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서원산, 시루봉,수창봉, 봉명산
예산 서원산, 시루봉,수창봉, 봉명산
1. 산행지: 서원산(書院山 472.7m), 시루봉(387.9m), 수창봉(237.3m), 봉명산(238.3m)
2. 위치: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와 봉산면 봉림리의 경계에 있는 산.
3. 일시: 2019년 11월 24일(일)
4. 날씨: 맑고 따스하고 옅은 박무
5. 누구랑: 나 홀로
6. 이동거리및 소요시간: 5시간 2분[이동거리: 14.55km]
7. 들머리/ 날머리: 봉산면 봉림리 봉림저수지 공터[출발/ 도착]
8. 산행코스: 봉림리 봉림저수지 공터→본동(저수지 위 마을)→임도→봉명산→산불감시탑→임도→봉산터널 위(봉명산 등산안내도)→273m삼각점봉→양지말→청주한씨묘→밭→임도→전주최씨묘→서원산 정상4.1km이정목→서원산, 수창봉 갈림길→수창봉왕복→부엉이바위(시루봉)→서원산 정상→정대영가옥방향→산성터→봉림버스정류장→봉림저수지 공터
9. 특징:
예산 서원산(禮山 書院山)
서원산(書院山)은 가야산지의 옥양봉(玉洋峰)에서 덕산면 소재지 쪽으로 내려오는 능선에 있는 산으로, 덕산면 상가리와 봉산면 봉림리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서원산 지명은 산 밑에 사현서원이 있어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지형도』[해미]에는 ‘서원산(西院山)’으로 표기되어 있다. 서원산 일대는 높이 400~600m의 구릉성 산지가 비교적 넓은 규모로 발달해 있으며, 서원산 서쪽의 덕산면 상가리 및 서산시 운산면 경계엔 옥양봉이 있고, 옥양봉의 남쪽의 상가리 일대엔 석문봉(石門峰)과 가야봉(伽倻峰)이 있다. 서원산 북쪽의 봉산면 봉림리와 서산시 운산면의 경계엔 실티재가 있다. 서원산의 사면부에는 곡간충적지가 북동부, 동부 및 남동부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발달되어 있지 않다. 서원산의 북동부 곡간 충적지에는 실치, 중상골, 서림골, 본동 등의 마을이 있고, 동부 곡간 충적지에는 성지, 상안 등의 마을이 있다. 또한, 남동부 곡간 충적지에는 천동, 점말, 후종, 정자말, 돌소지, 솔안말 등의 마을이 있다. 서원산 아래 상가리에는 보덕사(報德寺)가 있는데, 보덕사는 조선 말기 왕실의 운명이 전설처럼 서려 있는 역사적인 사찰이다. 가야산 동쪽 능선에 해당되는 옥양봉 남쪽 산록에는 가야사라는 고찰이 있었다. 가야사 절터가 왕손을 낳게 한다는 풍수설 때문에 흥선대원군은 종실의 보존을 위해 가야사를 불태우고 아버지인 남연군 이구의 무덤을 썼다. 마침내 소원이 이루어져 둘째 아들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이에 흥선대원군은 고종(高宗)의 즉위에 대해 은덕을 갚는다는 뜻으로 절을 지어 이름을 ‘보덕사’라 하였다고 한다. 보덕사에서 멀지 않은 곳에 남연군묘가 있다. 독일의 상인 오페르트(Ernst Jacob Oppert)가 남연군 묘를 도굴하려다가 실패하였으며, 이 사실이 대원군이 쇄국정책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네이버 지식백과]
우리산줄기이야기
금북옥양봉명단맥
금북정맥 석문봉에서 분기한 금북옥양지맥이 흐르면서 옥양봉 서원산어깨를 지나 618번지방도로 실티재에서 올라간 도면상 230M지점인 곳에서 우측 동남쪽으로 분기하여 鳳鳴산(△272.2, 1)-618번지방도로 봉산터널위(190)-봉산고개 십자안부 도로(170, 0.7/1.7)-도면상 鳳鳴산( 자주봉, 238.8)어깨(230, 0.6/2.3)-11번군도 구암고개 도로(70, 2/4.3)-天台산(△126.2)어깨(110, 0.5/4.8)-622번지방도로 득득거리재(30, 1.5/6.3)-대전~당진간 고속도로(30, 4/10.3)-구만초교지나 619번지방도로 윗뜸마을(10, 0.7/11)-예산시 고덕면 구만리 아래뜸(10, 0.6/11.6) 본뜸 새터마을을 지나 구암천이 삽교천을 만나는 곳(10, 1/12.6)에서 끝나는 약12.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금북옥양서원단맥
금북정맥이 백두대간 속리산 천황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한남금북정맥으로 흐르다 안성 칠장산에서 다시 두줄기로 분기하여 한줄기는 한강의 온전한 남쪽 줄기를 이루면서 김포벌로 이어가고 다른 한줄기를 남으로 분기하여 충청남도 땅을 휘저으며 가다 예산의 진산인 덕숭산(수덕산)과 가야산을 품고 있는 덕산도립공원을 지나가며 예산과 서산의 경계를 따라 북진하여 암산인 石門봉(653)에 이르러 금북정맥은 잠깐 서쪽으로 가다 북진하며 일락산 방향으로 뻗어 나가고 동북 방향으로 금북옥양지맥을 분기하여 서산시 운산면과 예산군 덕산면의 경계를 따라 玉洋봉(621.4)을 지나 서산과 예산의 경계를 벗어나 순수한 예산군 덕산면의 북단면을 남북으로 나누며 동쪽으로 내려가 의현동임도에서 올라간 書院산(△472.7)어깨(410)에서 금북옥양서원단맥이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예산군 덕산면과 봉산면의 경계를 따라간다. 書院산(△472.7, 0.8)을 지나 등고선상270m 지점(2.2/3)에서 남쪽 옥계저수지로 가는 산줄기를 흘려보내고 좌측 동쪽으로 내려가다 등고선상110m지점(0.8/3.8)에서 봉산면과 덕산면의 경계를 벗어나 덕산면내로 들어가 동남방향으로 흘러 덕산면 읍내리 609번지방도로(70, 1.3/5.1)에 이른다. 북문리도로(50)-덕산초교(70)-622번지방도로(50)-△55.3m지점에서 삽교읍과 봉산면의 경계를 만나 읍내오거리 북측 도로(30, 1/6.1)에서 밭 가운데 농로를 따라 45번국도(30, 1.1/7.2)를 만나면서 삽교읍내로 들어가 도로따라 역리 북측 도로-성미마을 북측 도로-용동초교 북측 도로(30)를 지나 619번지방도로(30, 4.3/11.5)를 만나 도로따라 예산군 삽교읍 용동리 하용마을 효교천변 청룡교(10, 1.5/13)에서 끝나는 약13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