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지도

양산 대운산, 시명산, 삼각산, 불광산

꼴통 도요새 2018. 1. 26. 04:17

양산 대운산, 시명산, 삼각산, 불광산

1. 산행지: 대운산(大雲山, 742.7m), 시명산(441m), 삼각산(416m), 불광산(350m)

2. 위치: 경남 양산시 삼호동과 용당동에 걸쳐 있는 산.


7. 들머리/ 날머리: 대운산 제3공영주차장[원점회귀]

8. 산행코스: 대운산 제3공영주차장→금강폭포→임도만남→내원암→제2봉→제1봉 왕복→철쭉군락지→대운산→고갯마루 삼거리→전망바위→660봉→시명산(675.6) 왕복→삼각산→불광산→대운천→애기소→제3공영주차장

9. 특징:

대운산

대운산은 『동국여지승람』이나 오래된 읍지에는 불광산으로 되어 있었으나 특별한 이유 없이 오늘날에는 대운산으로 불린다. 일부 문헌에서명경지수와 같은 저수지, 울창한 산림 등 주변의 수려한 자연 경관과 골짜기를 항상 휘감고 있는 구름이 어울려 한 폭의 그림을 연상케 할 정도로 아름다워 대운산으로 불린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탑골저수지가 축조된 1933년 이후 대운산이라는 지명이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 급경사의 동쪽 사면에 비해 서쪽 사면은 상대적으로 완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북서쪽 사면 500~600m 고도에 소규모의 고위평탄면이 나타난다. 원효대사의 마지막 수도지로 알려져 있으며, 원효대사가 창건한 장안사를 비롯하여 원효대사가 수도했으며 『해동고승전』에도 원효대사의 일화가 전해오고 있는 척판암·내원암 등의 많은 암자가 곳곳에 있다. 탑골은 계곡 주변 도처에 절의 건물에 사용했던 기와 탑두, 탑좌대, 탑사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고 절이 있었던 골이라 하여 예로부터 전해져 오는 이름이다.[출처: 향토문화전자대전]

우리산줄기이야기

낙동장산대운불광단맥

낙동정맥 천성산 남측 양산읍, 양산시 상북면, 웅상읍, 동면의 사면봉인 등고선상710봉에서 동남측으로 분기한 낙동장산지맥이 흐르다가 용천산 동남측 등고선상490봉에서 동남측으로 분기한 낙동장산대운분맥이 시명산을 지나 대운산 가기전 웅상읍, 온양읍, 장안읍의 삼읍지점인 등고선상 650봉인 불광산(660)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대한민국에서 해가 제일 먼저 뜬다는 울주군 서생면 간절곶에서 끝나는 산줄기를 그 산줄기의 대표격인 불광산의 이름을 빌려 낙동장산대운분맥에서 분기한 30km미만의 산줄기이므로 나의 산줄기 분류 원칙상 단맥에 해당하기 때문에 낙동장산대운불광단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