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남산, 대남산, 서두산, 쪽박산, 마살미산

꼴통 도요새 2025. 1. 6. 07:29

화성시 장안면 남산, 대남산, 서두산, 쪽박산, 마살미산

1. 산행지: 남산(107m), 대남산(90.1m), 서두산(72m), 쪽박산(50m), 마살미산(37m)

2. 위치: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3. 일시: 2024년 1월 1일(수)

4. 날씨: 맑고 춥고 약간의 찬바람

5. 누구랑: 강일형님과

6. 탐방거리 및 소요시간: 7.64km/ 3시간 30분

7. 들머리/ 날머리: 장안면행정복지센터[출발/ 도착]

8. 탐방코스: 장안면행정복지센터→남산→컨테이너/ 판자집→대남산→독정3리(거묵골)→지하통로→(주)세진이앤지→서두산→나주임씨묘역→지하통로→쪽박산→성덕사입구→어은사거리→장안면행정복지센터

9. 특징:

장안면

경기도 화성시 남서부에 있는 면 동쪽으로 팔탄면(八灘面), 서쪽으로 우정읍(雨汀邑)에 접하고 북쪽으로 남양만(南陽灣), 남쪽으로 남양호(湖)에 면한다. 동부는 편암, 서부는 화강암질 편마암, 그리고 해안지대는 충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봉산(舞鳳山)·전통산(箭筒山) 등 비교적 낮은 산과 구릉이 산재한다. 해안과 하천지역에서는 논농사가 행해지며, 내륙의 구릉지대에서는 주로 밭농사가 행해진다. 북부와 남부의 해안지대에 소규모의 염전이 산재한다. 수원시로 연결되는 도로가 면을 동서로 횡단하며, 수운(水運)은 그리 활발하지 못하다. 문화재로는 차병혁묘(車炳赫墓), 장소진묘(張韶鎭墓), 사곡리 토총(沙谷里土塚) 등이 있다. 인구는 2022년 4월 말 기준으로 내국인 10.327명, 외국인 3,500명으로 나타난다. 화성시는 중소기업이 많아 외국인이 매우 많은 곳이다. 화성시 전체로는 5만여 명이 살고 있다.

남산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사랑리에 위치한 장안면 남산은 장안남산체육공원과 연결되어 주민들의 건강과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오두지맥 107.3m의 능선으로 장안면 어은리, 독정리, 사랑리로 내려갈 수 있는 세 갈래 길의 꼭지점이라 볼 수 있다 남산의 유래는 장안면 어은리에 있는 산으로 마을의 안산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예전에 쌍부현 시절 부의 남쪽에 있는 산이라 붙여진 이름이라는 두 가지 설이 전한다.

우리산줄기이야기

한남서봉삼봉분맥 = 지맥[또 다른 산줄기는 지맥으로 표시]

한남서봉지맥이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장안대학 뒷산인 등고선상 150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경부고속철도와 나란히 있는 43번국도를 건너 잠깐 오른 등고선상 130m 지점에서 서남방향으로 이 근방에선 제일 높은 乾達(330)을 떨구고 북진을 한다. 225.2(2)-三峰(270, 2/4)-太行(295) 전위봉(266.4, 1.3/5.3)에서 서쪽으로 태행단맥을 떨구고 비봉면과 봉담읍의 경계를 따라 남진한다. 기천저수지 338번지방도로 요골고개(70, 2.8/8.1)-창곡리도로(90, 1.3/9.4)-구장리 도로로 가면서 동남방향으로 鐵馬(168)을 떨구고 남진한다. 구장리도로(50, 3/12.4)-새터말도로(70, 1.6/14)-鳥頭(130) 지나 서해안고속도로(50, 2/16)에서 서근리도로로 가면서 지산어깨에서 동남방향으로 [지산(113.5), 둥구산(125)]을 떨구고 서쪽으로 舞鳳(91)을 떨구고 서근리 아랫느락골도로(30, 2.7/18.7)로 내려선다. 화당리농로(30, 1.5/20.2)에서 동남쪽으로 꽃당산(90)을 떨구고 띠개도로(30, 2/22.2)-안말마을(30, 1.2/23.4)-74.9-대남산도로(30, 2/25.4)-大南(90)에서 동남쪽으로[箭筒(90), 농뿌리산(38.6)을 떨구고 남진한다. 小南(110)-독지골321번지방도로(30, 1.5/26.9)-일원동도로(30, 2.5/29.4)-烽火(61.3, 2/31.4)-不老(70, 1.3/32.7)- 寶金(59.9, 1.8/34.5)-가래도로-고잔도로(30, 2.8/37.3)에서 21봉 지나 미군부대 폭격장으로 많은 주민들이 고생하고 있는 화성시 우정읍 매향리 고온이마을 매향선박출입항(0, 2.3/39.5)에서 바다가 되는 산줄기를 그 산줄기에서 제일 높은 삼봉산의 이름을 빌어 한남서봉지맥에서 분기하여 30km가 넘으므로 나의 산줄기분류방법대로 한남서봉삼봉분맥이라고 이름을 짓는다.

산행후기

오늘은 강일형님과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에 위치한 남산대남산서두산쪽박산마살미산...등을 탐방하기로 하고 장안면행정복지센터에 주차를 하고 산행을 시작하였다. 1] 남산: 주변 면민들이 운동 삼아 자주 오르내리는 산이어서 등산로 쉼터, 체육시설...등등이 잘 갖추어져 있었다. 2] 대남산: 남산에서 오르는 길은 선명하였으며, 정상에는 쉼터가 있었지만, 내려가는 길은 잠시 길이 없는 지점을 통과 하였다. 3] 서두산: 내 지도에는 무명봉이었지만 다음 지도에는 서두산이라 되어 있었다. 능선으로 가는 길은 주변사람들이 자주 다녀서인지 선명한 등산로가 있었지만 우리는 산과 산의 연결 산행을 하다 보니 잠시 길이 없는 지점으로 올랐다. 정상은 72봉에 봉우리를 찾아다니는 사람들의 표시기가 몇 개 걸려 있었지만, 이 보다 더 높은 75.1삼각점봉에는 산줄기를 하는 사람들의 표시기가 몇 개 걸려 있었다. 4] 쪽박산: 산이라기보다는 평지와 비슷한 높이였지만, 내 지도에는 무명봉이었다. 정상에는 몇몇 봉우리는 찾는 사람들의 표시기가 걸려 있었다. 5] 마살미산: 쪽박산과 마찬가지로 산이라기보다는 평지와 비슷한 높이였지만, 내 지도에는 무명봉이었다. 정상에는 몇몇 봉우리는 찾는 사람들의 표시기가 걸려 있었다. 더 이산 낮은 봉우리 탐방이 재미가 없어 그래도 산 같이 보이는 주변에 멋진 산이 있어 지도를 살펴보니 쌍봉산으로 표시되어 있었다. 이 코스는 원점으로 마무리 하고 차를 가지고 쌍봉산으로 이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