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줄기수체계도

우리산줄기이야기(백두대간편)

꼴통 도요새 2017. 1. 12. 15:13
반응형

우리산줄기이야기(백두대간편)

□. 우리산줄기의 이름

아래에 나오는 산줄기 명칭은 백두대간과 정맥은 산경표에서 정의한대로 일치를 시켰으며 18기맥은 100km 이상되는 산줄기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산줄기로 산경표의 원리대로 온전한 강줄기의 울타리를 치고 있으면 강줄기의 이름을 사용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대표적인 산이나 지명을 차용하여 내 나름대로 원칙에 충실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이름을 지었다

 

대간이나 각 정맥 기맥에서 분기된 30km이상 100km미만인 산줄기인 지맥과 아래에 나오는 산줄기 명칭은 백두대간과 정맥은 산경표에서 정의한대로 일치를 시켰으며 18기맥은 100km 이상되는 산줄기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산줄기로 산경표의 원리대로 온전한 강줄기의 울타리를 치고 있으면 강줄기의 이름을 사용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대표적인 산이나 지명을 차용하여 내 나름대로 원칙에 충실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이름을 지었다

 

대간이나 각 정맥 기맥에서 분기된 30km이상 100km미만인 산줄기인 지맥과 분맥 10km 이상 30km미만인 단맥은 어느 하나의 물줄기 가름이 정확하지 않고 여러개의 물줄기를 거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그 흐름도 산줄기의 이름으로 사용하기에는 미미한 경우나 인지도가 현저히 낮아 주로 대표산의 이름을 차용해 지었으며 특수한 경우 지방 이름을 차용하여 지었다

 

10km 미만인 여맥은 그 이름을 일일이 나열하기가 너무 번거로워 생략을 하거나 특별한 경우만 00여맥이라고 표현을 하였다

 

□. 산줄기의 격

 

대간이나 정맥을 제외한 산줄기에 격을 둠은 모든 산줄기를 단순히 기맥이라고 한다든지 지맥이라고 한다든지 할 경우 산줄기 이름만 들어서는 과연 그 산줄기가 어디에서 분기하였으며 어느 정도의 흐름을 가지고 있는지 도저히 짐작을 할 방법이 없다

 

산경표에서도 대간 정간 정맥으로 그 산줄기의 부모형제의 관계를 설명하려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보다 더욱 복잡하고 천태만상인 기맥 이하의 산줄기를 단순히 하나의 항열로 부른다면 많은 혼란을 초래할 것 같아 그 뿌리를 밝히고 항열을 밝히고자 함이다

 

그래서 백두대간이나 정맥을 제외한 100km 이상의 산줄기나 어떠한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산줄기를 기맥으로 정의를 하고 그 대간이나 정맥 기맥을 주맥으로 보고 그 주맥에서 분기된 지맥을 표현할 경우 그 조상의 이름을 앞에다 놓아 그 산줄기가 어디서 왔는지 표현하려 했다

 

예를 들면 경북 문경시에 운달산이라는 그 지방 명산이 있는데 그 산이 속한 산줄기 이름을 지을 경우 우선 백두대간에서 분기가 되었으니 우리산줄기의 조종인 “백두”를 가져오고 그 다음으로 그 산줄기중 가장 유명한 산이 운달산으로 추정이 되므로 “운달”을 가져와 연결해서 부르면 “백두운달지맥”이 되는 원리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백두대간 대미산에서 운달산으로 연결된 30km 이상 100km 미만인 산줄기구나” 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정맥과 기맥에서 분기된 지맥은 백두대간과 정맥과 기맥을 조상으로 생각을 하고 우선 그 백두나 정맥이나 기맥 이름을 앞에다 가져오고 그 다음 그 산줄기에서 가장 유명한 산 이름이나 특수한 경우 지방 이름을 가져온다

 

예를 들면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천마산 줄기를 이름 짓는다면 우선 조상격인 한북정맥에서 분기했으니 “한북”을 가져오고 다음에 그 산줄기중 가장 유명한 이름이나 특수한 경우 그 지방 이름을 가져온다

그래서 그 산줄기 중 가장 유명한 산이 천마산으로 추정이 되므로 “천마”를 가져와 이름이 “한북천마지맥”이 되는 것이다 즉 “한북정맥에서 천마산으로 연결된 30km 이상 100km 미만인 산줄기구나”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특수한 경우를 예를 든다면

 

한강영월지맥

한강정맥(기맥)이 서진하면서 계방산 가기 전 도면상 1462봉어깨에서 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니 시종일관 남진하면서 강원도 영월읍에서 동강과 서강이 만나 남한강이 되는 특별한 의미를 줄 수 있는 산줄기

 

낙동안동지맥

낙동정맥이 칠보산을 거쳐 남하하면서 쇠재에서 깃재(귀재)로 가던중 무명 헬기장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영양의 진산 일월산을 지나 산줄기의 대부분이 안동땅을 지나가며 대한민국의 유수한 바다와 같이 너른 안동호와 임하호를 가르며 안동땅에서 낙동강물이 되는 특별한 의미를 줄 수 있는 산줄기

그 외 호남화원지맥, 호남여수지맥 등이 있다

 

분맥이라함은 오로지 지맥에서만 분기하는 산줄기로 그 분맥을 지맥으로 부른다면 현재 지맥은 분맥이 되는 이치이다 즉 지맥에서 분기한 지맥급산줄기라는 뜻인데 산줄기에 왜곡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격을 조금 달리해서 이름을 지은 것이나 지맥으로 흡수해도 되는 산줄기이다

