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화순 지장산, 수레바위산, 만인산

꼴통 도요새 2025. 2. 3. 08:28

화순 지장산, 수레바위산, 만인산

1. 산행지: 지장산(355.9m), 수레바위산(621.5m), 만연산(萬淵山 666.3m)

2. 위치: 전남 화순군 화순읍

3. 일시: 2024년 1월 27일(월)

4. 날씨: 흐리고 맑았다 강한 찬바람 눈 반복

5. 누구랑: 나 홀로

6. 탐방 거리 및 소요시간: 14.34km/ 6시간 30분

7. 들머리/ 날머리: 화순버스터미널/ 화순군의회

8. 탐방코스: 화순버스터미널→소아르미술관→지하도→은곡마을 표지판→산길 진입→숙부인남평김씨묘(통정대부광산김씨묘)→지장산/ 너릿재 갈림길→지장산→수레바위→수레바위산→만연산/ 만연사 갈림길→만연산 왕복→만연산 건강 오름숲→만연사→동구레호수공원→화순군의회

9. 특징:

만연산(萬淵山)

화순읍과 광주 동구의 경계선에 위치하여 광주의 명산인 무등산으로 연계되는 산이다. 무등산의 주 산줄기가 남서쪽으로 뻗어가다 한줄기는 안양산으로 내려가 호남 정맥으로 이어지고, 다른 한줄기는 더 남서쪽으로 이어져 남동부 쪽으로 살짝 비켜서 있는 봉우리가 만연산이다. 만연산은 나한산이라는 별칭이 있다. 여지도서, 해동지도 등의 고서에서는 나한산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지금은 나한산이 아니라 만연산으로 부르고 있는데, 이는 산 아래에 있는 만연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산의 북쪽 능선은 무등산과 이어지며 등산로가 개발되어 있다. 자연 치유의 숲으로 알려진 만연산 오감 연결 길이 개발되었는데 이 길은 다산 정약용이 독서를 하며 걸었던 길이라고 한다. 주변으로 만연 폭포를 비롯하여 만연산 치유의 숲 등을 비롯하여 인근에 휴양림이 있어 등산객과 여름 피서객이 몰리는 곳이다.[네이버 지식백과]

우리산줄기이야기

[호남만연]만연단맥

호남정맥이 금남호남정맥에서 분기하여 흐르며 빛고을 광주의 진산 무등산을 지나 장불재에서 사륵너미 오른 930지점에서 한줄기는 안양산으로 흘러가고 한줄기를 남서방향으로 분기하여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경계능선을 따라 [호남]만연지맥이 흐르며 너와나의 목장에서 올라간 621.5봉에서 지맥은 경계능선을 따르고 한줄기를 남동방향으로 분기하여 만연산(666.3,0.6)-611.8(1.2/1.8)-만연산전망대(610,0.1/1.9)-큰재 삼거리(350,0.8/2.7)-대동산(601.7,0.7/3.4)-옥녀봉(490.7,0.9/4.3)-마천루쉼터 임도사거리(290,0.7/5)-활공장(310, 0.1/5.1)-270(0.7/5.8)-전남대병원 갈림길(190,0.7/6.5)-오송고개 도로(170,0.3/6.8)-오성산(292,0.4/7.2)-임도고개(210,0.4/7.6)를 지나 화순군 동면 백룡리 용생마을 삼거리(50, 2,3/9.9)를 지나 호남정맥 장불재가 발원지인 동천이 호남정맥 오산이 발원지인 화순천을 만나는 곳(50,0.1/10)에서 끝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산행후기

연휴 셋째날

전남 화순 만연산

어제 완도 산행을 마무리 하고 원동에서 광주행 버스를 타고 광주유스퀘어터미널로 나와 주변 모텔에서 1박 한 후 아침 일찍 화순행 버스를 탔다. 화순버스터미널에서 걸어서 너릿재 방향으로 간다. 편히 산행을 하려면 너릿재로 가야하지만 도로 따라가는 것보다 산길이 좋을 것 같아 지장산 방향으로 올랐으나, 쌓인 눈 때문에 등산로가 흐려 잠시 길이 없는 산길을 올라야 했다. 지장산, 수레바위산, 만연산은 많은 등산객들이 찾는 산이라 등산로및 등산안내도, 쉼터...등등이 잘 정비되어 있었다. 수레바위산은 수레바위가 있어 수레바위산이라 한 것이라 판단된다. 마지막 만연산에서는 주변 화순군내와 무등산의 조망을 기대하였으나, 많은 눈과 강한 찬바람으로 인하여 볼 수가 없었으며, 내려가는 산길도 611.8 삼각점봉, 구름다리가 있는 방향으로 내려가려 하였으나 강한 눈바람으로 인하여 등산로가 잘 보이지 않아서 안전하게 만연산 정상에서 빽하여 만연사 갈림길에서 만연사로 내려가는 길을 선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