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내용은 다음카페 산경표따르기 회원이신 바람솔솔님이 청와대에 건의한 내용입니다
아래 내용은 다음카페 산경표따르기 회원이신 바람솔솔님이 청와대에 건의한 내용입니다
"바람솔솔님: 백두대간 왕복, 9정맥 종주, 현재 기맥 답사 중이시라는군요"
제목: 우리나라 지리 교과서를 다시 썼으면 좋겠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지리 교과서는 일본인 고토 분지로가 만든 산맥이론에 따라 쓰여졌고, 아무런 비판도 없이 그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백두대간이라는 용어가 있는데 그것이 우리 고유의 지리체계 입니다. 조선 영조때 지리학자인 여암 신 경준 선생님이 산자분수령 원칙에 의해서 만들어 놓은 백두대간, 장백정간, 13정맥 이론이고, 현재 우리나라의 지각있는 산꾼들이 맥잇기 산행이라고 하면서 산줄기를 타고 있습니다. 아직도 지리체계가 일본사람 고토 분지로가 만든 이론에 따라 정립되고,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그것을 가리킨다는 것이 황당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고유의 지리체계를 연구하여 지리 교과서를 다시 써야 한다고 주장하며 그 이론적 근거를 제시합니다.
1. 백두대간과 13정맥이란?
여암 신 경준(旅庵 申景濬 : 1712 ~ 1781)은 조선 영조때 지리학자로서 전남 순창사람이다. 그는『산수고(山水考)』와『산경표(山經表)』를 저술하였는데, 조선의 산과 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최초의 지리서이다. 여암은 조선의 산줄기에 위계질서를 부여하여 백두대간과 장백정간, 13정맥으로 구분하였다. 여암 신 경준 이론의 가장 큰 틀은 산자분수령(山自分水嶺 : 산은 물을 넘지 못하고 물은 산을 건너지 않는다)의 원리이다. 백두대간과 13정맥은 기본적으로 이 원리에 따라 이름이 지어졌다. 예를 들면 한강의 북쪽을 달리는 산줄기는 한북정맥, 남쪽을 달리는 산줄기는 한남정맥, 낙동강의 동쪽을 달리는 산줄기는 낙동정맥, 낙동강의 남쪽을 달리는 산줄기는 낙남정맥이라고 부른다. 산경표는 한국적인 국토 인식방식을 전해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남북이 분단된 상황에서 백두대간은 진부령부터 지리산까지만 종주가 되고, 한북정맥도 강원도 철원의 수피령부터 종주가 가능하다. 13정맥 중 9개는 남한에, 4개는 북한에 있다.
2. 백두대간과 9정맥의 발견
현재 우리나라의 지리체계로는 태백산맥, 소백산맥, 노령산맥, 차령산맥, 낭림산액, 멸악산맥 등으로 불리는 산맥체계가 있다. 일본은 조선을 강점한 후 1910년부터 1918년까지 수탈의 목적으로 토지조사사업을 시행하여 조선의 세밀한 지형도를 그렸다. 쌀과 곡물을 가져가기 위해 도로와 철도를 만들었으며, 금과 광물을 캐가기 위해 지질조사에 광분했다. 그 시기에 조선으로 들어온 사람이 ‘고토 분지로' 라는 지질학자이다. 그는 일본이 조선침략
정책의 일환으로 1900년과 1902년 두 차례에 걸쳐 총 14개월 동안 실시한 광물탐사사업의 학술책임자 자격으로 우리나라의 지질을 조사했다. 그 조사를 토대로 『조선남부의 지세(1901년)』, 『조선북부의 지세(1902년)』를 발표했고, 1903년에 두 논문을 종합하여 체계화한 『조선의 산악론(An Orographic Sketch of Korea)』 및 『지질구조도(1:200,000)』를 동경제국대학 논문집에 발표했다. 고토의 논문은 조선 전래의 산줄기 체계와 확연히 다른 것이며, 당시 유행하던 지질학에 근거한 것이다. 그것이 오늘날 한국 산맥분류의 시초가 되었고 체계와 명칭의 확립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것이다. 이듬해인 1904년, 정치지리학 전공의 ‘야쓰 쇼에이’가 한국지리(韓國地理)를 펴냈다. 일본 동경에서 간행된 그 책의 산맥편에 나오는 산맥지형도는 고토의 연구를 충실히 반영한 것이었다. 다만 거미줄처럼 얽힌 고토의 산맥선들을 단순화시켜 오늘날의 산맥계통도와 유사하게 만들었다는 점이 다르다.‘야쓰 쇼에이’가 편찬한 『한국지리』를 거쳐, 일제시대인 1908년 당시의 지리교과서였던 "高等小學大韓地誌”에 신식 지질개념이 전래의 산줄기인식을 대신한다는 선언이 등장한다. 일본인에 의해 만들어진 지리이론은 대한민국이 1945년에 해방되어 71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거의 아무런 비판이나 재검토없이 당연스럽게 교육되고 있다. 백두대간의 존재가 알려지기 전까지 산맥체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다. 문제가 있어도 그것을 반박하거나 수정할 지리관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냥 그렇게 받아들여진 측면도 없지 않다.
