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화순 운월산, 매봉산, 선주봉
순천 화순 운월산, 매봉산, 선주봉
1. 산행지: 운월산(雲月山675m), 매봉산(528m), 선주봉(354m)
2. 위치: 전남 순천, 화순
9. 산행코스: 주암호전망대~선주봉~매봉산~543.8봉~운월산~유치재~유천리 공원주차장
A코스:동복가든 → 운월재 →운월산→ 유치재→ 모후산→ 중봉 → 집게봉 → 유마마을회관(산행거리 및 시간: 15.4km 5시간30분)
B코스:유치길→유치재→676.7(나무계단)→모후산(943.8m)→804.9봉→집계산(768.8m)→막거리재→유마마을회관 (산행거리 및 시간: 5시간 30분/7.5km)
특별코스:주암호전망대→선주봉(△354m)→매봉산(△528m)→543.8봉→운월산(△674.9m) →유치재 -유천리 공원주차장: 8.0km 3시간
10. 특징
■운월산(雲月山675m)은 전라남도 순천시의 주암면 비룡리와 화순군 동북면 유천리의 경계에 위치한 산이다. 시의 북서쪽 매봉에서 밤실산을 거쳐 운월산으로 산줄기가 이어지며 남쪽에는 모후산이 있다. 북사면에 영천사가, 동쪽으로 주암호가 있다. 산은 운알봉(雲戛峰), 우자령(亏刺嶺)으로도 불리었다.
■운알령성(雲戛嶺城)은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비룡리과 화순군 동복면 유천리에 걸쳐 있는 운월산에 있었던 산성이다. 전라남도 순천시와 화순군의 경계를 이루는 운월산(雲月山, 675m)의 해발고도 428m 지점의 능선을 따라 쌓았던 산성이다. 운월령성 이라고도 부른다. 흙과 돌을 섞어 쌓은 토석 혼축성으로, 북벽 부분의 석축이 확인되었다.
성벽 길이는 동북 방향 80m, 남북 방향 95m로 총 175m이며, 다른 쪽의 성벽은 거의 붕괴되어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다. 석축은 최고 3단까지 남아 있고, 석축을 이루는 돌은 길이 50cm, 폭 20cm, 두께 25cm로 상당히 큰 편이며, 약간 다듬은 흔적이 보인다. 성 안쪽에는 성벽을 따라 깊이 50cm 가량의 골이 파여 있다. 건물터·성문터·우물터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
■주암댐(住岩Dam)은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住岩面)에 축조된 다목적 댐으로 길이 330m, 높이 57m, 저수량 4억 5700만t 이며 공사기간은 1984년부터 1991년이다. 보성강(寶城江) 하류인 순천시 주암면 대곡리(大谷里)와 구산리(九山里) 사이 협곡을 막아 만들었고, 조절지댐은 순천시 상사면(上沙面) 용계리(龍溪里)에 축조되었다.
본댐 길이 330m, 높이 57m, 저수량 4억 5700만t이며, 유역면적은 1,010㎢이다. 상사면(上沙面) 조절지댐 높이 106m, 저수량 2억 5000만t, 발전시설은 2만 5000kW이다. 공사기간은 1984년부터 1991년이다. 댐은 보성강(寶城江) 하류인 순천시 주암면 대곡리(大谷里)와 구산리(九山里) 사이 협곡을 막아 만들었고, 조절지댐은 순천시 상사면(上沙面) 용계리(龍溪里)에 축조되었다. 이 2개의 댐에서는 광주·나주시·여수시·순천시·광양시·고흥군·화순군 등지에 하루 118만t의 생활 및 농·공업용수와 전력을 공급한다. 이 댐의 건설로 순천시와 화순군·보성군의 1읍 8면 49개 마을이 수몰되어 2,336가구 1만 2750명의 주민이 이주하였다. 수몰지에서는 마한(馬韓)시대 유물인 고인돌 211기와 돌칼 등 322점의 유물이 출토되어 고고학적 수확을 얻었다.
■주암호는 전남 남부의 화순, 보성, 순천에 걸쳐 있는 주암호는 주암댐으로 인해 생겨난 인공호수다. 소양호나 충주호에 비하면 작은 규모지만 송광사가 있는 조계산과 모후산 사이의 계곡지대에 자리해 있어 경치가 빼어나다. 대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산간지대에다, 특히 모후산 쪽의 호반길은 한적하기 짝이 없다. 자동차도 사람도 찾을 일이 없는 흙길은 내내 적요하기만 해서 사람이나 자동차를 만나면 반갑기보다 괜한 두려움이 먼저 들 정도다. 잔잔하지만 짙푸른 호수는 어느새 신비감을 자아내고 호반길을 달리다 보면 금세 자연에 동화되고 만다.
산줄기이야기
모후지맥 母后枝脈
호남정맥 연산에서 분기하여 東으로 달리던 통명지맥이 차일봉(668.5m)에서 南으로 또 한줄기를 갈라낸다. 매봉, 밤실산, 운월산, 모후산을 지나면서 서쪽으로 동복천의 울타리가 되어 동복천이 보성강에 합류하는 순천시 송광면 월산리 고부마을에서 주암호로 빠지면서 맥을 다한다. 통명지맥 차일봉에서 화순군(북면)과 곡성군(삼기면)을 나누는 군계를 따라 내려가면서, 매봉에서 순천시 주암면을 접한다. 서쪽으로 화순 동복면을 접하다가 모후산에서 화순군 남면, 순천시 송광면을 나누고, 송광면 월산리에서 끝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