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청주 시루봉, 성무봉, 관봉, 선도산, 선두산, 백족산

꼴통 도요새 2019. 1. 28. 13:49

청주 시루봉, 성무봉, 관봉, 선도산, 선두산, 백족산

 

1. 산행지: 시루봉(392m), 성무봉(431.7m), 관봉(409m), 선도산(545.8m), 선두산(527.2m), 백족산(413.5m)

2. 위치: 충북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한계리(청주 공군사관학교 뒷산)

 

6. 산행시간: 06시간 10분

7. 들머리/ 날머리: 가덕면 한계리[원점회귀]

8. 산행코스: 한계리→왕암사⟶시루봉⟶성무봉⟶관봉⟶미터재⟶한남금북정맥 선도산 삼거리⟶한남금북정맥 선도산 삼거리로 다시 백⟶선두산⟶백족산⟶한계리

9. 특징:

선도산

한남금북정맥의 산줄기가 지나가는 구간 중 청주지역의 중심구간이 되고 있으며 행정구역상 청주시 지역에서 제일 높은 산이 된다. 선도산 산행의 출발점은 한남금북정맥의 산줄기에 걸쳐있는 낭성면 현암리 수레너미 마을 뒤로 올라 선도산 남봉 정상에서 서쪽으로 가고 있는 효촌 방향 산줄기를 따라가다 말구리재를 거처 청주와 보은을 오고가던 미테재에서 월오동으로 하산을 하는 종주형 산길이 있고 한계저수지에서 한시울 마을 뒤 안건이 고개를 따라 올라 선도산 정상까지 갔다가 다시 남봉으로 되돌아와 말구리재에서 한계저수지로 내려서는 산행코스가 있지만 안건이 고개 코스는 산길정비가 필요하다. 선도산은 정상에서 바라보는 청주시 전경과 청원군의 산간마을들을 바라보는 전망이 좋으며 정상과 남봉을 연결하는 완만한 산길이 정상을 대신하고 있다. 진달래가 군락을 이루고 있어 봄이면 진달래 꽃길 사이로 산행을 할 수 있는 가족 산행코스로 인기가 높은 좋은 산행길이 되고 있지만 정상부의 정비가 필요하다. 수레너미 마을은 한 스님이 마을을 지나가다 이곳으로 수레가 넘어갈 것이라는 말을 남겨 수레너미 마을이라 부르고, 월오동 서운말 장승제는 선도산 정상 부근에 있는 선도산 할배와 할미 바위를 모셔 마을의 안녕과 가정의 행복을 비는 보름맞이 장승제를 매년 지내고 있다. 선도산 북쪽계곡은 무심천의 주요 수계지역으로 계곡물이 깨끗하고 물맛이 좋다

성무봉, 관봉

공군사관학교가 자리를 잡으며 붙여진 이름으로 주변 마을 분들은 형제봉으로 부르기도 한다. 왕암사로 가는 오솔길과 능선에서 보는 쌍수리와 상야리 들판이 마음을 풍요롭게 하는 곳이다. 한마디로 시원함 그 자체로 보인다. 이름도 재미있는 문주리 주주골이 정겹고 산비탈에 걸려있는 한적한 산길이 반갑기만 하다. 산길의 시작은 은행리를 지나 주주골 마을에서 시작한다. 마을을 지나 왕암재로 가는 오솔길이 좋고 커다란 바위를 배경으로 아담한 모습을 한 왕암사가 있다. 공군사관학교로 넘어가는 왕암재 정상에서 좌측으로 가면 효촌 효자이야기가 있는 시루봉으로 가고 우측으로 오르다 보면 바위지대를 지나며 시원스러울 정도로 전망이 좋은 성무봉이 나온다. 청주시가지와 청원의 용평들판이 멋지게 보이는 성무봉을 지나 북쪽 산길을 따라가면 사람들의 발길이 뜸하고 조용한 산길이 계속 이어진다. 청주 동남지역 전망대 역할을 하고 있는 관봉에서 바라보는 운동동, 송암리, 황청리 방향의 전망도 좋다. 모두가 우리가 살고 있는 청주지역 삶의 터전이다. 관봉에서 내려서면 능선 갈림길이 나오고 좌측으로 효촌방향 능선, 우측으로 선도산 방향 미테재로 향한다. 청주와 보은을 이어주던 미테재는 우리고장에서 유일하게 원형을 잘 보존하던 옛길이었지만 최근 청원군에서 도로확장을 하며 많은 부분을 훼손하고 있다. 하산은 황청리 저수지를 지나 문주리 주주골까지는 포장된 도로를 따라가면 된다.

왕암사

역사는 오래된 것으로 보이나 기록은 없다. 세조가 보은으로 가기 위하여 백족산 부근을 지나 피반령을 넘다 바라본 성무봉의 바위가 멋지다는 말을 남기자 왕이 말한 바위라는 뜻의 왕암사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하는데 전설로만 내려오는 것 같다. 왕암사로 오르는 오솔길과 성무봉과 관봉(冠峰407m) 능선의 산길이 좋다. 성무봉으로 오르는 바윗길에서 만나는 주변 풍광이 멋지다. 앞에 보이는 높고 길게 이어지고 있는 능선이 한남금북정맥의 주능선으로 우측 끝에 보이는 피반령에서 대수산, 청남산 상봉, 살티, 국사봉으로 이어지고 서쪽으로 공군사관학교를 건너 한남금북정맥 팔봉지맥으로 문의고개, 국사봉, 용덕산, 팔봉산 줄기가 내려가고 있다.

  우리산줄기이야기

한남금북성무단맥

문주리 주주골 앞 7번 도로~왕암사 오솔길~왕암사~성무봉 정상~노루재~401봉(금계산)~벼재~관봉~갈림길~미테재~황청리 방죽~상야교~문주리 주주골 앞 도로. 한남금북정맥이 백두대간 속리산 천황봉에서 분기하여 흐르다가 先到산(△547.2) 남측 0.5km 지점인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가덕면의 삼경봉(530)에서 한남금북정맥은 남동방향 선두산으로 흐르고 한줄기를 남서방향으로 분기하여 청주시 상당구와 가덕면의 경계를 따라 말구리재(330, 0.8)-336봉(1.7/2.5)-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남일면의 삼경지점인 미테재(290, 0.3/2.8)를 지나 삼경을 다 버리고 남일면 내를 동서로 나누며 대체적으로 남진을 하며 冠봉(407, 1.2/4)-성황당고개(330, 0.4/4.4)-星武봉(△431.4, 1.3/5.7)-왕암고개(330, 0.5/6.2)-시루봉(390, 0.8/7)-25번국도 분터골고개(110, 2.4/9.4)를 지나 청원군 가덕면 상대리 상대2구 강변도로 상대교 무심천변(70, 3.2/12.6)에서 끝나는 악12.6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