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지도

정선 다락산 상원산

꼴통 도요새 2018. 5. 30. 09:37

정선 다락산 상원산

1. 산행지: 다락산(1,019m), 상원산(1,421m)

2. 위치: 강원도 정선군 북면과 북평면 경계에 있는 산.

8. 산행 코스: 구절리 오장교 입구다락산(1080m)버들재민가상자개 삼거리 입구

9. 특징:  

다락산

다락산(1,018m)은 강원도 정선군 북면 구절리에 자리한 산이다. 발왕산(1458m)의 산줄기가 남으로 뻗어 내리다. 자개천과 송천에 이르러 더 나아가지 못하고 동서로 길게 누우며 노추산이 있는 송천가에 솟은 산으로 발왕산에서 뻗어 내린 능선상의 마지막 봉우리이다. 송천을 사이에 두고 노추산을 마주 보고 있다. 구절역이 바로 옆에 있다. 다락산은 숲이 울창한 육안으로 길 찾기가 쉬운 산은 아니다. 특히 주릉에서는 무성한 초본류 속에 길이 묻히기 일쑤여서 길 찾기가 어렵다. 어느 산이건 가장 길 찾기가 어려운 곳은 능선이 펑퍼짐하게 넓은 곳인데 다락산은 그런 능선을 갖고 있는 산이다. 산행로마다 숲이 우거졌고 야생란을 위시한 자생식물이 남아있으며, 자개천의 푸른 물빛이 오염되지 않은 비경을 이루는 깨끗한 산이다. 원시의 냄새를 풍기는 다락산의 초본류는 그 무성하고 수수한 모양새로 그런 것을 좋아하게 마련인 등산객을 유혹한다. 산 꽃 촬영에 적당한 산이다. 다락산은 코스가 짧고 경사가 급한 탓으로 안내산악회가 잡지 않는 산이다.

상원산[上元山]

근방의 산중 제일 으뜸이 되는 큰 산이라 하여 상원산이라 불린다.

상원산의 높이는 1,421m이며, 상원산의 북쪽에 두루봉(1,226m), 서쪽에 갈미봉(葛味峰, 1,266m), 남쪽에 백석봉(白石峰, 1,170m)·옥갑산봉(玉甲山峰, 1,285m), 북동쪽에 노추산(魯鄒山, 1,322m) 등이 솟아 있으며, 산세는 험한 편이다. 동쪽에는 평창군 대관령면의 황병산(黃柄山) 부근에서 발원하여 횡계리를 지나 남쪽으로 흐르는 남한강의 지류인 송천(松川)이 심한 곡류를 이루고 있다. 상원산 부근의 구절리는 정선탄전에 속하는 무연탄 탄광을 중심으로 발달된 탄광취락이었다. 그리고 석탄 수송을 목적으로 부설된 증산에서 구절간의 정선선(旌善線)의 기점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80년대 탄광들이 속속 폐광을 한 뒤 탄부들이 빠져나가고, 구절리의 탄광취락도 산뜻한 새집들에 의해 경관이 바뀌었다. 또한 2004년부터 정선선의 열차운행구간을 이은 여량역까지 단축되었고, 여량역과 구절리역 사이의 7.2구간의 철도는 정선군에 의해 레일바이크라는 관광철도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북평면은 석탄 산업이 아닌 자연과 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관광지로 변화하기에 주력하고 있다. 북평면은 관광지로 변화의 기반을 상원산을 비롯하여 가리왕산, 난향노원, 상정바위, 항골, 봉화치, 숙암계곡, 백석봉 등으로 삼고 있다.

교통편-숙박:

정선에서 여량으로 가서 여량에서 구절리행 버스를 탄다(하루 3회운행), 그외 소형버스가 여량에서 하루 4회 구절리까지 운행한다. 기차는 밤 10시 청량리를 출발하는 통일호를 타면 새벽 3시 40분에 구절리에 도착한다. 구절리에서 증산으로 가는 열차는 1일 5회 있는데 이중 4시 40분차와 8시 25분차를 산행후에 탈 수 있다. 증산에서는 제천까지 간 뒤, 버스로 갈아타거나 열차로 갈아 타야한다.


우리산줄기이야기

백두황병발왕단맥

백두황병지맥이 소황병산에서 분기하여 남하하면서 용산지나 1166봉에서 황병지맥은 서남방향으로 흐르고 한줄기를 동쪽으로 분기하여 1070봉-발왕재-1253봉-發王산(△1458.1, 3.4)을 지나 평창군 도암면, 진부면, 강릉시 왕산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 1130봉(2/5.4) 남측에서 동남방향으로 老人봉(△1059.4, 여맥)을 떨구고 남진한다. 978봉-율목치(930, 4.5/9.9)-△1138.2봉-상장평(910)-多樂산(1018, 4.7/14.6) 지나 정선군 북면 구절리 양지마을(430, 1.4/16) 황병산이 발원지인 송천변에서 끝나는 약1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백두황병상원단맥

백두황병지맥이 소황병산에서 분기하여 황병산을 지나 남하하면서 박지산 지난 도면상 1303봉 정상 직전에 우측 서북방향으로 황병지맥은 흘러가고 한줄기를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정선군 북면과 북평면의 경계를 따라 1303봉-1293봉-등고선상1310봉(△)-上元산(△1421.4, 5.2)-1322봉-玉甲산봉(△1263, 2.6/7.8)에서 경계선을 떠나 옥갑사 북측능선을 타고 정선군 북면 여량리 415번지방도로변을 지나 송천과 골지천이 만나 조양강물이 되는 곳(350, 3.5/11.3)에서 끝나는 약11.3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