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상주 살목산, 시루봉, 골봉산, 석삼봉
보은 상주 살목산, 시루봉, 골봉산, 석삼봉
1. 산행지: 살목산(402.6m),시루봉(505.7m),골봉산(515.9m),석삼봉(272.3m)
2. 위치: 충북 보은군 미로면, 경북 상주시 화남면
7. 들머리/ 날머리: 기대리 보리사[원점회귀]
8. 산행코스: 기대리 보리사→살목산→시루봉→골봉산→석삼봉→
9. 특징:
■살목산(404m)충북 보은군 마로면 기대리와 소여리 사이에 있는 산이다. 시루봉(505.7m)은 충북 보은군 마로면 변둔리와 세중리 사이에 있는 산이다. 마로면 기대리와 탄부면 대양리에 소재한 산이다. 그리고 골봉산(515.9m)은 충북 보은군 마로면 소여리에 소재한 산이다.
■석삼봉(272.3m)은 경북 상주시 화남면 중눌리에 소재한 산이다.
우리산줄기이야기
백두팔음지맥
백두대간이 남진을 하며 상주시 화서면 백두대간상 속리산을 지나 화령재로 내려서기 전 鳳凰산(△740.8m)에서 백두대간은 동북으로 흐르고 한줄기를 남쪽으로 분기하여 436봉 지나 25번국도(290m, 2.6km)로 내려선다. 봉천-316봉-산수동-황산마을(310m,4.5km/7.1km)까지 비산비야 구간을 지나 川澤산(683.2m, 1.6/8.7)에서 북쪽으로 시루봉(△505.7 단맥)을 떨구고 남진한다. 개티재(350, 2.5/11.2)-496봉-△584.3봉-587봉-양지리임도(370, 4.5/15.7)-달박골도로(490, 3/18.7)-八音산(△762.3, 0.7/19.4)에서 동쪽으로 백화산을 떨구고 옥천군과 상주시의 경계를 따라 남진한다. 별재(290, 5.2/24.6)-千金산(△454.9, 2.1/26.7)-△308.6봉-19번국도 샘티재(수준점 229.77m230,4.1/30.8)-天冠산(△467.7,2.3/33.1)-밤재(230,0.5/33.6)-장군재(290,2/35.6)-413봉(3/38.6)-△341.2봉(1.2/39.8)-경부고속도로영동터널(290, 1.8/41.6)-갓모봉(410)-길동안부(330,2.4/44)-쇠말봉(394)-△366.2봉(2.7/46.7)-깃대봉(415)지나 505번지방도로 당재(270,1.1/47.8)로내려선다.△306.5봉(2/49.8)-鐵峰산(△449, 4.6/54.4)-분지벌고개-금강터널-△215.7봉 지나 경부고속도로 금강2교(70, 2.8/57.2)에서 금강물이 되는 도상거리 약57.2km의 산줄기를 어떠한 큰 강줄기를 가르는 것도 아니고 어느 유명산이 있는 것도 아니라 이름을 짓기가 심히 곤란하나 그 산줄기중 가장 높은 산인 팔음산의 이름을 빌어 백두대간에서 분기하였으므로 그 이름을 차용하여 백두팔음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백두팔음시루단맥
백두봉황팔음지맥 川澤산(△683.2)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소여임도(270, 4)-525봉-시루봉(△505, 3/7)-309봉-316봉-보청천변(110, 4.5/11.5)에서 끝이 나는 약11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