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원수산 전월산
세종시 원수산 전월산
1. 산행지: 원수산(251m), 전월산(260m)
2. 위치: 세종시, 연기군
3. 일시: 2017년 10월 4일
4. 날씨: 맑고 더움
5. 누구랑: 나 홀로
6. 소요시간: 3시간 30분
7. 들머리/ 날머리: 숭덕사(덕성서원) 원점회귀
8. 산행코스: 덕성서원~오봉산(오룩스 지도)~원수산~전월산 갈림길~형제봉 왕복(약 50m) 답사 중 이정표로 표기되어 있었다~용마산업~상여바위~전월산 정상~며느리바위~숭모각~호수공원~소방서~덕성서원
9. 특징:
원수산
충청남도 세종시에 위치한 산이다(고도:251m). 남쪽에는
금강이 흐르고, 동쪽으로 전월산, 서쪽에는 국사봉이 솟아 있으며, 북쪽으로는
미호천이 감싸고 있다. 산의 남쪽에는 덕성서원과 덕암사가 있으며, 남면
소재지가 인접해 있다. 현재 이 산을 중심으로 행정중심 복합도시가 건설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원수산에 대하여 "원수산(元帥山)은 현 남쪽 5리에
있다."라는 내용의 기사가 있어 매우 오래된 지명임을 보여준다. 『여지도서』(연기)에는 "줄기가 공주 무성산에서 뻗어 온다."고
수록되어 있다. 왼수봉, 왼수산, 원사봉(元師峰)이라고도
불렸으며, 형제봉(兄弟峯),
작은형제봉, 큰형제봉, 부모산(父母山)이라고도 불렸고, 붓의
모양과 같다 하여 '문필봉'이라고도 불린다.
향토지리지에 의하면, 이전에는 원수산 아랫 마을 사람들이 원수산이란 이름을 잘 쓰지 않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전설 때문이다. "아주 먼 옛날에
두 형제가 근동에서 제일가는 부자로 살면서 사이가 좋지 않았다. 주인이 사이가 좋지 않으니 하인들까지도
사이가 좋지 않았다. 어느 날 작은 집 하인과 큰 집 하인이 길거리에서 싸움이 붙었는데, 하인들까지 참여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곡괭이, 몽둥이 등이 등장하더니 마을이 마치 전쟁터처럼 치열한 전투장으로 변하였다. 두
형제의 싸움에서 아우집이 이겼고, 형은 아우와 매일 이렇게 살아갈 수 없음을 느끼고 이곳을 떠났다. 그때 형과 아우는 마을 뒷산의 산봉우리가 되었는데, 둘 사이가 좋지
않아 이 산을 원수봉(왼수봉)이라 불렀다." 이러한 내용이 입에서 입을 통하여 오래도록 전해 내려오니 이곳 마을 사람들은 원수산 아래 살고 있는
자신들이 부끄러워 누가 어디에서 사냐고 묻거나 마을 뒷산을 무엇이라 부르냐고 물으면 선뜻 대답을 해주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고려사절요』에 수록된 연기대첩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제2의 전투지로
원수산이 확인됨에 따라 이 지명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원수산은 원래 산의 모습이 뾰족한 붓끝같이
생겼다 하여 문필봉이라 불렀는데, 연기대첩 이후 이곳을 원수산(元帥山)이라 불렀다고 전한다.
전월산
충청남도 연기군의 남면 양화리(陽化里) 현 세종시에 있는 산이다(고도:260m). 『여지도서』에 "관아의 남쪽 10리에 있다. 그 위에 신기한 약효가 있는 샘이 있는데 비를 내려달라고 하늘에 기도하는 곳이다. 줄기가 공주 무성산에서 뻗어 온다."라는 기록이 있다. 청류부곡(淸流部曲)이 있던 구을촌(仇乙村) 앞이 되므로 '구름다리'라고 하다가 한자로 '전월산(轉月山)'으로 표기하게 되었다고 전한다. 전월산은 산의 동쪽이 금강과 미호천의 합류부여서 강물이 삼태극의 형상으로 돌므로 달밤에 이 산에서 동쪽의 강을 내려다보면, 강에 비친 달이 돈다는 데서 지명이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산 정상의 '용천'에서 기우제를 지내면 영험이 있으며 우물가에 버드나무가 있는데 이 버드나무가 커서 강 건너 금남면 반곡리(盤谷里)를 넘어다보면 반곡리 아낙들이 미치거나 바람이 난다 하여 반곡리 청년들이 몰래 산에 올라 버드나무 가지를 잘랐다고 하며, 반면 양화리 사람들은 버드나무가 잘 자라야 마을에 재앙이 없이 풍년이 든다는 믿음을 갖고 있어 버드나무 가지를 베지 못하게 한다고 전한다. 산 아래에는 동촌 마을이 배산임수의 입지를 하고 있고, 산 앞으로는 장남평야가 넓게 펼쳐져 있다.[출처: 네이버지식백과]
우리산줄기이야기
금북전월지맥
금북정맥이 충남 연기군 전의면 덕고개에서 차령고개로 가면서 가장 남쪽에 솟은 國士봉(△402.7)에서 정맥은 북쪽으로 가고 한줄기를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공주시 정안면과 연기군 전의면의 경계를 따라 사기소고개(210)를 지나 등고선상 290봉(1.8)에서 남쪽으로 天台산(△392.1, 단맥)을 떨구고 동진한다 691번 지방도로 덕재고개(170, 1.1/2.9)-삐띠고개(170)-△224.1봉(2.2/5.1)을 지나 등고선상 310봉(1.1/6.2)에서 동북쪽으로 수디산(△383.3, 단맥)을 떨구고 동진한다. 604번지방도로 공주고개(150, 1/7.2)-동막고개(170, 1.4/8.6)-△217.2봉(1.4/10)-봉화재(190)-헌고개(190)-돌고개도로(110, 3.1/13.1)-國師봉(△213.7, 4/17.1)-감나무재(110, 2.4/19.4)-△143.2봉-157봉을 지나 1번국도 연기고개(50, 3.3/22.7)로 내려선다. 큰목골산(△223.1, 2.2/24.9)-元師봉(254) 전위봉(190)-상촌도로(70, 1.5/26.4)-轉月산(270)어깨(210, 0.8/27.2)-露積산(△181.2) 전위봉(150, 1/28.2) 지나 연기군 남면 월산리 샛뜸마을 지나 미호천이 금강을 만나는 곳(30, 2.1/30.3)에서 끝이 나는 약30.3km의 산줄기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