단맥이라 함은 마찬가지로 대간 정간 정맥 기맥 지맥 모두에서 분기하여 10km이상 30km 미만인 산줄기를 말하며

 

위와같은 논리로 한북천마지맥 주금산에서 분기하여 축령산으로 뻗은 산줄기를 한북천마축령단맥이라고 이름지을 수가 있는 것이다 즉 “한북천마지맥에서 축령산으로 연결된 10km이상 30km 미만의 산줄기구나” 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맥이라 함은 모든 산줄기에서 분기한 10km 미만인 산줄기를 나타내며 아주 짧은 경우 생략을 하고 분기된 그 산줄기에 있다고 설명을 하였으며 그 산을 특별히 나타내고자 할 경우에 한해 예를 들어 한북천마지맥에서 동쪽으로 분기된 운길산을 위와같은 논리로 이름을 짓는다면 한북천마운길여맥이라 부를 수가 있는 것이다

□. 산줄기의 순서

 

정맥과 기맥이 대간에서 북에서 남으로 분기된 순서대로 “편”으로 분리하여 이야기를 하고 거기에서 분기된 지맥 분맥 단맥등을 분기점에서 순서대로 기술을 하고 또한 정맥에서 분기된 기맥은 그 분기된 정맥 다음으로 분기점에서 순서대로 기술을 한다

 

01)백두대간

02)한북정맥

03)한탄기맥

04)한북기맥

05)소양기맥

06)한강정맥(기맥)

07)홍천기맥

08)치악기맥

09)낙동정맥

10)팔공기맥

11)위천기맥

12)비슬기맥

13)형남기맥

14)내성기맥

15)한남금북정맥

16)한남정맥

17)금북정맥

18)금북기맥

19)가야기맥

20)진양기맥

21)금남호남정맥

22)금남정맥

23)금남기맥

24)호남정맥

25)영산기맥

26)땅끝기맥

27)고흥기맥

28)낙남정맥

 

단 위의 산줄기의 분류는 아직은 공식적인 잣대가 없으니 내 나름대로의 원칙을 가지고 산경표의 원리에 충실하려고 최대한 노력한 분류방법임을 밝힌다 물론 앞으로 공식적인 기관에서 산줄기 이름을 짓는다면 추후 그 이름을 따를 것이며 이보다 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이 있다면 그에 따를 것이다

 

산림청 선정 100대명산 높이는 한국의산하에 올라온 자료에 의해 그 높이를 기록했으며 그 외의 산들은 기타 문헌이나 5만분의1지형도에 표기된 높이로 기록했다

산높이가 표시되지 않은 산들은 역시 5만분의1지형도 등고선 평균 높이를 기록하였으므로 다른 문헌이나 인터넷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말씀드리고자 한다

 

또한 산줄기의 분기점은 변하지 않으나 그 끝나는 지점은 원칙적으로 제일 긴 산줄기를 따라 갔으나 어느 유명한 산이나 천이나 강의 울타리 또는 합수점을 찾아가기 위해서 짧은 줄기를 택한 경우도 있고 고만고만한 산줄기가 여럿 있을 경우 제일 큰 동네로 갔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내 임의대로 선택을 하였다

 

□. 참고사항

 

여기서 산의 격을 구분짓는 00km란 거리는 5만분의1지형도를 맵자로 잰 거리이므로 재는 방법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100km, 30km, 10km와 같은 기맥 지맥 단맥 여맥의 경계선상의 수치는 어느 정도 오차가 발생해 추후 산줄기의 격이 틀려질 수 있다

 

“00산(◬000, 00/00)”이라함은

00산(삼각점◬높이m, 거리km/거리누계km)를 나타내는 것이며

“00.” 이라는 산줄기 앞의 숫자는 분기점에서부터 분기한 순서이다

아래 수체계도를 보면

백두대간은 23지맥 4분맥 148단맥 176개산줄기 약4360km로 이루어진 것을 알수 있다

백두대간

정맥

기맥

지맥

분맥

단맥

거리

km

지역

비고

총계1009

9

18

116

24

841

24,501

소계 176

(5)

(4)

23

4

148

4,360

백두대간백두산

763.7

설영봉

장백정간

×

마대산

청북정맥

×

웅어수산→

청남정맥

×

두류산

해서정맥

×

명지덕→

임진북예성남정맥

×

소계 47

2

8

1

37

1,139.5

분수령

한북정맥

176.8

소계 5

1

3

113.5

한북정맥

장바위산

한탄기맥

31.1

철원

소계 3

2

69.2

한강봉

남측

한북기맥

41.9

양주

오봉산

동남측

백두해금강단맥

×

상등봉

동남측

백두관음단맥

×

금강산

비로봉

백두영랑단맥

×

월출봉

북동측

백두채하단맥

×

차일봉

백두칠보단맥

×

국사봉

북측

백두순갑단맥

×

국사봉

백두삼마단맥

×

소계 8

7

213.3

매자봉

소양기맥

123

금강

향로봉

백두향로지맥

36

고성

×

건봉령 남측

백두향로마산단맥

14.7

고성

×

작은까치봉

동남측

백두향로노인단맥

13.4

고성

×

적벽산

고성

×

고성군 고봉리

적벽강 동해

합수점 終

고성

×

향로봉

남측

백두산머리곡단맥

14.4

인제

×

칠절봉

백두매봉단맥

24.2

인제

×

마산

백두고성단맥

18.2

고성

×

마산

백두죽변단맥

20

고성

×

신선봉

백두문암단맥

12.8

고성

×

상봉

남측

백두신선단맥

15.6

고성

미시령

남측

백두달마단맥

17.1

속초

대청봉

백두화채단맥

14.4

양양

대청봉

백두관모단맥

17.6

양양

관모산 서측→

백두관모빨닥단맥

11

양양

한계령

북측

백두안산단맥

17.2

인제

한계령

남측

백두가리단맥

25.8

인제

1226.5봉→

백두가리리빙스톤단맥

12.3

인제

망대암산

백두망대암단맥

16.7

인제

점봉산

백두가칠단맥

20.1

인제

갈전곡봉

백두방태단맥

24.4

인제

응복산

백두정족단맥

25

양양

소계 42

(2)

