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지도
보령 당경산, 해망산, 생앵산
꼴통 도요새
2017. 2. 28. 16:09
보령 당경산, 해망산, 생앵산
1. 산행지: 당경산(180.2m), 해망산(130m), 생앵산(90m)
2. 위치: 충남 보령시 남포면
참고 사항:
보령시 대천역에서 대천항을 가는 77번국도 어름 어디다 차를 세우고 도로 따라가 금북기맥성주대천단맥 당경산을 하시고 대야곡마을로 해서 산줄기 하나를 넘어서 해망산 생앵산 하시고 아무곳으로나 내려가 대천항에서 10분마다 있는 시내버스를 타고 차를 회수하면 되는 코스
8. 산행코스: 남포 읍내리버스정류장-자동차전용도로IC-고야실마을 삼거리-성주지맥 분기점-고야실마을 삼거리-자동차전용도로 지하통로-능선삼거리-폐산업철도-72봉-보령시민장례식장-봉덕버스정류장-대덕경로당-화덕교회-서해안고속도로-봉덕삼현버스정류장-서해안고속도로 지하통로1-화가재-당경산갈림길-당경산-당경산갈림길-화가재 시온수양관-서해안고속도로-서해안고속도로 지하통로-50m 안부-철로밑-봉덕1리경로당 고루머리마을
보령시 남포면 봉덕1리 대덕마을석 장항산철로밑-50m 십자안부-대천여상-서해안고속도로-148.3봉-왕대산분기봉-대야곡고개-대천산업단지 36,77번국도 대천김홍보관-114.3봉-해망산-삭골고개 삼거리-115봉-생앵산-36,77번국도신흑8통 대천항
9. 특징:
해망산(海望山)
보령시의 신흑동의 「고새울」 동북쪽에 있는 산을 해망산(海望山)이라고 부른다. 옛날 오랑캐들이 수시로 백성을 괴롭히기 위해 서해(西海)로 침범해 옴으로 이 산에 군사를 배치하고 망보게 한 산이다. 바다가 멀리까지 훤히 바라다 보이는 산이라 하여 해망산(海望山)이라고 부른다. 대천해수욕장의 동쪽인 대천항과 연접되어 자리 잡고 있으며, 전 등산코스가 완만하여 쉽게 정상부까지 오를 수 있다. 정상부에는 운동시설과 벤치가 구비되어 있어 운동을 하거나 휴식을 취하면서 대천해수욕장 및 대천항, 서해바다를 조망할 수 있다. 정상과 헬기장 가는 2개의 코스가 있다. 정상으로 가는 코스는 대천해수욕장을, 헬기장가는 코스는 대천항을 조망할 수 있다.
왕대사 (王臺寺)
왕대산 북서쪽 중턱에 자리잡고 있으며 옛 지리서에 소개되는 것으로 보아 아주 오랜 절이다. 절 앞마당 주변은 암벽으로 되어있으며 암벽에 미륵불이 새겨져 충청남도 문화재 자료로 지정되었다. 암벽 틈에는 고란초가 자란다.
왕대산 (王臺山)
내항동과 남곡동의 경계에 있는 산이다. 해발 122.7m의 화강암 바위산이다.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이 이 곳에서 놀다 갔다고 하여 왕대산으로 불리운다고 한다.
해망산 (海望山)
요암동과 남곡동 사이의 산이다. 동서로 두 봉우리를 이루고 있으며 바다에 면해 있는 산으로 주변에서 가장 높아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이다. 동쪽 봉우리에는 삼각점(114.2m)이 있으며 서쪽 봉우리는 동쪽보다 10여 m가 높다. 산을 이루는 암석은 화강암이다. 바다를 지켜본다는 의미로 해망산이라 하였다.
산줄기이야기
금북기맥성주대천단맥
금북정맥에서 분기한 금북기맥에서 다시 분기한 금북기맥성주지맥이 성주산 옥마산 지나 등고선상490봉에서 북서쪽으로 분기하여 남포면 창동1리 고야실마을 고야실고개 삼거리(90, 1.5)-자동차전용도로(70)-능선삼거리(90,0.4/1.9)-폐산업철도 십자안부(70, 1.2/3.1)-72봉(0.3/3.4)-보령시민장례식장 21,77번 국도 봉덕버스정류장 사거리(0.7/4.1)-남포역인근 대덕노인회관(30, 0.6/4.7)-서해안고속도로(70, 0.5/5.2)-당경산갈림길 당경산(180.2)어깨(170, 0.4/5.6)-화가재 시온수양관(50, 0.6/6.2)-서해안고속도로(50, 0.5/6.7)-서해안고속도로(90, 1.1/7.8)-△148.3-왕대산 갈림봉(150, 0.6/8.4)-대야곡고개(90)-대천산업단지 36,77번국도(30, 2.3/10.7)-△114.3봉(1.6/12.3)-海望산(130)-삭골고개 도로삼거리(30, 0.7/13)-△115봉(1.6/14.6)-생앵산(90, 1.1/15.7)-36,77번국도(30, 0.7/16.4)-보령시 신흑동 군입마을(10, 0.7/17.1)을 지나 대천항여객터미널 대천등대 앞(0, 0.5/17.6)에서 끝나는 약17.6km의 산줄기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