가 태안반도(泰安半島) 지령산(知靈山, 218m)에 이르러 산세를 끝낸다. 그 길이가 약 240㎞에 이른다. 북서로는 안성천(安城川)·삽교천(揷橋川)을 아우르고 남으로 길게 이어진 사면을 따라 금강(金江)이 흐른다.‘금북정맥’이라는 이름은 금강의 북측에 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금북정맥(錦北正脈)은 한반도 13정맥(正脈) 중 하나이다. 백두대간(白頭大幹)의 속리산(俗離山)에서 시작된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이 안성시(安城市) 칠장산(七長山)에서 금북(金北)·한남(漢南)으로 갈라지면서 칠장산(七長山, 516m)에서 시작된 산세가 태안반도(泰安半島) 지령산(知靈山, 218m)에 이르러 산세를 끝낸다. 그 길이가 약 240㎞에 이른다. 북서로는 안성천(安城川)·삽교천(揷橋川)을 아우르고 남으로 길게 이어진 사면을 따라 금강(金江)이 흐른다.‘금북정맥’이라는 이름은 금강의 북측에 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山經表(산경표)』에 기록되어 있는 산명은 다음과 같다.(출처: 위키 백과)
- 칠장산(七長山, 516m)
- 칠현산(七賢山:516m)
- 청룡산(靑龍山:400m)
- 성거산(聖居山:579m)
- 차령(車嶺)
- 광덕산(廣德山:699m)
- 차유령(車踰嶺)
- 국사봉(國師峰)
- 청양 백월산(白月山:395m)
- 오서산(烏棲山:790m)
- 보개산(寶蓋山:274m)
- 월산(月山:395m)
- 수덕산(修德山:495m)
- 가야산(伽倻山, 678m)
- 팔봉산(八峰山, 362m)
- 백화산(白華山:284m)
- 지령산(知靈山:218m)
- 안흥진(安興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