3

38

987.5

두로봉

한강정맥

167

평창

소계 38

3

1

33

958.4

덕고산

동측

치악기맥

134.2

횡성

두로봉

동남측

백두철갑지맥

44.4

강릉

철갑령 북측

백두철갑천마단맥

20.2

강릉

철갑령북동측

백두철갑삼형제단맥

13

강릉

만월산

백두철갑원포단맥

10.8

양양

현천산

양양

양양군 손양면

가평리 남대천

동해 합수점

양양

동대산

백두병안여맥

9.3

평창

노인봉

백두백마단맥

11.5

강릉

소황병산

백두황병지맥

51

평창

황병산

백두황병도암단맥

14

평창

모리재 북동측

백두황병발왕단맥

16

평창

박지산 동남측

백두황병숙암단맥

11.5

평창

갈미봉 북동측

백두황병상원단맥

11.8

정선

백석봉

정선

정선군 북평면

북평리 오대천

골지천 합수점終

정선

매봉 서북측

백두천마단맥

14.5

강릉

매봉 동남측

백두운계단맥

21.6

강릉

곤신봉

백두보현단맥

28

강릉

대관령

백두제왕여맥

7

강릉

고루포기산

백두옥녀단맥

10.8

강릉

삽달령

서북측

백두노추단맥

16

강릉

사달산 동남측→

백두노추고비덕단맥

13.5

정선

두리봉

백두만덕지맥

30.4

강릉

만덕봉

백두만덕삿갓단맥

15.5

강릉

만덕봉

백두만덕망기단맥

15.4

강릉

망기봉 남측→

백두만덕망기피래단맥

16.7

강릉

백두만덕망기피래단맥 피래산 남측→

백두만덕망기피래가마단맥

11.2

강릉

칠성산

백두만덕원장단맥

14.1

강릉

갈미봉

백두만덕칠봉단맥

10.8

강릉

강릉시

남항진동

남대천 동해

합수점 終

강릉

백봉령

동남측

백두매봉단맥

19.2

동해

고적대

백두중봉단맥

15.4

정선

청옥산

동남측

백두둥둥단맥

14.1

삼척

두타산

백두쉰움단맥

24.5

삼척

두타산 북동측→

백두쉰움갈매기단맥

11.6

삼척

댓재 북측

백두미로단맥

11.8

삼척

소계 93

(4)

