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횡성 죽림산, 신선봉, 호두봉

꼴통 도요새 2021. 7. 26. 08:40

횡성 죽림산, 신선봉, 호두봉

1. 산행지: 죽림산(△640.1m), 신선봉(622.1m), 호두봉(625.9m)

2. 위치: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둔내면

3. 일시: 2021년 7월 24일(토)

4. 날씨: 바람 한 점 없는 폭염경보

5. 누구랑: 나 홀로

6. 이동거리 및 소요시간: 15.25km/ 6시간 40분

7. 들머리/ 날머리: 정금리 고락고개 위 KTX시설물/ 선락동 표지석

8. 산행코스: 날머리: 정금리 고락고개 위 KTX시설물→가족묘지(정자)옆 진입→너덜지대→철탑→능선→철탑→철탑→철탑→565봉→대숲고개(외딴농가)→죽림산 왕복→임도→궁종리 경로당→점고개→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이정판→둔내방향 이정판→상대리 임도 표지판→느릅재 정상 이정판→숫돌봉 전망대 700m이정판→신선봉→호두봉→상구골 별빛마을→선락동 표지석

9. 특징:

횡성군

오대산에서 분기한 산맥(山脈)이 군의 동부를 남서방향으로 뻗어 동·남·북부가 높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고, 서쪽은 완경사를 이룬다. 북쪽에 수리봉(960m)·발교산(髮校山, 998m)·태의산(台議山, 675m)·오음산(五音山, 930m), 동쪽은 운무산(雲霧山, 980m)·봉복산(鳳腹山, 1,022m)·태기산(泰岐山, 1,261m)·청태산(靑太山, 1,180m)·사자산(獅子山, 1,120m)이 있다. 남쪽에는 매화산(梅花山, 1,084m)·치악산(雉岳山, 1,288m)·향로봉(香爐峰, 1,043m), 남태봉(南台峰, 1,182m)·배향산(拜向山, 808m)·삿갓봉(1,030m), 서쪽에는 성지봉(聖地峰, 791m) 등으로 둘러싸여 있다. 군내 산지의 특색은 봉복산을 제외한 모든 산이 군계와 접하고 있어 군역을 둥글게 감싸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고도는 낮은 곳이 횡성읍의 해발 110m이고, 둔내면은 평야지가 해발 500m의 고대지로 되어 있어 동고서저(東高西低)의 지형적 특색을 나타낸다. 모든 수계는 남한강계(南漢江系)에 속하고, 크게 섬강(蟾江) 수계와 주천강(酒泉江) 수계로 나뉜다. 평야로는 횡성읍 화성들(앞들), 우천면 문암들이 있으며 비교적 평야가 적은 강원도에서의 횡성 앞들은 ‘횡성인의 앞들 자랑’이란 속담이 전해질 정도로 비옥하고 넓은 들로 손꼽혀 왔으나, 개발로 인해 그 면적이 축소되고 있다. 갑천(甲川)은 태기산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청일면 감천리·유평리를 지나 초현리와 갑천면과의 경계에서 계천(桂川)과 합류한다. 수리봉에서 발원한 계천은 남쪽으로 흘러 갑천과 합류되기 전까지는 유동천(柳洞川)으로 불린다. 계속 서류하다가 태의산에서 발원하여 남류하여 온 대관대천(大官垈川)과 합쳐져 섬강이 되어 남류하여 금계천(錦溪川)과 합류한다.죽림산에서 발원한 전천(前川)는 서류하여 횡성읍에서 섬강과 합류하고, 섬강은 남서류하여 원주시로 흘러든다. 태기산에서 발원한 주천강은 둔내면의 자포곡리, 둔방내리를 지나 남류하여 안흥면 안흥리를 지나 강림면 강림리에서 동남쪽으로 꺾여 월현리에서 영월군 수주면으로 흘러든다.[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신선봉(神仙峰)

강원도 횡성군 갑천면 상대리에 있는 영월지맥상 봉이다. 국립지리원지도상은 무명봉이나 영진지도상 680.0m봉이다. 그런데 어떤 지도와 오록스앱 또는 네이버지도는 느릎재 직전 622.1m봉을 신선봉으로 표기하고 있다. 참고로 봉 따먹기 대가님들은 영진지도상 680.0m봉을 신선봉으로 본다. 신선봉은 이처럼 맥을하는 산님들도 관심을 두지 않거나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고 지나치는 산이기도 하다.

호두봉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둔방내리에 있는 산으로 영월지맥 영진지도상 신선봉(680.0m)과 오록스앱이나 네이버지도상 신선봉(622.1m) 사이의 능선에서 (좌향) 약 0.3km/5분거리 남동능선 안부지나 오름뒤에 위치의 산이다. 호두봉(627m)은 국립지리원지도상은 무명봉이나 영진지도. 오록스앱. 네이버지도상 호두봉의 위치에 다름은 없다.

쇠돌봉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현천리에 있는 산으로 영월지맥 칠송고개 전 재봉 목장 우측능선상의 산으로 한전 철탑 건너편 능선상의 산이다. 그런데 현천리 주민들은 629.9m 삼각점(안흥306/1989복구)봉을 숫돌봉(607.9m)으로 칭하는 듯하다. 국립지리원지도에는 무명봉이나 영진지도와 네이버지도상 산이다.

가마봉(들)(높이미상)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현천리에 있는 소돌봉 능선상 6번도로 삼형제고개 직전봉을 의미한다. 영진지도상 봉이나 네이버지도는 가마봉들로 표기하고 있다.

우리산줄기이야기

영춘지맥: 영월지맥과 춘천지맥 두 지맥을 합하여 영춘 지맥이라고 한다.(영춘지맥 이름에 이론이 있다)

1.춘천지맥: 한강기맥 상의 청량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한 산줄기가 가마봉,소뿔산,가리산,대룡산,연엽산등 고봉준령을 거쳐 춘천의 경광역 뒤 북한강에서 그 맥을 다하는 약 125km의 산줄기다.

2.영월지맥: 한강기맥 상의 상계봉에서 남동쪽으로 분기한 산줄기가 태기산,덕고산,치악산,감악산,석기암,영월의 태화산등 고봉명산을 거쳐 남한강에 가라앉는 약 136km의 산줄기다.[출처/ 배창랑선배님 블로그]

산행후기

오늘은 산행마치고 원주 우선생님댁에 초대 받아 가기로 하였기 때문에 그 주변에 미답지들을 찾아보았는데, 횡성 죽림산과 신선봉이 미답지로 나타난다. 인터넷으로 검색해 보았더니 신선봉은 몇몇 산꾼들이 다녀 온 산행기가 올라와 있었지만, 죽림산은 자료가 별로 없었다. 또한 이 산들을 별도로 산행하기엔 너무나 짧은 코스들이어서 친구의 도움을 받아 죽림산에서 신선봉으로 들머리/ 날머리를 잡아 산행을 시작하였다. 코스를 이렇게 잡은 가장 큰 이유는 얼핏 한분이 만들어 놓은 산행기에 죽림산 가기 전에 호명산이란 정상판 사진을 본 기억이 나서 이렇게 코스를 잡았는데, 잡목이 우거져서인지 결국 호명산 정상판은 찾지 못하였다. 그리고 신선봉 주변에는 갈미봉, 숫돌봉...등등 몇몇 봉우리들이 있었지만, 해발 500m고지에 새로 만들어 놓은 마을 뒤 야산들이었고, 내 지도에 없는 봉우리들이어서 큰 관심을 가지지 않고 내 지도에 있는 봉우리들만 찾으며 탐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