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말나리
분류 | 여러해살이풀 |
---|---|
학명 | Lilium tsingtauense |
분포지역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산과 들 |
번식 | 실생, 비늘줄기 |
약효 | 비늘줄기 |
생약명 | 백합(百合) |
키 | 1m 정도 |
과 | 백합과 |
별칭 | 소근백합(小芹百合)·야백합(野百合)·산채(山菜) |
채취기간 | 가을 |
취급요령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평온하고 달며 약간 쓰다. |
독성여부 | 없다. |
1회사용량 | 10~12g |
주의사항 | 오래 써도 무방하다. |
동속약초 | 말나리·하늘나리의 비늘줄기 |
잎
돌려나는 잎과 어긋나는 잎이 있다. 크게 돌려나는 잎이 줄기 중간 부분에 6~12개씩 달리는데 댓잎피침형 또는 거꿀달걀꼴을 닮은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린다. 1개씩 작게 어긋나는 잎은 줄기 위쪽에 달리는데 길이 9cm, 나비 2cm쯤 되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더 작아진다.
꽃
7~8월에 지름 4cm 정도 되는 황적색 꽃이 원줄기 끝과 바로 그 옆의 곁가지 끝에서 1~3송이씩 위를 향해 달려 핀다. 6개인 꽃덮이 조각은 댓잎피침형이며 황적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퍼져 있고 약간 뒤로 굽는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꽃밥은 황색이다.
열매
9~10월에 원기둥 모양의 삭과를 맺는데 익으면 3개로 갈라진다.
특징 및 사용 방법
우산말나리·산채(山菜)·소근백합(小芹百合)이라고도 한다. 하늘을 향해 꽃이 핀다 하여 하늘말나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땅 속의 비늘줄기는 지름 2~3cm의 둥근 달걀꼴이며 비늘 조각은 다소 성기게 자라고 고리마디는 없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란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비늘줄기는 식용하며 또한 참나리와 함께 약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죽을 쑤어 사용한다. 또한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효능
주로 호흡기 질환과 각종 염증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혈, 강심제, 강장보호, 구역증, 기관지염, 동통, 보기, 보폐·청폐, 신경불안, 신경쇠약, 오장보익, 유방발육부전, 유방염, 종기, 중독, 진정, 토혈, 폐렴, 해수, 후두염,
소아질환: 백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