11

5

76

2,234.8

삼수령

서남측

낙동정맥

417

태백

소계 29

4

1

23

727.4

가사령

서북측

팔공기맥

167.6

죽장

소계 24

3

20

533.1

석산→

위천기맥

125.4

청송

소계 31

2

1

27

689.0

사룡산

북측

비슬기맥

146.5

영천

소계 16

1

14

364.4

백운산

서북측

형남기맥

98.8

울주

금대봉

백두대덕지맥

58.8

정선

우이봉

백두대덕노목분맥

44

정선

노목산

정선

병방산

정선

정선읍 용탄리

용탄대교

조양강 終

대덕산

태백

슬이재 서북측

백두대덕각희단맥

10.9

정선

소래재 북측

백두대덕문래단맥

12.6

정선

상정바위산

정선

남산

정선

정선군 북면

아우라지

당넘어 조양강

만항재

백두두위지맥

54.5

정선

백운산 서측

백두두위단풍단맥

14.3

영월

두위봉 서측

백두두위예미분맥

32.6

정선

예미산

정선

계족산

영월

영월읍 덕포리

동강 서강

합수점

건너편 終

영월

곰봉

정선

완택산

영월

영월읍 덕포리

덕항천 동강

합수점 건너편終

영월

무쇠봉

백두문수단맥

13.6

태백

깃대배기봉

백두청옥지맥

29.2

봉화

청옥산

백두청옥백연단맥

11.4

봉화

비룡산

봉화

봉화군 소천면

현동리 현동천

낙동강 합수점

봉화

차돌백이

백두각화지맥

35.7

봉화

각화산

봉화

월암산

봉화

봉화군 명호면

도천리 법전천

낙동강 합수점終

봉화

구룡산

백두삼동단맥

21.5

봉화

소계 11

1

9

287.5

옥돌봉

내성기맥

113.8

봉화

선달산

백두어래단맥

15.3

영월

갈곶산

백두봉황단맥

22.3

영주

고치령 동측

백두자개지맥

46.1

영주

자개산

영주

영주시 문수면

월호리 서천

내성천합수점終

영주

고치령 서측

백두마대단맥

17.5

단양

형제봉 서남측→

백두마대영춘단맥

11.5

단양

늦은맥이재

백두신선단맥

14.3

단양

민봉 서북측→

백두신선계명단맥

11.3

단양

상월봉

백두내기단맥

17

영주

소백산

비로봉

백두원적단맥

16.3

영주

원적산→

백두원적이자단맥

15.6

영주

비로봉 서측

백두봉우등단맥

14.4

단양

제2연화봉

백두공넘기단맥

13.4

영주

제2연화봉

서측

백두슬음단맥

13.7

단양

묘적령

백두자구지맥

37.4

영주

달밭고개

백두자구천부분맥

30.7

영주

용암산

백두자구천부주마단맥

19.1

영주

연화산

영주

예천군 보문면

기곡리 옥계천 내성천 합수점

예천

자구산

예천

예천군 호명면

담암리 한천

내성천 합수점

예천

저수령

서남측

백두매봉지맥

37.6

예천

매봉

백두매봉용문단맥

14.6

예천

국사봉

백두매봉백마단맥

14.1

예천

꽃재 서남측

백두매봉왕의단맥

14

예천

예천군 용궁면

무이리 금천과

내성천 합수점終

예천

장구재

서북측

백두도락단맥

21.7

단양

대미산 북

백두문수지맥

34.4

문경

문수봉

백두문수하설단맥

14.6

제천

봉화재

백두문수등곡단맥

10

제천

747봉

백두문수사봉단맥

10.5

단양

비봉산

제천

제천시 청풍면

양평리 충주호

제천

대미산

백두운달지맥

47.1

문경

여우목 남측

백두운달공작단맥

20.7

문경

배나무산

백두운달오정단맥

10.5

문경

월방산

문경

상주시 사벌면

퇴강리 영강과

낙동강 합수점

상주

마골치

백두월악단맥

12

제천

월항삼봉

서남측

백두주흘단맥

9.6

문경

마패봉 동측

백두계명지맥

35.2

충주

대미산 서측

백두계명두릉단맥

11.4

충주

계명산

충주

탄금대

충주

충주시 칠금동

달천 남한강

합수점 終

충주

마패봉

백두신선지맥

31.6

괴산

장연터널 북동측

백두신선오산단맥

10.5

괴산

박달산 서측

백두신선주월단맥

11.7

괴산

박달산

괴산

괴산군 감물면

오성리 안민천

달천합수점

괴산

백화산 서측

백두뇌정단맥

10.7

문경

821봉

백두악휘단맥

11.2

괴산

장성봉

서북측

백두군자단맥

17.5

괴산

작은군자산→

백두군자가령단맥

11.6

괴산

장성봉

백두애기암여맥

8.2

문경

고모치 북

백두둔덕단맥

14.3

문경

청화산

백두연엽여맥

9.3

상주

밤치 북측

백두백악단맥

17,2

상주

문장대

백두금단단맥

25.4

보은

소계 37

3

1

32

839.6

속리산

천왕봉

한남금북정맥

158

보은

소계 40

5

4

30

1,101.5

칠장산→

한남정맥

189

안성

소계 59

10

48

1507

칠장산→

금북정맥

260

안성

소계 16

2

13

351.3

백월산

금북기맥

69.4

청양

형제봉

동남측

백두작약지맥

48.4

상주

청계산 동측

백두작약삼령단맥

10.3

상주

매봉재 남측

백두작약매봉단맥

10

상주

작은 작약산

백두작약등대단맥

12

상주

상주시 함창읍

태봉리 이안천

영강 합수점終

비재 북측

백두구병단맥

16.2

상주

봉황산

백두팔음지맥

54.2

상주

천택산

백두팔음시루단맥

11.5

상주

팔음산

백두팔음백화단맥

18.1

상주

천금산 서남측

백두팔음산저단맥

12.4

영동

밤재 동측

백두팔음귀비여맥

8.9

영동

철봉산

옥천

옥천군 동이면

분지벌 금강2교

금강변 終

옥천

윤지미산

동남측

백두소머리지맥

48.2

상주

소머리산

상주

바깥마 도로

백두소머리노음단맥

13

상주

비지재 서남측

백두소머리천마단맥

12.8

상주

금지산

상주

상주시 사벌면

도남동 병성천

낙동강 합수점

윗왕실고개 북측

백두상주단맥

25.4

상주

국수봉남측

백두기양지맥

45

김천

백운산 남측

백두기양백운단맥

14.8

김천

백운산 북동측

백두기양미모단맥

16.1

김천

기양산

김천

수선산

백두기양갑장단맥

19.5

상주

밖이실 동측

백두기양원통단맥

11.5

구미

석거실마을

백두기양복우단맥

19

상주

형제봉

구미

구미시 선산읍

원리 감천

낙동강 합수점終

구미

용문산

서남측

백두지장단맥

17.6

영동

난함산 북측

백두난함단맥

15

김천

형제봉

백두덕대단맥

20.2

김천

우두령 동

백두호초당단맥

12.3

김천

질매재

서남측

백두지례단맥1

