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고성 좌이산
경남 고성 좌이산
1. 산행지: 좌이산(415.8m)
2. 위치: 경남 고성군 하일면 오방리
3. 일시: 2021년 5월 15일(토)
4. 날씨: 비
5. 누구랑: 나 홀로
6. 이동거리 및 소요시간: 6.80km/ 2시간 40분
7. 들머리/ 날머리: 명덕고개/ 대구막 버스정류장 [출발/ 도착]
8. 산행코스: 명덕고개(정자)→묘→바위전망대→청룡사 갈림길→좌이산 정상(봉수대) 왕복→청룡사→춘암마을→신기마을→동화어촌체험마을→명덕고개
9. 특징:
좌이산 봉수대
좌이산 봉수대는 변방의 긴급한 상황을 중앙이나 해당 진영에 알려 적의 침략을 분쇄하는 등 군사적 목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고성읍에서 약 30㎞ 지점에 위치한 해발 392m의 산 정상에 자리잡고있다. 이 봉수대는 전체면적 240.5㎡로 둘레는 73m 정도이나 현재까지 남아있는 석축은 36m이고, 높이는 1.6~2.2m, 두께는 30~50cm 이다. 이곳 봉수대는 조선 초기에 설치된 것으로 우산 봉화대에서 신호를 받아 사천의 각산봉화대와 사량진봉화대 및 소을비포 진영에 보고하는 망대로 활용되었다.[출처/ 고성군청 홈페이지]
고성의 서남쪽 바닷가로 동쪽으로 자란만을 바로 내려다보는 위치에 있다. 정남쪽으로 통영 사량도를 바라보는 좌이산 정상에는 봉수대가 설치돼 있다. 바위 봉우리인 정상 봉수대에서는 동쪽으로는 거제도, 서쪽으로는 사천 와룡산과 남해도, 창선도가 손에 잡힐 듯하고 남쪽으로는 사량도 지리산이 정면에 보인다. 좌이산의 이름은 한자 풀이대로 용의 왼쪽 귀를 의미한다. 그런데 이 용이 어떤 용이냐는 것은 딱 부러지게 말하기가 어렵다. 사천 와룡산 정상에서 남쪽으로 바다를 바라보면 산줄기가 뻗어 나간 왼쪽 끝에 있어 사천 와룡산의 왼쪽 귀라고 흔히 말한다. 하지만 좌이산 정상에서 북쪽에 있는 고성 향로봉에서 봤을 때 왼쪽 귀라고 하기도 한다. 고성 향로봉 아래 하이면 와룡리에서는 사천의 와룡산에 빗대 고성 향로봉을 고성 와룡산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와룡산의 한줄기로 봐서 와룡산 향로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0. 탐방후기
이번 주말은 비소식이 있기에 등산로가 좋은 미답지 산들을 찾아 나선다.
우선 산행을 마무리 하고 친구의 고향인 남해 송정해수욕장으로 가야하기에 남해에서 가장 가까운 미답지 산들 중 경남 고성에 좌이산을 찾았는데, 좌이산은 정상에서의 조망도 좋을 뿐만 아니라 주변에 해안가 도로를 따라 걸으며 볼거리도 많고, 등산 안내도 등산로 이정표...등등 모두가 잘 정비되어 있었다. 필자는 짙은 안개와 비 때문에 많은 볼거리를 담아조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쉽긴 하지만, 그래도 서울에서 먼 거리인 미답지 중 한 곳을 탐방하였다는데 큰 의미를 두며 산행을 마무리 하였다.
우리산줄기이야기
낙남와룡백암단맥
낙남정맥이 지리산 영신봉에서 흘러내려 남강과 경남 남해안을 구분지으며 대체적으로 동진을 하며 금오지맥 등 많은 산줄기를 분기하며 흐르다 경남 고성군 대가면 상리면 고성읍의 경계점에 위치한 낙남정맥에서 제일 남쪽으로 내려온 大谷산(△542.9)에서 3개의 산줄기가 분기하여 북쪽으로는 낙남정맥이 이어지고 남쪽으로는 상리면과 고성읍의 경계를 따라 와룡산으로 연결이 되고 다른 한줄기가 동쪽으로 분기하여 벽방산으로 연결이 된다. 이중 낙남와룡지맥이 능선상에 엄청나게 크신 대불좌상이 모셔져있는 수태산에서 와룡산으로 가다가 香爐봉(△578.5, 이 봉우리도 와룡산이라고 부르고 있음) 동남측 약700m 전 고성군 하이면 상리면 하일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49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고성군 하이면과 하일면의 경계를 따라 白巖산(404.5, 1)레서 동남방향으로 左耳산(415.3)으로 가는 여맥을 떨군다. 단맥은 서남진하여 와룡재임도(310, 1.2/2.2)-서리재 임도(270, 0.5/2.7)-월아치(210, 2.2/4.9)-다북산(296.5, 1.5/6.4)-77번국도 1010번지방도로사거리 월흥고개(90, 1/7.4)-214봉(0.9/8.3)-2차선 덕명도로 섭밭재(90, 1.1/9.4)-군호고개(130, 1/10.4)-짱아벅골안부(110)-156봉-봉화골에서 전담을 넘는 1차선도로(90, 1.7/12.1)를 지나 덕명리 고성공룡박물관 서남측 육지끝으로 돌출된 도면상 등대끝으로 표기된 등대(0. 1.3/13.4)에서 끝나는 약13.4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