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보리

꼴통 도요새 2017. 5. 10. 05:00

보리


분류: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벼목 > 벼과 > 보리속 

원산지: 중동 (터키), 남아메리카 (페루), 아시아 (아프가니스탄,대한민국,중국), 유럽 (노르웨이,영국) 

크기: 약 1m 

학명: 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 (L.) Asch. 

꽃말: 번영, 보편 


대표적인 식용 곡물이다.

보리속은 4개의 아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재배되는 보리는 모두 보리아속에 속한다. 이 아속에는 3종이 속하는데, 그중 보리는 씨알이 6줄로 배열하는 여섯줄보리이다. 보리는 다른 곡류보다 다양한 기후에 적응할 수 있어서 온대·아북극·아열대 지방에 알맞은 변종들도 있다. 보통 90일간의 생육기간을 필요로 하지만 때로는 더 짧은 기간에 생장해 성숙할 수도 있다. 선사시대에 에티오피아와 남동 아시아에서 재배가 시작되어 BC 5000년에 이집트, BC 3500년에 메소포타미아, BC 3000년에 유럽 북서부, BC 2000년에 중국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보리는 견과와 비슷한 맛이 나고 탄수화물이 많이 들어 있으며, 단백질·칼슘·인은 중간 정도, 비타민 B는 소량 들어 있다. 글루텐이 거의 없어 구멍이 많이 뚫린 빵을 만드는 가루로는 쓰이지 않고, 한국을 비롯한 동양에서는 주로 식량으로 쓰며 그밖에 소주·맥주·된장·고추장을 만들고 있다. 한국에서 보리는 1965년에 가장 많이 생산되었고, 그후 점점 감소하는 추세이다. 보리의 주산지는 전라도·경상도 지방인데, 특히 전라남도는 전국에서 생산되는 쌀보리의 약 65%를, 경상북도는 겉보리의 48%를 생산하고 있다. 맥주보리는 전라남도·경상남도·제주도 등지에서 재배하고 있는데, 대부분 전라남도 지방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맥주의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재배면적도 늘고 있다. 장려 품종으로 선정된 품종들로는 찰보리·팔달보리·탑골보리 등의 겉보리, 늘쌀보리·새쌀보리 등의 쌀보리, 두산 22호와 두산 12호 등의 맥주보리가 있다.


청보리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에 속하는 푸른빛을 띠는 보리의 일종. 풋보리 또는 청맥(靑麥)이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누른빛을 띠는 일반보리와는 달리 푸른빛을 띠는 특성이 있으며 모양도 일반보리와는 비슷하지만 색깔이 흔히 알고있는 누른빛이 아닌 푸른빛을 띠고 있기 때문에 일부에서는 덜 익은 보리로 착각하는 경우도 있었다. 일반 황보리와 마찬가지로 영양가가 뛰어나고 높은 편이며 식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서 제빵, 제과 또는 백미에 혼합하여 먹기도 한다. 담황색으로 광택이 있는 것이 적합하며 보리알이 고르고 둥글면서 통통한 종류로 먹는 것이 좋으며 단백질, 비타민B 및 E, 식이섬유, 엽산 등의 성분이 들어있다.


전라북도 고창군에서는 청보리밭을 배경으로 청보리축제가 열려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