15.4

김천

밀목령

북동측

백두막기향단맥

11.9

영동

삼도봉

백두민주지맥

49.6

영동

민주지산

백두민주오봉단맥

10

영동

각호산

백두민주도대단맥

10.2

영동

천만산

백두민주천마분맥

40.4

영동

천마령 서측

백두민주천마갈모단맥

10.4

영동

천마령

서북측

백두민주천마성산단맥

20.2

영동

여의치 북동측

백두민주천마정산단맥

10

영동

백하산

영동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 금강변

금산

천만산 북측

백두민주가동단맥

11.4

영동

삼봉산 서남측

백두민주이바위단맥

10.9

영동

가리고개 동남측

백두민주월류단맥

12

영동

백마산

영동

영동군 심천면

초강리 영동천

금강 합수점

영동

덕산재

북동측

백두지례단맥2

14.6

김천

소계 32

3

2

26

717.9

초점산 남측

가야기맥

105.4

거창

삼봉산 북측

백두나제통문단맥

17.1

무주

신풍령

서남측

백두호음단맥

28.5

거창

백암봉

백두덕유지맥

37

무주

향적봉

무주

두문산

백두덕유성지단맥

22.4

무주

두문산 서북측

백두덕유적상단맥

16.8

무주

봉화산

백두덕유마향단맥

16.7

무주

마분치 서측

백두덕유조항단맥

16.2

무주

국사봉 서북측

백두덕유지장단맥

13.3

진안

고산

진안

진안군 정천면

강화리 이포

용담호변 終

진안

무룡산 북측

백두망봉단맥

11.6

무주

삿갓봉

백두시루단맥

17.1

무주

소계 27

2

24

616.3

남덕유산

진양기맥

163.6

함양

서덕유산

백두천반단맥

21

장수

서덕유산 서북측→

백두천반수락단맥

15.5

장수

소계 21

1

1

18

450.1

영취산

금남호남정맥

65.5

장수

소계 36

5

1

29

813.3

주줄산

(?)→

금남정맥

131.4

진안

소계 14

13

351.3

싸리재

북측

금남기맥

97.5

완주

소계 77

(3)

10

1

65

1,956.2

주줄산(?)→

호남정맥

494.2

진안

소계 34

6

1

26

0899.3

내장산

새재 북측

영산기맥

160

정읍

소계 25

3

21

684.5

깃대봉

서측

땅끝기맥

123

장흥

소계 9

8

222.8

존재산

남측

고흥기맥

103.8

보성

백운산

백두괘관단맥

26.7

함양

괘관산 동측→

백두괘관도성단맥

11.4

함양

봉화산

북동측

백두삼봉지맥

39.6

함양

성산

백두삼봉천령여맥

9

함양

삼봉산 동측

백두삼봉법화단맥

12

함양

화장산

함양

함양군 유림면

장항리 위천

경호강 합수점

함양

수정봉 남측

백두장백단맥

12.4

남원

고리봉

백두바래단맥

14.5

남원

만복대

서북측

백두구례지맥

38.7

구례

숙성치 서북측

백두구례덕음단맥

10

남원

밤재 서남측

백두구례원통단맥

20.5

남원

천마산

구례

병방산

구례

구례읍 원방리

병방 섬진강

구례

종석대

서북측

백두간미단맥

12

구례

종석대

백두차일단맥

11.1

구례

노고단

백두형제단맥

12.4

구례

돼지령

백두왕시리단맥

13.9

구례

삼도봉

서북측

백두반야여맥

8

남원

삼도봉

백두불무장등단맥

14.5

하동

토끼봉

백두법왕여맥

8.4

하동

명선봉

백두오룡대여맥

5

남원

삼각고지

백두영원단맥

11.5

남원

덕평봉

서북측

백두오송여맥

5

함양

덕평봉

백두대성여맥

5.6

하동

소계 39

6

32

937.7

영신봉

낙남정맥

226

하동

연하봉

백두예치단맥

11.3

산청

천왕봉

산청

장터목

백두창암단맥

10

함양

중봉

백두써리단맥

16.7

산청

써리봉→

백두써리대포단맥

13

산청

하봉

백두추성여맥

5

함양

두류봉

백두두류여맥

5.2

함양

독바위

백두공기바위여맥

8

함양

독바위 남측→

백두공기바위의탄여맥

6

함양

왕등재

백두왕산단맥

12.4

산청

웅석봉

서남측

백두웅석단맥

16.1

산청

아미랑재

동남측

백두시루단맥

14.5

진주

제마재

동남측

백두바느단맥

11.1

진주

사천시

곤명면

금성리

덕천강

진양호

합수점

白頭大幹 終 763.7km

사천

● : 답사완료산줄기 ◐ : 답사중인 산줄기 × : 답사불가 산줄기(이북)

01. 백두향로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간성 고성

백두대간 香爐봉(△1296.3) 전위봉(1270)에서 백두대간은 남쪽으로 흐르고 한줄기를 북동방향으로 분기하여 香爐봉(△1296.3, 0.5)-△1078봉-△839.2봉(8.4/8.9)에서 동쪽으로 白頭馬단맥을 떨구고 북진하여 건봉령(630)-乾鳳산(△1018)어깨(930, 3.4/12.3)-

오소령(750)-△727.4봉-△686.4봉어깨(690, 4.7/17)에서 동쪽으로 白頭老人단맥을 떨구고 북진한다

고직령(650)-작은까치봉(△711.5)어깨(670, 2.6/19.6)-큰까치봉(△742, 2.4/22)-

가경지고개-고황봉-외오현-상봉-적벽산(90)을 지나 고성군 현내면 고봉리 금강산이 발원지인 적벽강이 바다로 흘러가는 해금강 건너편 바다가 되는 곳(0, 14/36)에서 끝나는 약3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01. 백두향로마산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간성

백두향로지맥 건봉령 남측 고성군 수동면, 거진읍, 간성읍의 삼면봉인 등고선상870봉에서

2번군도 탑현고개(210, 3.4)-△390.4봉(3.3/6.7)-△223.7봉(4/10.7)-7번국도 지나 마산을 넘어 거진읍 마산마을 인근 북천이 바닷물이 되는 곳(0, 4/14.7)에서 끝나는 약14.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02. 백두향로노인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간성

백두향로지맥 오소령에서 고직령으로 가면서 고성군 수동면, 현내면, 거진읍의 삼면봉인 등고선상690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686.4봉-老人산(△383.4, 4)-△141.7봉(4/8)-

