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화시산 시루봉, 옥녀봉, 화암봉
고창 화시산 시루봉, 옥녀봉, 화암봉
1. 산행지: 화시산(火矢山403.2m), 시루봉(315m), 옥녀봉(192m), 회암봉(190m),고인돌 유적지
2. 위치: 전북 고창군 아산면 운곡리
8. 산행코스: 소굴치⟶삼거리⟶시루봉(투구바위)△315m⟶촛대바위⟶촛대봉⟶가마바위(상여바위)와 거북바위-삼거리/왕자굴 갈림길⟶무재등×350m/화시산 다녀옴⟶화시산(火矢山)△403.2m(삼각점 헬기장)왕복⟶무재등→소요분맥 만남⟶된재⟶소요분맥×234봉⟶한국전쟁 방어진지⟶백운재- 범바위(호암)⟶소요분맥 이별⟶호암봉△280m⟶회안(回雁)재⟶옥녀봉△192m⟶행정치⟶회암봉△190m⟶직업재/좌측⟶∴고창 고인돌 유적지⟶고창 고인돌공원 주차장
9. 특징:
■화시산(火矢山)
전라북도 고창군의 아산면 용계리 · 운곡리와 부안면 사창리 · 상등리 등에 걸쳐 있는 산이다. 화시산은 서해안고속도로 선운산 톨게이트에서 선운산 쪽으로 가다 보면 앞에 가로 놓인 산으로 선운산 CC 를 둘러싸고 있는 산이다. 선운산으로 가다 보면 터널 좌우로 뾰족한 암릉이 아름답게 보이는 산이 화시산(화실봉)이다. 화시봉의 산세가 남서쪽을 향하여 활[矢] 모양으로 뻗어 내린 형국이며, 산봉우리가 불꽃과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화시봉을 화시산으로 부르기도 하고 화실봉으로도 부르는데, 이는 화살 ‘시(矢)’를 잃을 ‘실(失)’로 잘못 해석했거나 귀신들의 불장난으로 마을을 잃었다는 의미가 아닐까 싶다. 정상에서 불로 된 화살이 나와 광주에 떨어졌다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화시(火矢)라는 지명과 관련된 화시산은 방장산으로부터 시작해 북쪽으로 소요산에 이른다. 전해지는 이야기로 산꼭대기에 큰 바위가 하나 있었는데, 홀연히 저절로 쪼개져 불화살처럼 날아갔다고 하는 기록이 있다. 고창현과 흥덕현 경계에 있는 사슬치(沙瑟峙)에서 북서쪽으로 산줄기가 이어지다 화시산을 이룬다. 북쪽의 소굴치와 최고봉인 화시봉(화실봉) 사이에는 흥미로운 이야기가 전해지는 여러 암굴들이 줄지어 있는데, 신라의 어느 왕자가 난을 피해 백제 땅인 고창으로 와서 가마를 타고 산을 오르며 투구를 벗어 놓았다는 투구바위(시루봉), 가마가 무거워 내려놓았다는 가마바위(상여바위), 촛불을 켜놓은 촛대바위, 수행한 장수가 호랑이를 몰아내고 왕자를 모셨다고 하는 왕자굴 등이 그것이다. 산의 남쪽 줄기 성틀봉 주변의 죽림리와 상갑리 일대에는 수백 기의 고인돌이 밀집해 있다. 운곡습지 인근에 있는 고인돌 유적지도 매력적인 관광장소이다.
■[운곡습지]와 [고인돌 유적지]
고창군은 지난 2013년에 행정구역 전체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곳이다. 특정 지역이 아닌 행정구역 전체가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것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이다. 그 중심에는 지난 2011년 람사르협회에 등록된 운곡습지가 있다. 또 운곡습지 바로 인근에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고인돌이 있어 환경부는 지난 2014년 12월에 운곡습지와 고인돌 일대를 묶어 생태관광 지역으로 지정했다. 운곡리를 중심으로 2개의 마을을 낀 자연하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었으나, 1980년대에 영광원자력 발전소가 생기면서 냉각용수 공급을 위해 9개 마을주민을 이주시키고 운곡저수지를 건설했다. 이후 30년 넘게 인간의 간섭 없이 방치되면서 폐경작지의 저층이 천이과정을 거쳐 산지습지의 원형으로 복원됐다.[출처/ 배창랑선배님 블로그]
우리산줄기이야기
영산화시(소요)단맥
영산기맥 방장산 지나 방장산휴양림을 품고 있는 방장산 벽오봉(640.4) 약150m 전인 고창군 고창읍, 신림면, 장성군 북이면의 삼면봉인 활공장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모실재(370, 0.8)-△311.4m지점(0.7/1.5)봉-유천재(150, 0.7/2.2)-상성고개(110, 0.4/2.6)-옥동고개(90, 1.2/3.8)-23번국도 관음절고개(관은정고개, 50, 1.5/5.3)-△179.1봉어깨(170, 0.7/6)-봉암치(150, 0.2/6.2)-작산고개(110, 0.5/6.7)-봉곡고개(110, 0.3/7)-서해안고속도로 고창휴게소 13번군도 사실터고개(50, 1.3/8.3)-호암봉(270, 0.8/9.1)-백운고개 임도(170, 1.7/10.8)-火矢峰(△403.2)어깨(310, 1.8/12.6)-사창고개(170, 1.2/13.8)-선운사~흥덕간 도로 먹방터널위(110, 1.3/15.1)-굴치 도로(90, 0.3/15.4)-△171.8봉(0.3/15.7)-장군봉(210, 0.5/16.2)-22번국도 고개(70, 0.3/16.5)-건기봉 갈림봉(350, 0.8/17.3)-수월봉(370, 0.5/17.8)-매봉재(270, 0.6/18.4)-사자봉(344.6, 0.2/18.6)-연기재 도로 삼거리(170, 0.7/19.3)-逍遙山(△444.2)전위봉(350, 0.5/19.8)-16번군도 질마재(130, 1.2/21)-쇄점고개 도로(150, 0.9/21.9)-등고선상290봉(수앙산?, 0.8/22.7)-부안면 수앙리 인근 734번지방도로 고개(30, 2.3/25)를 지나 고창군 부안면 수앙리 영산기맥 방장산 쓰리봉이 발원지인 갈곡천이 서해 곰소만과 만나는 곳(0, 1.2/26.2)에서 끝나는 26.2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