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산사나무

꼴통 도요새 2018. 8. 22. 07:24

산사나무

아가위나무, 찔구배나무, 질배나무, 동배나무, 애광나무, 산사, 찔광이, 야광나무, 뚱광나무, 이광나무, 산리홍, 산조홍, 홍과자, 적과자(赤瓜子), 산표자(山票子), 적조자(赤棗字), 아그배나무, 질구나무, 돌배나무, Hawthorn , 山査木


분류: 낙엽 활엽 소교목 

학명: Crataegus pinnatifida 

분포지역: 전국 각지 

자생지역: 산지, 골짜기, 마을 부근 

번식; 꺾꽂이·씨 

약효 부위: 열매 

생약명: 산사자(山査子) 

키: 6~8m 

과: 장미과 

채취기간; 9~10월(열매 성숙기)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약간 따뜻하며, 시고 달다. 

독성여부: 없다. 

1회 사용량: 열매 5~7g 

주의사항: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아광나무의 열매 


어긋나며 길이 6~8cm, 나비 5~6cm의 넓은 달걀꼴 또는 삼각 모양의 달걀꼴로서 가장자리가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는데 밑 부분은 더욱 깊게 갈라진다. 가장자리에 뾰족하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에 윤기가 있으며 양면의 맥 위에 털이 있다. 잎자루의 길이는 2~6cm이다.
 

5월에 가지 끝에서 산방 꽃차례로 흰색의 오판화가 달려 핀다. 꽃잎은 둥글며 꽃받침 조각과 더불어 각각 5개씩이다. 수술은 20개이며 꽃밥은 붉은색이다.
 

열매

9~10월에 지름 1.5cm 정도의 둥근 이과가 달려 붉게 익는데 끝에 꽃받침이 남아 있고 흰색의 반점이 있다.
 

특징 및 사용 방법

산사·질배나무·동배나무·애광나무·아가위나무라고도 한다. 나무의 모양이 거의 원형에 가까울 정도로 자란다.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가지에 털은 없으며 가시가 나 있다. 방향성이 있다. 유사종으로 잎이 크고 얕게 갈라지며 열매의 지름이 2.5cm인 것을 넓은잎산사, 갈라진 잎의 조각이 좁은 것을 좁은잎산사, 잎이 거의 깃꼴겹잎처럼 갈라진 것을 가새잎산사, 잎의 뒷면과 작은 꽃자루에 털이 촘촘히 난 것을 털산사, 잎이 갈라지지 않는 것을 자작잎산사라 한다. 열매를 산사자라 하는데 특히 우리나라 것은 토산사(土山査), 중국 것은 산사육(山査肉)이라 한다. 관상용·약용·식용으로 이용된다. 꽃과 열매가 아름답고 잎의 모양도 기이하여 정원수·조경수로 훌륭하다. 열매는 그대로 먹거나 화채 또는 과실주를 담가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효능

주로 소화기·순환계 질환을 다스리며, 통증에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간경변증, 강심제, 강장보호, 건위, 고지방혈증, 고혈압, 곽란, 동맥경화, 동상, 복부팽만, 복통, 산증, 상기, 설사, 소화불량, 식욕부진, 어혈, 요통, 월경불순, 위염(급성), 유즙분비부전, 장염, 장출혈, 주독, 진통, 청혈, 콜레스테롤억제, 행혈[출처: 다음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