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나리
중나리
단나리, 털중나리
분류: 식물 > 단자엽식물 > 백합과(Liliaceae)
학명: Lilium leichtlinii var. maximowiczii (Regel) Baker
본초명: 동북백합(東北百合, Dong-Bei-Bai-He), 백합(百合, Bai-He), 야백합(野百合, Ye-Bai-He)
나리는 백합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화초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산과 들에 많이 자라며, 꽃이 크고 아름다워서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는다. 백합이라고 불리는 나리 종류는 세계에 100여 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20여 종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나는 나리에는 털중나리 · 솔나리 · 날개하늘나리 · 말나리 · 하늘말나리 · 중나리 · 땅나리 · 참나리(백합) 등이 있는데 옛날부터 흔히 꽃밭에서 가꾸고 있다.
나리는 대체로 여름철에 꽃이 핀다. 꽃잎은 6장인데, 곁에 있는 3개의 꽃잎은 꽃받침이 변한 것이다. 꽃 모양은 나팔 모양으로 생긴 것, 꽃잎이 뒤로 젖혀진 것, 컵 모양으로 생긴 것 등이 있다. 줄기는 곧으며 좁고 긴 잎이 어긋나기로 난다. 잎이 변하여 된 비늘줄기인 알뿌리로 번식하며, 참나리는 잎겨드랑이에 달린 살눈으로도 번식한다.
다년생 초본으로 인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에서 자란다. 인경은 지름 3~4cm 정도로 둥글고 인편에 관절이 없으며 줄기는 높이 40~80cm 정도이다. 어긋나는 잎은 길이 8~15cm, 너비 5~12mm 정도의 넓은 선형이고 털이 없거나 백색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지만 잔돌기가 있다. 7~8월에 개화하며 2~10개의 꽃이 밑을 향해 핀다. 꽃잎은 길이 6~8cm 정도의 피침형으로 황적색이며 안쪽에 자주색 반점이 있고 뒤로 말린다. ‘참나리’와 다르게 주아가 없고 화피는 길이 6~8cm 정도로 황적색이며 자주색 잔점이 있다. 어릴 때에는 전초를 식용하며 밀원용이나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특성
단자엽식물(monocotyledon), 다년생초본(perennial herb), 직립형식물(erect type), 야생(wild), 약용(medicinal), 식용(edible), 관상용(ornamental plant)
적용증상 및 효능
각혈, 강심, 강심제, 강장, 강장보호, 객혈, 기관지염, 동통, 백일해, 소아경풍, 소아허약체질, 신경쇠약, 안오장, 안정피로, 역질, 유방염, 유방왜소증, 유선염, 윤폐, 윤폐지해, 익기, 익지, 정기, 정신분열증, 종기, 진정, 청심, 청심안신, 토혈, 토혈각혈, 폐결핵, 폐렴, 해독, 해소, 해수, 허약체질, 후두염
※꽃이 피는 방향에 따른 구별법:
'하늘~' 는 위를 보며, '땅~'는 아래를 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옆을 본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은 없지만 나팔나리계열은 옆을 보며 피고,
말나리는 옆을 보고 피지만 많은 꽃송이가 달리면 아래쪽을 보는 경우도 있다.
그 외 나리의 꽃피는 방향을 옆이나 아래로 구별하기는 쉽지 않지만, 꽃이 달리는 모양이 나팔나리계열과는 확연히 차이가 나는 종류를 편의상 아래를 보는 꽃으로 분류하였다.
1) 꽃이 위를 보는 것-- 꽃잎이 위를 향해 피며 뒤로 젖혀지지 않는다.
하늘나리 계열(하늘나리, 날개하늘나리, 하늘말나리, 누른하늘말나리, 지리산하늘말나리 등)
2) 꽃이 옆을 보는 것-- 나팔나리계열(나팔나리, 당나리), 말나리 등.
3) 꽃이 아래를 보는 것-- 땅나리, 노랑땅나리, 솔나리, 큰솔나리, 참나리, 중나리, 섬말나리, 털중나리, 응달나리 등.
※ 잎의 모양에 따른 구별법:
1) 잎이 어긋나는 것과 돌려나는 것이 함께 있는 것--줄기 위쪽의 잎은 어긋나며 줄기 중간의 잎은 돌려난다. 말나리계열(말나리, 섬말나리, 하늘말나리, 누른하늘말나리, 지리산하늘말나리 등).
2) 잎이 어긋나게 나는 것-- 참나리, 중나리, 털중나리, 땅나리, 노랑땅나리, 하늘나리, 날개하늘나리, 나팔나리, 당나리, 솔나리, 큰솔나리, 금나리 등.
3) 잎이 가늘게 나는 것-- 솔나리, 큰솔나리, 금나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