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병풍산, 비봉산
상주 병풍산, 비봉산
1. 산행지: 병풍산(336m), 비봉산(231m)
2. 위치: 경북 상주군 낙동면, 중동면
병풍산
상주 병풍산 고분군(尙州 屛風山 古墳群)은 경북 상주시 헌신동 일대에 있는, 병풍산의 서북쪽 구릉 일대에 분포한 대형 돌방무덤들이다. 1998년 4월 13일 경북의 기념물 제125호로 지정되었다. 사벌국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상주지역에서 형성범위나 규모가 가장 큰 무덤이다. 무덤이 있는 병풍산의 정상부에는 흙과 돌을 섞어 쌓은 병풍산성이 축조되어 있어, 무덤을 만든 세력의 힘을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아마도 그 세력은 사벌국의 중심세력이나 삼국시대 상주지역의 지방 유지세력에 의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크다. 병풍산 무덤들은 원삼국시대의 사벌국의 실체와 그 후에 나타난 세력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주는 곳이다.
비봉산(飛鳳山)
상주군 낙동면, 중동면 오상리의 강변에 지각변동으로 솟구쳐 생긴 산으로 높이는 230m이다. 봉황이 하늘을 나는 형국이라서 이런 이름이 붙어졌겠는데, 실제 보아도 그런 것이 좌우로 펴진 능선이 비행기의 날개처럼 앞면은 두껍고 뒤쪽은 얇아지면서 깃털처럼 갈라져 영락없이 새가 날개를 펼친 모양이다. 그 가운데 정상이 머리처럼 우뚝해 강 건너편의 옥주봉을 바라보고 있다. 산세가 부드럽고 등산로에 소나무가 우거져 산보하는 기분으로 가족 산행하기 좋은 곳이다. 솔잎을 밟고 솔향기에 취하여 강바람에 옷자락 나부끼며 음풍농월하는 데도 더할 나위 없이 좋다.
청룡사
비봉산 중턱에 위치한 아름다운 사찰
경북 상주시 중동면 오상리 비봉산(飛鳳山) 중턱의 가파른 절벽 위에 세워져 낙동강을 굽어보고 있다. 청룡사가 있는 중동면은 상주의 동쪽에 위치한다. 사찰이 많은 상주 지역이지만 낙동강이 감고 도는 중동면 일대에는 청룡사가 유일하다. 상주에서 동쪽으로 낙동면을 지나면 낙동강 중류와 만난다. 1674년(현종 14)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중창과 관련된 기록이 인근 도남서원(道南書院)에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 사찰은 주 전각인 극락전과 산신각·요사·종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청룡사의 구조 및 볼거리
극락전은 정면 3칸·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로, 단청이 되어 있지 않다. 내부에는 목조보살상이 2층 누각의 화려한 보궁 안에 모셔져 있는데 높은 보관을 쓰고 한 손에 보주(寶珠)를 든 채 금칠한 사자상(獅子像) 위의 연화대좌에 앉아 있는 형태로, 일제강점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목조보살상 왼쪽 불단에는 경주 옥석으로 제작했다는 높이 40cm의 지장보살좌상이 있다. 머리에 모자를 쓴 이른바 피모지장(被帽地藏)에 천의를 걸친 양식으로 보아 처음 조성했을 때에는 한 손에 지팡이를 잡고, 다른 손에 보주를 들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극락전 앞으로는 지름 130cm가 넘는 석조 좌대 1점과 이와 비슷한 크기의 맷돌 1점이 있는데 이 유물들은 오래 전에 청룡사가 많은 대중들의 수행처였음을 짐작하게 해준다. 오층석탑 1기도 극락전 앞에 세워져 있다. 산신탱을 봉안하는 산신각은 정면 1칸·측면 1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극락전 뒤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절벽 끝으로는 종각이 있다. 요사는 2층 규모의 현대식 건물이다.
산줄기이야기
백두기양갑장단맥
백두기양지맥이 백두대간 국수봉 남쪽 청운봉에서 동남으로 분기하여 흐르다가 白雲산 기양산 지나 상주시 청리면, 낙동면, 구미시 무을면의 삼면봉인 修善산(△683.6)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상주시 청리면과 낙동면의 경계를 따라 912번지방도로 돌티(330, 2.6)로 내려선다. 486봉-△484.6봉(1.7/4.3)-임도(470)-시루봉(777)-甲帳산(△805.7, 2.7/7)-문필봉(696)-상산(696)-577봉-청원~상주간 고속도로,916번지방도로굴티고개(150,3.6/10.6)-갓재(450)-백원산(△523.7, 1.7/12.3)-485봉-식산(503, 1.4/13.7)-△281봉-중부내륙고속도로, 25번국도 성골고개 (90, 2.8/16.5)내려서 屛風산(△365.6)어깨(330, 1/17.5)를 지나 상주시 병성동 병성천이 낙동강을 만나 낙동강물이 되는 곳(2/19.5)에서 끝나는 약19.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위천북기맥
낙동정맥이 남하하다 주왕산을 지나 가사령으로 떨어지기 직전 742봉에서 서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달의령 베틀봉 면봉산 보현산 지난 노귀재에서 올라친 도면상 750.6봉인 석산에서 팔공기맥은 남진을 하고 서북으로 한줄기를 더내어 시종일관 위천의 북쪽 울타리를 치며 어봉산 산두봉 구무산 푯대산 해망산 문암산 비봉산 건지봉 지나 위천 북쪽 1.5km 지점 상주군 중동면 신암리 토진마을 중동교가 있는 낙동강변에서 낙동강이 되는 겹침산줄기 39km를 제외하고라도 장장 도상거리 126km 이상을 달리는 산줄기를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