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투봉 그 유래는 찾을 수 없었으나, 한자를 풀어보면 射(궁술사), 投(던질투), 峰(봉우리봉)으로 되어 있다.
우리산줄기이야기
변산지맥(邊山枝脈)
영산기맥의 장성갈재에서 서쪽으로 약1.7km 떨어진 x734m봉<쓰리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347.4m봉에서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수산(秀山.x237m)을 일구고 708번 도로가 지나는 송촌에 이른다. 송촌에선 방향을바꿔 북진하며 변산반도 국립공원이 시작되는 부안군 보안면 남포리 사창마을까지 장장 22km를 비산비야의 구릉지를 지난다.
이구간은 최고봉이 109,2m(배풍산)이고 주로2,30m의 구릉지로도로나 농로를 따라 신림,흥덕,줄포,보안면등 4개면을 지난다. 변산반도 국립공원에 들어서면 방향을 다시 서쪽으로 바꿔 노승봉(352.9m),옥녀봉△432.7m), 세봉(x433m), 신선봉(x491m),을 지나고
말잻 내려섰다 다시갑남산(409m),사투봉(x169.2m), 봉화봉(△174.2m)을 세우고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변산반도 격포항 남쪽에 그 여맥을 묻는다. 도상거리는 약 56.5km 정도 되고 지역의 특성을 살려 이산줄기를 변산지맥(邊山枝脈)이라한다.[출처/ 인터넷 발췌]
산행후기
오늘은 오전에 갑남산과 투봉을 약 4시간 정도에 산행을 마무리하고 오후 사투봉과 봉화봉 그리고 닭이봉(명성제 13호인 채석강)을 탐방하려고 하였다, [예상 경로: 도청마을 경로당→사투봉→봉화봉→격포항방파제→채석강용굴→격포해수욕장→적벽강 갯바위길(닭이봉)→격포초교→공동산→부안영상테마파크→격포교를 거쳐 도청마을 경로당으로 되돌아오는 코스로 마무리 할 예정이었으나, 이 코스의 능선 길이 변산지맥으로 되어 있어 당연히 길이 있을 것이다. 라고 생각하고 출발하였는데. 부안군상하수도사업소부터 능선 길이 완전히 가시잡목으로 되어 있어 진행이 어려웠다. 항상 가지고 다니는 전지가위로 몇 번을 뚫고나가려고 시도해 보았으나, 너무나 많은 시간과 체력이 낭비되어 다시 임도로 내려서서 임도 길이 끝나는 지점까지 올라가 능선으로 진입하였더니, 오래 된 낡은 등산로가 있었지만 그 동안 이용하는 사람들이 없어 등산로마저도 잡목으로 덮혀 흐릿하게 보였다. 이렇게 하여 사투봉 정상엘 도착하였는데, 정상에는 폐 막사 같은 낡은 건물이 있었으며 정상에서의 조망은 멋지게 펼쳐졌다. 정상에서 궁항치까지는 이정목 낡은 벤치와 함께 등산로가 뚜렷하였다. 궁항치에서 다시 능선으로 봉화봉까지 갈까 하다가 내일 산행이 있기에 중도포기하고 도로 따라 도청마을로 되돌아왔다. 궁항치에서 지도를 보니 봉화봉 부근까지 임도로 표시되어 있었지만, 그렇게 까지 봉화봉을 갈 필요가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었고, 이 코스는 다음에 낙엽들이 떨어진 가을이나 겨울 또는 봄에 사투봉→봉화봉→닭이봉(적벽강)을 원점으로 다시한번 도전하자는 생각으로 오늘 산행은 여기서 마무리 하였다.
오늘 산행이 아쉬워 먼 훗날
산행 예상코스: 부안영산테마파크→두포교→사투봉→궁항치→봉수대지→부안해양테마파크 갈림길→봉화봉(△175.2m) 빽→부안해양테마파크→환영교회→닭이봉 왕복→격포초교→격포리→공동산→부안영상테마파크으로 다시 한번 도전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