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익산 미륵산 용화산 용리산

꼴통 도요새 2017. 2. 14. 05:38

익산 미륵산 용화산 용리산

 

 

1. 산행지: 미륵산(山,430m),  용화산(,342m), 용리산(306m)

2. 위치: 전북 익산시 금마면

3. 일시: 20172월 12일(일)

4. 날씨: 맑고 찬 바람

5. 누구랑: 나 홀로

6. 소요시간: 4시간 40분 소요

7. 난이도: 중급

8. 들머리/ 날머리: 미륵사지 주차장(원점회귀)

9. 산행코스: 미륵사지 주차장~미륵사지 구경~사자암~미륵산 정상~KBS 송신소 가기 전 헬기장에서 우측 날머리~아리랑 고개~용리산 갈림길~용리산 왕복~용화산~서동공원 방향~헬기장 밑 우측 날머리~약수터~도천리 마을회관~사자암 2km 표지석~동천마을 표지석~신기마을 표지석~미륵사지 주차장

10. 특징:

미륵산

미륵사지를 감싸고 있는 산, 미륵산은 금마에서 북쪽으로 8리 정도의 거리에 금마면, 감기면, 낭산면에 걸쳐 있는 높이 430m의 산으로 옛날에는 이산의 동쪽에 이어져 있는 높이 350m정도의 낮은 산봉까지를 포함하여 용화산이라 불렀으나 지금은 구분하여 미륵사지가 있는 북쪽은 미륵산이라 하고 나머지 지역은 용화산이라 하고 있다. 미륵이나 용화는 모두 미륵신앙과 관련이 있는 명칭으로써, 원래는 용화산이라 하던 것이 미륵사가 지어지면서 그 주변산만을 미륵산이라 칭한 것이라 보인다. 이 산은 천호산의 줄기가 동서로 가로질러 이룬 산으로 북으로는 황산벌이 보이고 남으로는 멀리 호남평야를 바라보는 평지에 우뚝 솟아 있으며, 이산에서 발원하는 도천, 부상천, 궁평천, 등은 만경강의 상류를 이루며, 서해안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 산의 최고봉을 운제봉이라 하고 조금 낮은 앞 산봉을 장군봉이라 하는데, 장군봉에는 마치 장군이 투구를 쓴 것 같은 모양으로 생긴 까닭에 투구 바위라고 부르고 있는 바위가 있다. ‘여지승람’ 익산군 산천조에서는 “장군봉은 용화산에 있는데, 남쪽에 있는 바위에는 두어말의 기름을 녹일 수 있는 구멍이 파져 있어 이 바위를 등잔암이라 한다”고 하는 기록이 보이는데, 여기서 말하는 등잔암은 지금의 장군봉 산정에 있는 투구바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산의 남록에 있는 거북바위를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거북바위에는 가로 70cm 세로50cm 정도의 구멍이 파여져 있다(출처: 두산백과)

용화산

전라북도 익산시의 왕궁면 용화리와 금마면신룡리 경계에 있는 산이다(고도:342m). 『신증동국여지승람』(익산)에 "미륵사는 용화산()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해동지도』(익산), 『해동지도』(여산), 『1872년지방지도』(익산), 『조선지지자료』(익산)에 '용화산()'이 기록되어 있다. 『신구대조』(익산)에는 제석면 신사동과 화곡리 등을 통합하여 '용화리'를 신설한 사실이 수록되어 있다. 여기서 산 지명인 용화산에서 촌락 지명 '용화리'가 파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지명총람』에도 '용화산, 용화리'가 표기되어 있다.(출처: 네이버)

 

산줄기이야기

 

금남기맥

금남정맥 왕사봉에서 군산 금강하구까지 약97km 구간을 말한다. 왕사봉, 불명산, 장재봉, 남당산, 작봉산, 까치봉, 천호산, 용화산, 미륵산, 함라산, 봉화산, 망해산, 취성산, 용천산, 대명산, 고봉산, 용화산, 청암산, 돗대산, 석치삼, 점방산, 장계산등이 있다.(출처: 위키백과)

 

※ 에휴 환장하겐네

여기도 산이름이나 산줄기명이 골치 아프네 

 

1. 산줄기명에 문제점:

   인터넷을 디졌더니, 

위키백과는 금남기맥, 인터넷에서 발췌한 지도에는 금강정맥, 또 다른 자료에는 대동금남정맥 또 다른 자료에는 금강기맥 

ㅎㅎㅎ 당췌 뭐가뭔지 기가 맥히네,

 

2. 산 이름에 문제점:

   다음 지도에는 용리산 표시가 없고또 다른 지도에는 용리산 표시가 되어 있고, 없고 난리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