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벽도산, 호암산, 단석산, 매봉, 입암산
경주시 벽도산, 호암산, 단석산, 매봉, 입암산
1. 산행지: 벽도산(423.8m), 호암산(432m), 매봉(530m), 입석산(686m), 단석산(827m)
2. 위치: 경북 경주시
8. 산행코스: 광명사거리G.S칼텍스 ~광명길 27번 기와집앞 들머리~산불 감시 초소~벽도산 정산~524봉~530봉~호암산 정상~매봉 정상~큰 고개~휴식~555봉 점심~입암산 정상~단석산 정상~625봉 전망 바위~송전 저수지
9. 특징:
벽도산
경주의 서쪽에 위치하는 선도산(仙桃山)과 더불어 서방을 이루는 중요한 산 가운데 하나이다. 선도산과 같이 미남산으로 전해지며 여산인 망산을 사이에 두고 선도산과 남산을 상대로 사랑 싸움을 벌린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산이다 작고 푸른 복숭아 나무가 많이 자생하는 산이라는 데서 그이름이 유래하였다 벽도산에는 활공장이 있어 이곳에서 직선거리로 5㎞ 이내만 바라봐도 경주 문화유적들이 발아래 펼쳐진다 웅장하게만 보이던 고분들이 옹긋봉긋 귀엽게만 보이고, 안압지 동궁과 월지도 조막만 하게 눈에 들어오고 박물관, 황룡사지, 교동마을, 천마총 등이 발아래 볼 수 있다 이곳에서의 비행은 “경주 천년고도를 한눈에 품을 수 있는 스카이투어”라고 한다
단석산[斷石山] 월생산[月生山]
삼국통일의 공신인 김유신(金庾信)은 595년(진평왕 17년) 충북 진천에서 만노군(萬弩郡)의 태수이던 서현(敍玄)장군의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김수로왕의 13대손인 김유신은 15세에 화랑이 되어 17세에 고구려, 백제의 잦은 침략에 삼국 통일의 큰 뜻을 품고 서라벌 서쪽산에 있는 석굴에 들어가 목욕재계 하고 천지신명에게
고구려, 백제, 말갈을 물리칠 수 있는 힘을 달라고 기도하자, 4일 만에 한 노인이 나타나 김유신의 인내와 정성을 가상히 여겨 비법이 담긴 책과 신검(神劍)을 주었다고 삼국사지, 동국여지승람, 동경잡기에 소개되어 있다. 김유신은 이 신검으로 고구려, 백제와 싸울때마다 승리를 거두었다고 하며, 당시의 화랑들이 수도하던
산에서 김유신은 이 칼로 무술연마를 하면서 바위들을 베었다고 하여, 이름이 단석산(斷石山)이 되었다.
이 산은 건천읍 송선리 산89번지 우중골에 있으며, 산 7∼8부 능선 4개의 바위가
둘러싸인 천연굴이 있는데 옛날에는 상인암(上人巖:일명탱바위)라고 불리었다고 한다. 화랑들은 이 바위굴 속에 불상을 새기고 그
위에 지붕을 덮어 석굴사원을 만들었다. 이 절을 신선사(神仙寺) 또는 단석사(斷石寺)라고 부른다. 내부의 마애불상은 국보 제 199호로 지정되었다. 단석산은 경주에서 가장 높은 산(827m)으로 백제에 대한 신라의
국방의 요충지였다. 이 지역은 진달래군락지로 봄철 산악애호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 인근 조래봉(657m)과 더불어 등산코스로 각광을 받고 있다.
김유신의 유적지는 충북 진천에 담안밭 탄생지, 태를 묻은 태령산, 식수로 사용했던 우물 연보정, 말을 훈련시켰다는 치마대와 투구모양의
투구바위가 있으며 길상사는 흥덕왕 10년(835)에 흥무대왕으로
추봉된 후 사당으로 건축되어 장군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 그리고 경주에는 김유신장군묘와 금산재비각이
있다. 사귀던 천관녀의 집터는 천관사로 남아있다. 천관(天官)이란 여인의 집에 자주 드나들자, 어머니
만명(萬明)부인은 왕과 부모에게 기쁨을 주기를 기대했는데 술과 여자를 즐기느냐며 울며
타이르자 다시는 그여자 집에 가지 않기를 맹세했다. 그러던 어느날 말은 유신을 태우고 눈에 익은 길을
따라 천관녀의 집에 다다르자 유신은 말의 목을 베어버리고 그 집을 떠났다. 천관은 원사 한곡을 지어
속세를 떠났다고 한다. 고려의 문인 이규보(李奎報)는 이에 아래와 같이 읊었다.
절 이름 천관사 옛부터 연있더니
홀연 지낸 일 듣고 한 번 슬퍼라.
삐딱이 취한 공자 꽃아래서 놀고
애원하는 미인 말앞에서 우네.
적토마 다정해서 오히려 길을 알고
상노는 무슨 죄로 채찍을 받았더냐.
다만 남은 것은 한 곡조 좋은 가사
휘영청 달빛 아래 만고에 전해지네.
김유신은 엄격한 성품을 신라 국민정신과 화랑정신으로 승화시켰는 바 이 엄격함은 가훈을 어긴 아들 원술과 부자의 연을 끊어버리기까지
한데에서도 잘 나타나고, 당나라의 영토적 집착을 단호히 물리친데에서도 잘 나타난다. 660년에 백제를, 668년에 고구려를 멸하여 삼국을 통일한 김유신은
태대각간의 직위를 받고 673년 78세로 세상을 떴으며, 사후 162년 후 인신으로서 대왕(흥무)에까지 오른 전무후무한 기록을 남겼다. 누이 문희(文姬)는 김춘추에게 출가하여 무열왕비가 되어 문무대왕을 낳았다.
우리산줄기이야기
낙동단석단맥
낙동정맥 사룡산 지나 20번국도
땅고개에서 올라간 경주시 산내면, 건천읍,내남면의 삼면지점인
등고선상690m 지점에서 경주국립공원 단석산지구 내로 들어가 북동쪽으로 분기하여 건천읍과 내남면의 경계를 따라 斷石산(△827.2, 1)-방내재(490, 1.5/2.5)-904번지방도로 큰고개(210, 3.2/5.7)-돌꼬지마을
농로-매봉(△530.2, 1.7/7.4)-524봉(1.2/8.6)-호암산(430, 1.1/9.7)-404봉-△382.7봉(2.1/11.8)-경부고속철도 화천터널 위(370)-碧桃산(436)갈림봉 건천읍, 경주시, 내남면의 삼면봉 여우봉(390,
1.8/13.6)-308봉(0.7/14.3)-아래각단 도로(110, 0.8/15.1)-민애왕릉-희강왕릉-10번군도 원고개(△79.6, 1.0/16.1)-등고선상170봉에서 좌측 북쪽으로 올라 望산(△232.7, 0.9/17)-경부고속도로(70, 0.6/17.6)-108봉-경주시 율동 도초마을(0.8/18.4)-건너말마을을 거쳐 구릉지 평야지대를 달려 율동마을 나정교 좌측(50, 1.7/19.9)을 지나 대천이 형산강을 만나는 남안(0.3/20.2)에서
끝나는 약20.2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