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숫돌봉
예천 숫돌봉
1. 산행지: 숫돌봉(660m)
2. 위치: 경북 문경시 동로면 수평리
8. 산행코스: 산북면 내화리 59번 도로 노루목고개⟶290.9봉⟶661.6삼각점봉⟶숫돌봉⟶동북능선⟶임도⟶수평교⟶경천호주차장
9. 특징:
숫돌봉
문경과 예천 사이에 경천호가 존재하는데 이호수를 가운데 두고 국사봉, 정침봉, 숫돌봉이 존재한다. 경천호 아래 마광리는 정침봉과 숫돌봉 사이에 있으며 숫돌봉에 정침봉의 침을 갈아 빛이 난다는 유래가 있다. 숫돌봉은 숫돌이 나는 산이란 의미에서 유래 된듯하다. 숫돌에 칼날을 가는 끝이 모양이어서 숫돌봉이라 부른 것인지, 혹은 부근에 숫돌로 사용하는 점판암이 많이 채굴되어서 숫돌봉이라고 부른 것인지 관련이 있는 듯하나 유래는 확실치 않다.
우리산줄기이야기
백두운달공덕단맥
백두대간 대미산에서 분기한 백두운달지맥이 여우목고개를 넘어 올라간 △911.9봉어깨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동로면과 산북면의 경계를 따라 △911.9봉-669봉-도하미기재 도로(570, 4.6)-옛고개(790)-功德산(912.9,3/7.6)-방광재(690)-般若봉(710,2/9.6)-소야고개(370, 1.7/11.3)-△480.3봉-헛고개임도(390,2.7/14)-도면상 숫돌봉(595.3)-진짜 숫돌봉(△660.0)-△385.1봉-지소고개(330,3.6/17.6)-361봉(1.1/18.7)-신평고개(150)를 지나 문경시 산북면 대하리 영각마을 59번국도를 건너 천연기념물426호 문경대하리소나무가 있는 백두운달지맥 마전령이 발원지인 대하리천이 백두대간 대미산이 발원지인 금천을 만나 금천물이 되는 곳(130. 2.8/21.5)에서 끝나는 약2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