7번국도(30, 1.4/9.4)를 건너 고성군 거진읍 거진리 거진등대가 있는 곳(0, 4/13.4)에서

끝나는 약13.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03. 백두산머리곡단맥

백두대간 향로지맥 분기봉 남측 등고선상1310봉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산머리곡산(1070, 3.2)-임도(690, 2.6/5.8)-426번 지방도로 개고개(590, 5.1/10.9)를 지나 인제군 서화면 심적리 453번지방도로를 지나 후평교 다리가 있는 인북천변(410, 3.5/14.4)에서 끝나는 약14.4km의 산줄기를 말하지만 민간인 통제구역내라 종주할 수는 없다

004. 백두매봉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간성 설악

백두대간 칠절봉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매봉산(△1271.1, 4.3)-1122봉-

1246봉(4.3/8.6)-883봉-임도(710, 3.8/12.4)-753봉-明塘산(△764.8, 3/15.4)-544봉-

烽火봉(△580.4, 4.2/19.6)-453번지방도로 새골고개(310, 0.8/20.4)-481봉-

원통도로(290, 2/22.4)를 건너 △425.7봉을 넘어 북천이 소양강을 만나 소양강물이 되는 인제군 북면 원통리 서호동마을 다리 앞(230, 1.8/24.2)에서 끝나는 약24.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05. 백두고성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간성

백두대간 馬산(△1051.9)에서 북동쪽으로 분기하여 내림능선상 1030m(0.9) 지점에서 북서방향으로 뻗어내려 △504.2봉(7.5/7.3)-古城산(△297.0)어깨(210, 3.7/11.2)-

고성군청(19, 4.3/15.5)을 지나 고성군 간성면 동호리 윗간벌마을

진부령이 발원지인 북천이 바닷물이 되는 곳(0, 2.7/18.2)에서 끝나는 약18.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06. 백두고성죽변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간성

백두대간 마산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내림능선상 1030m 지점에서 북서방향으로 고성단맥을 떨구고 북진하여 竹弁봉(△680.9봉(7.3)-鳴牛산(310)어깨(230, 2.7/10)-△240.3봉(3/13.0)-五音산(270, 1.9/14.9)-△154.3봉-큰서낭고개(70, 3.6/18.5)을 지나

고성군 죽왕면 향목리 마산이 발원지인 남천이 바다로 흘러드는 곳(0, 1.5/20)에서 끝나는 약2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07. 백두문암단맥

백두대간 신선봉에서 북동방향으로 분기하여 한동안 설악산국립공원 내로 진행해

등고선상400m 지점(3.1)을 지나 국립공원을 빠져나와 5번군도(4.2/7.3)에 이르러 도로를 따라 59.8봉(2.4/9.7)-운학사-동해성당-등광초교-7번국도(2.7/12.4)를 지나 고성군 토성면 문암리 문암천이 동해바다가 되는 곳(0, 0.4/12.8)에서 끝나는 약12.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08. 백두신선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설악 속초 오호

백두대간 신선봉 지나 상봉에서 미시령으로 내려가면서 등고선상1150m 지점에서 동남쪽으로 분기하여 선인재-신선암(△398.4, 3)-도로-264봉-잼버리수련관-재건촌도로(132, 5/8)-△51.8봉(2.1/10.1)-61봉 파인리즈골프장-7번국도를 지나 고성군 토성면 천진리 천진해수욕장에서 바다가 되는 곳(0, 5.5/15.6)에서 끝나는 약15.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09. 백두달마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설악 속초

백두대간 미시령에서 황철봉으로 가면서 오른 등고선상1090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1092봉-

울산바위(770, 2.2)-達磨봉(630, 3.5/5.7)-△526.4봉-목우재도로(190, 3/8.7)--353봉-

朱鳳산(331.8, 1.2/9.9)-232봉-싸리재(130)-154봉-靑垈산(△230.8, 2.8/12.7)-231봉-

떡밭재(110)-98봉-△41.2봉 지나 속초시 대포동 내물치 쌍천교 다리앞(0, 4.4/17.1)에서 바다가 되는 약17.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0. 백두화채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설악 속초

설악산 大靑봉(△1707.9)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1253봉-華彩봉(1330, 3.1)에서 북쪽으로 七星봉(△1076.9, 여맥)을 떨구고 동진하여 1259봉-△1216.4봉(0.8/3.9)-

송암산(△767.4) 전위봉인 861봉-622봉-262봉-상복골 임도(130, 6/9.9)-129봉-

하복골 임도(90)-△90.7봉-77봉-강선리 임도(30, 3/12.9)-83봉을 지나

양양군 강현면 물치리 쌍천교 다리앞(0, 1.4/14.4)에서 끝나는 약14.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1. 백두관모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설악 속초

설악산 대청봉에서 동남으로 분기하여 1399봉-1347봉-1104봉-

冠帽산(880, 5.6)에서 동남방향으로 오설피산(△224.8, 여맥)을 떨구고 동진하여 △741.9봉-△335.9-189봉-도로(110, 4.5/11.1)-△183.4봉-244봉-102봉-큰말도로(90, 3/14.1)-

103봉-△95.5봉-75봉-36봉-윗말도로 7번국도(10)지나 남대천이

바닷물이 되는 곳(0, 3.5/17.6)에서 끝나는 약17.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2. 백두관모빨딱단맥

백두관모단맥 관모산 가기전 등고선상111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가라피 뒷산인 등고선상310봉(3.6)-빨딱고개(130)-44번국도(3.5/7.1)-285.5봉-

