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지도

평창 세솥바리산, 배거리산

꼴통 도요새 2017. 9. 20. 10:33

평창 세솥바리산, 배거리산

1. 산행지: 세솥바리산(867,5), 배거리산(852,5)

2. 위치: 강원 영월군 한반도면 광전리

평창읍 마지리 31번도로, 꺼먹교 길 건너 버스정거장에 도착

9. 산행코스: 꺼먹교 ~ 물때기산 ~ 666봉 ~ 삼청산 ~ 세솥바리산 ~ 725봉 ~ 750(1.2) ~ 842봉 ~ 배거리산 ~ 605봉 ~ 524봉 ~ 거울산 ~ 미다리

10. 특징:

배거리산

강원 영월의 배거리산은 형상이 배 모양이어서 일명 석선산(石船山)이라고도 불린다. 천지개벽 때 모두 물에 잠기고 뱃전 크기만큼만 남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또 다른 전설은 옛날 홍수가 났을 때 마음 착한 부부가 배를 타고 피난을 했는데 물이 점차 불어나 산꼭대기에 배가 걸렸다고 해서 배거리산이 되었다고 전한다(국토지리정보원 한국지명유래집). 1991년부터 시작된 석회석 광산 개발로 현재 배거리산은 산꼭대기부터 깎여나가 거대한 탑 모양으로 변했다. 피라미드의 황량함과 혼돈의 바벨탑을 연상시킨다. 배거리산에서 깎여나간 석회석은 집 짓고 도로 깔고 사회기반시설 건설에 유용하게 쓰였을 것이다. 문명은 항상 자연에 빚지고 있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는다.[출처: 한국일보]

세솥바리산

주천에서 평창으로 가는 82번 도로옆 평창강가에 솟아있다. 세솥바리산 자체도 3개의 봉우리로 되어 있고 세솥바리산 주위(서북쪽으로)에도 봉우리가 2개 솟아있어 3개봉이 세솥처럼 솟아있다. 코스의 특징은 좁은 거리에 봉우리들이 솟아있어 산록길이 가파른 곳이 적지 않다. 지형구도가 매우 복잡하므로 길을 읽는 눈이 필요하다. 이 산 근처 지형이 매우 복잡하여 경관이 좋다.

 

우리산줄기이야기

 

한강영월삼방단맥

三芳(979.7, 2)-922.5-도마치임도(550, 3.1)-莭介(876.1, 1.2/4.3)-756봉어깨-말구리재(490, 1.7/6)-다래산(690)-등고선상650봉에서 서쪽으로 배거리산(852.5, 여맥), 玉女(589.7)을 떨구고 남진하여 622.9봉을 지나 31번국도 원동재(460, 3.3/9.3)로 내려선다. 등고선상 570봉에서 서쪽으로 鍾芝(570, 여맥)과 동북으로 露積(410, 여맥)을 떨구고 남진하여 임도-청용안임도삼거리(470, 2.7/12)-큰노적봉(570)-두치재(450, 3.1/15.1)-푯대봉(561.6)-등고선상 550봉에서 서남쪽으로 흐르며 31번국도 신배일치(370, 2.6/17.7)-배일치(350, 0.3/18)-道德(508.6, 2.1/20.1)-옹정리도로(330)-신도로(330, 1.7/21.8)-선암마을 대한민국전도 전망대 -조야마을(170, 2/23.8) 인근을 지나 평창강변(150, 1.2/25)에서 끝나는 약2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삼정산에서 배거리산으로 이어지는 여맥산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