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천 주렴산, 운봉산, 동막산
웅천 주렴산, 운봉산, 동막산
1. 산행지: 산행지: 주렴산(351m), 운봉산(337m), 동막산(150m)
2. 위치: 충남 보령시 웅천읍
3. 일시: 2017년 4월 2일(일)
4. 날씨: 맑고 따스하고 옅은 연무
5. 누구랑: 강일님과
6. 소요시간: 6시간 30분
7. 난이도: 상급
8. 들머리/ 날머리: 주야1리 마을회관/ 평2리 마을회관
9. 산행코스: 주야1리 마을회관~진입실패~주렴산 정상~주야1리 갈림길에서 운봉산 방향~408봉 삼각점~보령 푸른농장(약초재배지)~개울 건너~철길 건너~웅천 석재농공단지~개 사육장(다시 빽)~대창초교 뒤 공사장~운봉산, 대창초교 갈림길~절터~운봉산 정상~동막산 방향~간벌지~다리건너~돌따라 보령댐까지~보령댐에서 평2리 마을회관(강일님 차로 이동)
10. 특징
주산면
동달산(東達山) 왼쪽에 있다. 동쪽은 곰고개·용오리재·잔재고개·장태봉(將胎峰) 등을 경계로 미산면(嵋山面), 북쪽·북서쪽은 운봉산(雲峰山) 줄기를 경계로 웅천면(熊川面), 남쪽은 장태봉·동구재를 경계로 서천군 판교면(板橋面)·비인면(庇仁面)에 접하며, 남서쪽은 황해에 면한다. 면의 중앙에 남북으로 농경지가 형성되고 남서 해안에는 간척사업으로 농경지가 조성되어 쌀·보리 중심의 주곡농업이 이루어진다. 해안에는 약간의 염전이 개발되었다. 국도와 장항선 철도가 면의 중앙을 남북으로 나란히 달리다가 남부에 이르러 국도는 서천, 철도는 장항으로 갈라져 나간다. 문화재로는 보령 주야리 산성, 창암리(倉岩里) 성터, 동오리(東五里) 지석묘, 삼곡리(三谷里) 성지, 삼곡리 지석묘 등이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주렴산
주봉은 국수봉이라 하며, 기미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났던 진원지이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주산면 증산리 출신 이철원은 배재학당에 다니던 중 서울의 만세운동을 알리기 위하여 고향에 내려 왔다가 고향에서도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해야 한다고 동지들을 모았다. 그는 3월 16일에 거사하려 하였으나, 사전에 누설이 되어 다음날인 3월 17일 주렴산에 올라가 독립만세운동을 벌였다. 마을 사람들은 독립만세 소리를 듣고 산으로 올라가 합세하여 독립만세를 부르고 웅천시내 2km 지점까지 행진하다가 일경의 제지로 18명의 주모자가 잡혀 갔다. 3월 18일 밤에는 박윤화가 주산면 야룡리 복개봉 상봉에 태극기를 꽂고 독립만세를 불렀다, 보령시에서는 그날의 만세사건을 기념하고 그 항일정산을 후세에 영구히 기리기 위하여 1997년 5월 주렴산기미독립만세운동선양사업추진우;원회를 지원하여 주렴산 정상에 기념비를 세웠다. 산행코스로는 주렴1리에서 오르내리는 코스가 일반적이다.
운봉산
보령시 웅천읍에 위치한 운봉산은 337고지의 얕은 산이지만,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오르내릴 수 있는 등산로가 개설되어 있으며, 정상에는 돌로 된 멋진 정상석과 웅천 읍내를 한 눈으로 내려다 볼 수 있는 운봉정이란 정자가 있어 정상에 올라 웅천 읍내를 내려다보며 잠시 즐길 수 있는 멋진 산이다. 산행코스로는 대창6리, 대창2리, 성동1리 등에서 오르내릴 수 있는 코스 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대창초등학교에서 오르내리는 길은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산줄기이야기
금북기맥월명주렴단맥
금북기맥이 금북정맥에서 분기하여 흐르다가 보령시 미산면, 부여군 옥산면, 서천군 판교면의 삼면봉에서 서남쪽으로 분기하여 미산면과 판교면의 경계를 따라 장태봉을 지나 동구재에서 올라간 등고선상310m 지점에서 서북쪽으로 분기하여 주산면을 서북방향으로 나누며 21, 77번국도 짓재(50, 2.4)-173봉-서천화력선 주렴터널위(130, 1.4/3.8)-珠廉산(△348.8, 1.7/5.5)-등고선상230M 지점(1.5/7)에서 다시 웅천읍과 주산면의 경계를 따라 서진하며 웅천읍 벽남마을에서 주산면 증산리 송림마을을 잇는 송림고개 도로(90, 1.3/8.3)-197봉-서해안고속도로 웅천터널 위(110, 1/9.3)를 지나 웅천천변(10, 1/10.3)에서 끝나는 약10.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금북기맥월명운봉단맥
금북기맥이 금북정맥에서 분기하여 흐르다가 금북기맥월명단맥이 보령시 미산면, 부여군 옥산면, 서천군 판교면의 삼면봉에서 서남쪽으로 분기하여 미산면과 판교면의 경계를 따라 장태봉을 지나 보령시 주산면, 미산면, 서천시 판교면의 삼면지점인 등고선상350m 지점에서 북쪽으로 금북기맥월명운봉단맥이 분기하여 주산면과 미산면의 경계를 따라 21번군도 간재(190, 1.4)-등고선상310m 지점(2.5/3.9)에서 경계선을 벗어나 서쪽으로 흐르며 주산면을 서북방향으로 가르며 내려선 농로(70, 2/5.9)-21, 77번국도 월현(70, 0.7/6.6)-21, 77번국도 도로(70, 0.1/6.7)-雲峰산(△336.5)어깨(330, 2.1/8.8)에서 다시 웅천읍과 주산면의 경계를 따라 228봉 웅천읍 성동리 내성마을 베쳉이들판(30, 2.2/11)을 지나 뚝방길따라 내성천이 웅천천을 만나는 곳(30, 0.7/11.7)에서 끝나는 약11.7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
산행기
이번 주에는 토요일 금북정맥, 일요일 공주 주미산으로 산행지를 정하여 토요일 새벽 출발하려는데, 금요일 강일님께서 전화를 주셔서 이번 주에는 어디로 가요? 청양과 공주로 정하였습니다. 혹 웅천 주렴산과 운봉산을 가보셨는지요? 아닙니다 미답지입니다. 그럼 나도 일요일은 함께 산행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새벽에 웅천면사무소로 갈테니 같이 산행하실래요? 좋습니다 하여 일요일 아침 웅천면사무소앞에서 만나 강일님께서 사주시는 백반으로 배를 든든히 하고 강일님만 따라 간다는 생각으로 아무런 자료 없이 출발하였다. 이 코스의 답사 결과 주렴산과 운봉산은 개별 산행지로는 등산로들이 잘 만들어져 있으나, 연계하여 산행하기에는 중간중간 산행로가 없어 조금씩 알바를 하는 산행이 되었고, 보령 양각산옆에 조그마한 산인 동막산은 사람들이 거의 찾지 않는 낮은 산이었다.
이 산행기를 보시는 분들께서는 주렴산, 운봉산, 동막산 연계산행은 중간중간 길이 없어 헷갈리기 쉬우니, 각 산 모두 따로 주렴산(주야1리 마을회관), 운봉산(대창초교)에서 들머리를 잡아 산행하시기를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