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수수

꼴통 도요새 2017. 9. 18. 16:13

수수 

쑤시, 수시

sorghum

 

분류: 식물 > 단자엽식물 > 벼과(Poaceae)

학명: Sorghum bicolor (L.) Moench.

본초명: 고량(高粱, Gao-Liang), 고량미(高粱米, Gao-Liang-Mi), 촉맥(蜀麥, Shu-Mai), 출촉(秫薥, Shu-Shu)

생약명: 촉맥(蜀麥)

채취기간: 가을

취급요령: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서늘하며, 떫고 달다.

독성여부: 없다.

1회 사용량: 15~25g, 뿌리 10~15g, 수수깡 40~60g

주의사항: 많이 써도 무방하다.

 

1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재배한다. 줄기는 밑에서 가지가 나오기도 하고 품종과 재배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높이 100~200cm 정도로 자라며 속이 차 있고 마디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몸은 길이 40~80cm, 너비 4~8cm 정도의 선형으로 처음에는 잎과 원줄기가 녹색이지만 적갈색으로 된다. 8~9월에 개화한다. 길이 25~50cm 정도의 큰 원추꽃차례에는 가지가 반 돌려나고 소수가 밀생한다. 땅속줄기가 없고 재배식물이며 잎의 폭이 60mm 정도로 많이 넓은 것이 시리아수수새와 다르다. 줄기의 마디에 털이 없고 꽃차례의 가지는 다시 갈라지며 소수에는 까락이 없거나 있어도 짧은 것이 수수새와 다르다. 잡곡으로 분류되어 식용하거나 사료로 이용하지만 잎에 청산이 극미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청예사료나 퇴비로 이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공업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특성

단자엽식물(monocotyledon), 1년생초본(annual herb), 직립형식물(erect type), 재배되는(cultivated), 약용(medicinal), 식용(edible), 사료식물(forage plant)

적용증상 및 효능

기관지염, , 삽장위, 식군대채체, 식시비체, 식우육체, 안신, 온중, 이뇨, 적취, 지곽란, 지혈, 평천, 해수, 흉부냉증 

특징 및 사용 방법

고량(高梁노제(蘆穄당서(唐黍촉서(蜀黍노속(蘆粟)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는데 표면이 굳고 흰색의 납질물이 있으며 속이 꽉 차 있다. 줄기에는 10~13개의 마디가 있다. 줄기 끝에 달리는 이삭의 모양은 몰려 있는 것과 퍼져있는 것, 곧게 선 것과 밑으로 숙인 것 등 품종에 따라 다양하다. 조생종 수수는 화곡류(禾穀類 : 볏과 식물) 중에서 생육 기간이 가장 짧아 파종한 후 80일 정도 지나면 수확할 수 있다. 녹말의 차이에 따라 메수수와 찰수수로 분류된다. 껍질을 벗긴 수수 알갱이를 수수쌀 또는 고량미(高梁米당미(糖米)라 한다. 주성분이 당질이어서 식량을 비롯하여 엿·과자··술 등의 원료로 사용한다. 특히 수수는 색이 붉어서 어린아이의 돌이나 생일 때 못된 귀신의 접근을 막고 건강하게 자라라는 기원의 의미로 수수팥떡을 만들어 먹인다. 줄기는 수수깡이라 하여 건축재·울타리·빗자루·사료·연료 등으로 쓰인다. 세공용·사료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씨를 약으로 쓸 때는 주로 생식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하며, 수수밥·수수떡을 해 먹기도 한다. 수수깡과 뿌리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수수깡은 1년 이상 묵은 것이 좋다.[출처: 다음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