일제의 식민정책에 의하여 우리 민족에게 잊혀졌던 우리나라 고유 지리체계인 백두대간과 장백정간, 13정맥은
이 우형 이라는 산악인에 의해서 부활되었다. 이 우형은 1980년 어느 고서점에서 우연히 조선광문회가 활자본으로 간행한『산경표(山經表)』를 얻게 되어 연구를 거쳐 1986년에 신문지상에 백두대간의 존재를 발표하였다. 1988년에 박 용수에 의해 조선광문회본 『산경표』가 해설과 함께 영인본으로 간행되었고, 월간「사람과 산」은 관련 연재기사를 내보내며 이후 지속적인 관심으로 큰 역할을 하게 된다. 1993년에 조 석필은 『산경표를 위하여』를 펴냈고, 1997년에 이를 보완하여 『태백산맥은 없다』라는 저서를 발간하여 백두대간의 본격적인 부활을 알렸다. 2000년에 현 진상은 『산경표』를 한글로 옮기고, 관련 연구성과를 덧붙인 『한글 산경표』를 펴내어 백두대간 연구의 대중화를 위한 발판을 놓는다.
※ 위 내용은 양 보경님의 “신 경준의『산수고(山水考)』와 『산경표(山經表)』”, 조 석필 著 『태백산맥은 없다』 에서 발췌함.
청원인은 백두대간을 왕복 종주하였고, 9정맥을 완주했습니다. 현재는 9기맥을 종주하고 있는 산악인입니다. 앞으로 남북관계가 개선되어 미답지인 북한의 백두대간 구간과 4개 정맥, 장백정간에도 가보고 싶습니다. 그러기 전에 우리나라 지리 교과서가 바뀌어서 산맥이론을 뒤집어 놓았으면 좋겠습니다. 교과서에서는 태백산맥, 소백산맥, 차령산맥, 광주산맥, 낭림산맥, 멸악산맥으로 배우고, 실제로 산을 탈 때는 백두대간 13정맥, 장백정간으로 타면 이론과 실제가 맞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생 인류 중에 남북한 백두대간을 종주한 사람은 뉴질랜드 사람 로저 셰퍼드씨가 유일합니다. 외국인도 하는 일을 우리 민족은 못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도 북한의 산을 자유왕래 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학수고대합니다.
아래 내용은 청와대 홈페이지 "국민청원"란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발췌하여 왔습니다
댓글은 다음카페 "산경표따르기"에 기재되어 있는 글을 모셔 온 것입니다
국민청원-우리나라 지리교과서를 다시 썼으면 좋겠습니다
바로가기
대한민국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클릭하셔서
인증수단(페북, 네이버 등)을 선택하시고
죽 아래로 내려서 검색난에 "우리나라 지리교과서를 다시 썼으면 좋겠습니다"를 입력하시고
검색을 클릭하시면
동의란이 나옵니다
그곳에 참여의사를 밝혀주시고 동의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동의 5 명
산경표따르기의 바람솔솔님 제안
제목 : 우리나라 지리 교과서를 다시 썼으면 좋겠습니다. |
산꾼들이 약1500만명이라고 하는데 글쎄요 저조한 실적이라,
과연 20만명을 넘길수 있을지 참으로 걱정입니다.
많이들 동참 하시길 기원해 봅니다
이 방에 계시는 분들만 동참해 주셔도 수 백명은 될텐데요. 아쉽습니다.
이런 문제는 개인이 힘들게 처리할 문제가 아니고, 집단의 힘을 이용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아직도 우리나라 지리학계에 일본의 입김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소름이 돋습니다.
회원님들의 많은 동참을 바랍니다.
수 백억 원씩 해쳐먹을 줄만 알았지, 전직 대통들은 이런 문제는 관심도 없습니다.
이 글을 공지로 지정해 주실 것을 방잠님께 정중히 부탁드립니다.
청와대 국민청원을 링크해서 별도로 찾아가지 않고 이곳에서 청원하는 방법은 없는지요
제가 그런쪽은 문외한이라 답답해서 그럽니다
이 카페가 생긴 이유도 님과 같은 뜻입니다만
산행은 열심이지만 산경표 우리산줄기 이야기로 들어가면 좀 소원해지는 것이 사실이라
님에게 미안한 마음 금할 길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