꾀꼬리산, 수한산
꾀꼬리산, 수한산
1. 산행지: 꾀꼬리산(271m), 수한산(물한산 280m)
2. 위치: 충남 아산
9. 산행코스: 탕정면사무소 ~ 탕정중학교 ~ 호산 ~ 국사봉 ~ 꾀꼬리산 ~ 수한산(물한산) ~ 현충사 ~ 탕정면사무소(약 5시간)
10. 특징:
꾀꼬리산
충청남도 아산시의 응봉면 송촌리에 있는 산이다(고도:271m). 물한산(수한산)의 동쪽 봉우리가 되며 꼭대기에 돌로 쌓은 성이 있다. 꾀꼬리산으로 부르게 된 내력을 확인할 수 없으나 '꾀꼬리 앵(鶯)'자를 붙여 앵리산성 또는 앵성, 꾀꼬리성이라고도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앵리산성(鶯里山城)은 현 동쪽 20리에 있다. 돌로 쌓았으며, 주위가 655척에 높이는 7척인데, 지금은 못쓰게 되었다."라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옛날 남매장사가 있어서 성 쌓기 내기를 하였는데 남자는 물한성을, 여자는 꾀꼬리성을 쌓기로 하여 남자가 이겼다는 전설이 있다
현충사
충무공 이순신이 전사한 지 100년 뒤인 숙종 32년(1706년)에 세워진 충무공의 사당으로 현충사란 이름도 숙종이 친히 내린 것이다. 일제 강점기에는 일제의 탄압으로 향불을 피워 올리지 못하다가 1932년 전 국민의 성금을 모아 현충사를 보수하고 영정을 다시 모셨다. 1966년부터 1974년까지 사당의 규모가 확장되어 국민의 성지로 가꾸어졌다. 현충사 부근에는 이순신 장군의 외가가 있는데 어린 시절부터 무과에 급제할 때까지 이곳에서 자랐다고 한다. 붉은색 홍살문이 성역으로 들어서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고 충의문을 지나 충무공의 영정을 모신 본전으로 들어서면 이순신 장군의 영정과 함께 일생을 기록한 십경도가 있다. 본래의 사당은 유물관 옆으로 옮겨져 있으며 현재의 사당은 1967년 새롭게 준공한 것이다. 유물관에는 국보 제76호로 지정된 《난중일기》와 《서간첩》, 《임진장초》를 비롯해 보물 제326호로 지정된 이순신 장군의 친필 검명이 새겨진 장검(長劍) 두 자루와 도배구대 한 쌍, 옥로, 요대, 무과급제 교지, 사부유서, 증시교지 등의 유품과 각종 무기, 거북선 모형 등이 전시되어 있다. 야외에는 충무공이 혼인하여 살았던 옛집과 임금이 있는 북쪽을 피해 늘 남쪽을 향해 활쏘기 연습을 했다는 활터 등도 복원되어 있다. 충무공의 묘소는 현충사에서 9㎞ 떨어진 어라산에 모셔져 있으며 매년 충무공의 탄신기념일을 전후로 해서 아산성웅이순신축제가 열린다.
지중해마을
충남 아산시 탕정면에 조성된 지중해마을은 이국적인 유럽풍 건물이 모여 지중해의 작은 시골 마을을 연상시키는 곳이다. 마을은 도로를 사이에 두고 남서쪽은 붉은 지붕의 성곽 형식이 두드러진 남프랑스의 프로방스 풍으로 꾸며져 있고, 남동쪽은 원형의 파란 지붕과 하얀 벽이 화사한 그리스 산토리니를 모델로 했다. 지중해마을에서 가장 인기있는 곳은 포토존이다. 천사의 날개, 등대 모양의 빨간 우체통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다. 디자인과 색감이 독특한 건물들을 구경하고, 아기자기한 골목을 걷는 즐거움이 크다. 카페, 소품점, 옷가게 등 여러 매장이 있고, 주말이면 유럽식 물물교환장터인 '블루마켓'이 격주로 열려 물품 구매와 공연 관람까지 할 수 있다. 블루마켓에서 지역 농산물, 특산물, 수공예 창작품 등 물건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는 입소문이 퍼지면서 관광객들이 갈수록 늘고 있다. 독특한 마을 축제와 게스트하우스도 눈길을 끈다. 지중해 마을은 그리 크지 않은 규모이므로 인근의 곡교천과 현충사를 함께 둘러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산줄기이야기
금북영인수한단맥
영인지맥 屯德山(230)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628번 지방도로 물너목 고개(90, 0.7)-수한산(물양성, 290, 1.2/1.9)-꽤꼴성(250, 1.5/3.4)-장무기도로(90, 1.9/5.3)-國師봉(△154, 1/6.3)-정좌미도로(70, 1.5/7.8)를 지나 장고개도로(70, 1.7/9.5)로 내려선다. 三峰산(△132.9, 0.4/9.9)-선문대학-106봉을 지나 매곡천이 곡교천을 만나는 곳(20, 2.3/12.2)에서 끝이나는 약12.2km의 산줄기에 이름이 없다 그래서 도면상 그 산줄기중 가장 높은 산인 물양성의 이름를 빌어 영인지맥에서 분기하였음으로 금북영인물양단맥이라고 불러도 상관은 없는 일이나 그 이름이 어느 하나로 통일되지 않고 5만지형도에는 “물양성” 현지 안내판에는 “물앙산성 물한산(수한산) 물한산성 수한산성” 등으로 불리고 있으며 영진 5만지도에는 “물한산성 수한산”이라 표기가 되어 있어 상당히 헷갈리고 있어 이것 저것 다 빼고 산이름만은 “수한산”이라고 표기가 되어있어 그 이름을 빌어 금북영인지맥에서 분기하였음으로 금북영인수한단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산
屯德산(230) : 아산시 음봉면
수한산(290) : 아산시 음봉면, 탕정면
꽤골성(250) : 아산시 음봉면, 탕정면
國師봉(△154.7) : 아산시 음봉면, 탕정면
三峰산(△132.9) : 아산시 탕정면 (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