56번국도(2.6/9.7)-재궁마을-범부교-서면교회(2.5/12.2)-양양군 서면 수상리 44,56번국도 수상IC가 있는 장승천이 후천을 만나는 곳(1.3/11)에서 끝나는 약1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3. 백두안산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설악

백두대간이 설악산 대청봉을 지나 한계령으로 내려가면서 등고선상1370봉에서 한줄기를 서쪽으로 분기하여 1355봉-귀떼기청봉(△1577.6, 1.5)-1456봉-△1408.2봉(2.8/4.3)-1289봉-大勝령(△1210.2, 2.2/6.5)-1396봉-鞍산(△1430.4, 2.4/8.9)-1257봉-1161봉-911봉-

모란골과 갈직촌을 이어주는 안부(5.8/14.7)-△558.3봉 지나 인제군 북면 한계리

와천마을(250, 2.5/17.2)에서 끝나는 약17.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4. 백두가리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설악 인제

寒溪령(△1003.6)에서 남쪽으로 올라간 △1003.6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1082.3봉-

加里봉(△1518.5, 5.5)-주걱봉(1401)-三兄弟峯(1225)-△1226.5봉(4.5/10)에서 서쪽으로 계속가는 백두가리리빙스톤단맥을 떨구고 남쪽으로 뻗어나가 △841.6봉-장승고개(790, 2.5/12.5)-

임도-873.2봉-852봉-寒石산(△1119.1, 4.5/17)-△984.6봉(3.2/20.2)-

△549.9봉(2.7/22.9)-51번국도 노루목주유소가 있는

인제읍 덕산리 소양강변(230, 1.4/24.3)에서 끝나는 약24.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5. 백두가리리빙스톤단맥

백두가리단맥이 흐르다 △1226.5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임도(4.6)-임도-

368.1봉(6.2/10.8)을 지나 인제읍 덕산리 소일평마을 앞

리빙스톤교가 있는 소양강변(230, 1.5/12.3)에서 끝나는 약12.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6. 백두망대암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설악 현리

백두대간 望臺岩산(1236)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1166.9봉-595봉-614봉-

상답도로(610, 7.2)-739봉-732봉-△687.9봉-712봉-△703.5봉(5.8/13)-557봉-△443.4봉-

31번국도를 건너 인제읍 하추리 남박구미마을 내린천변(270, 3.7/16.7)에서 끝나는

약16.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7. 백두가칠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설악 현리

백두대간 點鳳산(△1424.2)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작은점봉산(1295)-곰배령(1110, 2.8)-

1214.1봉-可漆봉(△1164.7, 3.7/6.5)-△707.1봉(3.4/9.9)-804봉-904봉-절골임도(450, 7.5/17.4)-

490봉을 지나 인제군 기린면 현리 31번국도를 지나

방태천이 내린천물을 만나는 곳(310, 2.7/20.1)에서 끝나는 약20.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8. 백두방태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현리

백두대간 葛田谷봉(1204)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柯七봉(△1241.1, 2.8)-

鷹伏山(1155.5, 3/5.8)-명지거리 임도(870)-九龍德봉(△1389, 3/8.8)에서 남쪽으로

[開仁산(1341), 砧石산(1320.8), 숫돌봉(1104), 여맥]을 떨구고 서진을 한다

芳台산 主億峰(△1442.1, 2/10.8)-배달은산(1410)-대골재(1350)-

푯대봉(깃대봉, △1436, 3.5/14.3)에서 상남면과 기린면의 경계는 북쪽으로 흐르고 단맥은 서북방향으로 흘러 1192봉(2.4/16.7)-水李봉(945)어깨(970, 2/18.7)-937봉-

△643.7봉(2.1/20.8)-후평동 도로(350, 2/22.8)를 지나 인제군 상남면 기린면 하남리 미기동 미기교 인군 내린천변(330, 1.6/24.4)에서 끝나는 약24.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8-1 백두방태방동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현리

백두방태단맥 구룡덕봉에서 북동방향으로 분기하여 백봉령(1190, 1)-1214봉-

△1252.8봉(1.5/2.5)-△1139봉(1.6/4.1)-1059봉-△947.3봉(2.1/6.2)-

방동고개임도(830, 1/7.2)-△886.2봉(1.4/8.6)을 지나 인제군 기린면 방동리 두응대마을

방동약수물이 방태천을 만나는 곳(270, 2.1/10.7)에서 끝나는 약10.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9. 백두정족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연곡 속초

백두대간 鷹伏산(△1359.6)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1027.7봉-1068봉-1116.9봉-1071봉-

1045봉-1144봉-863봉-△943.9봉-860봉-850봉-△846.3봉-754봉-鼎足산(△869.1, 15.5)-789봉-541봉-△485.1봉(4/19.5)-356봉-105봉-△88.9봉-74봉을 지나 양양읍 임천리 오색천이 남대천을 만나 남대천물이 되는 곳(30, 5.5/25)에서 끝나는 약2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 백두철갑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연곡 속초

백두대간이 남하하면서 설악산 구룡령 지나 오른 오대산 두로봉에서 남진하며 내려선 신선목이에서 올라간 등고선상 무명 1270봉에서 북동쪽으로 분기하여 강릉시 연곡면내를 가르며 △956.6봉-817봉-△819.1봉에서 전후치(690, 6.2)고개로 내려선다

803봉-913봉-鐵甲嶺(△1012.6, 3.6/9.8)에서 내려선 등고선상 990m 지점에서 동쪽으로 천마산(단맥)을 떨구고 북진하며 강릉시 연곡면과 주문진읍의 경계를 따라 950봉을 지나

강릉시 연곡면, 주문진읍, 양양군 현북면의 꼭지점인 938봉(2.2/12)에서 현북면과 주문진읍의 경계를 따라 △937.6봉 지나 양군 현북면과 현남면 강릉시 주문진읍의 꼭지점인 907봉(2.2/14.2)에서 동쪽으로 三兄弟峰(△617.8, 단맥)을 떨구고 북진하며

양양군 현북면과 현남면의 경계를 따라 851봉-615봉-△604.9봉-

望嶺峙(590, 6.3/20.5)-618봉-滿月산(△628.1, 0.9/21.4)에서 경계선을 떠나 서진하여

현북면내를 동서로 가르며 418번지방도로 어성전고개(190, 2.8/24.2)-△298.4봉-

叱馬치(130)-272봉-△263.0(3.3/27.5)-334봉-寒泉산(△326.1, 1.5/29)지나

등고선상 210봉에서 순수한 양양군 巽陽면내를 동서로 나누며

△255.9봉(3.2/32.2)-2번군도 부소치(210)-△207.6봉-224봉-

△154.3봉(5/37.2)-145봉-7번국도 고성고개(10, 3/40.2)로 내려온다

수여리 넘에말-잿말도로-43.3봉(2/42.2)-

56봉-갈골-낙산대교를 지나 양양군 손양면 사평리 바닷가 백두대간 두로봉 신선목이가 발원지인 남대천이 동해바다를 만나는 곳(0, 2.2/44.4)에서 끝나는 남대천의 남쪽 약44.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이 산줄기에 대한 작은 고찰

산줄기가 분기할 때는 내 나름대로의 몇가지 원칙을 가지고 이름을 짓는바 이 산줄기의 경우처럼 첫 번째 나오는 지명이 철갑령이라 어느 고개를 일컫는다고 생각하고 맨처음 나오는 산인 만월산의 이름을 빌어 나도 처음에는 백두만월지맥이라고 이름을 지었는바 실제로 답사한 결과 철갑령은 고개 이름이 아니고 1000m급이 넘는 산봉우리이며 또한 이정표 등 일반 산행로도 잘 갖추어져 있어 이 산줄기의 대표격이 될 소지가 있다

그러나 만월산은 산림조합에서 멧돼지를 방목해서 키우는 산으로 일반인들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으며 높이도 600m 급에 해당하여 철갑령하고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그 산세나 유명도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나는 철갑령을 그 산줄기의 대표가 될 수 있다는데에 전혀 거부감이 없다 그래서 철갑령의 이름을 빌어 백두대간 두로봉에서 분기하였으므로 백두철갑지맥이라고 이름을 짓는데 망서림이 없다

020. 백두철갑천마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연곡 강릉

백두철갑지맥이 철갑령 지나 내림능선상 990m 지점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연곡면과 주문진읍의 경계를 따라 △730.2봉(3)-580봉-△380.4봉(3/6)-탑재(507)-장덕고개(7.5/13.5)-천마봉(△121.1)-동해고속도로(2.4/15.9)-7번국도(3.1/19)를 지나 연곡면 영진리 사이까리마을 백두대간 진고개가 발원지인 연곡천이 동해바닷물이 되는 곳(0, 1.2/20.2)에서 끝나는 약20.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1. 백두철갑삼형제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연곡 강릉

백두철갑지맥이 철갑령 지나 도면상907봉에서 양양군 현남면과 강릉시 주문진읍의 경계를 따라 동진하며 732봉-삼형제봉(△617.8, 3)-동해고속도로(9/12)-7번국도 지나 주문진읍 주문리 강원도 동해출장소가 있는 곳인 백두철갑지맥 철갑령이 발원지인 신리천이 동해바닷물이 되는 신리하교(0, 1/13)에서 끝나는 약1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2. 백두철갑원포단맥

백두철갑지맥 만월산 남측 0.4km 지점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임도-

6번군도 웃달래고개(2.2)-259.7봉(2.5/4.7)-임도-178.2봉(2.5/7.2)-입암도로-동해고속도로 현남휴게소(1.6/8.8)-현대운전학원도로-도로-7번국도를 지나 양양군 현남면 원포리 화상천이 바다가 되는 화상암 바위가 있는 바닷가(2/10.8)에서 끝나는 약10.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백두병안여맥

백두대간 동대산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1337.8봉(1.2)-구곡동안부(6.4/7.6)-

446번지방도로와 6,59번국도와 만나는 병안삼거리(1.4/9)를 지나

병내천이 오대천을 만나는 곳(0.3/9.3)에서 끝나는 약9.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3. 백두백마단맥

백두대간 노인봉에서 북동방향으로 분기하여 백마봉(1094.1, 3.8)-소금강을 넘어가는

잣고개도로(5.9/9.7)-봉화재(346.1, 0.8/10.5)를 지나

소금강계곡이 연곡천을 만나는 곳(1/11.5)에서 끝나는 약1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 백두황병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연곡 도암 정선

백두대간이 남하하면서 오대산 노인봉을 지나 대관령으로 가면서

소황병산(1330)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황병산(△, 1407, 1.2)-1130봉-1166봉(5.1)에서 서남쪽으로 장군바위(△1140.4, 여맥)을 떨구고 동남진한다

백일평임도(970, 1.6/7.9)-995봉-901봉-456번지방도로 영동고속도로 싸리재(810, 3.5/11.4)-투구봉어깨-솔봉재(790, 2.6/14)-873봉-상동임도(830, 2.4/16.4)-

龍산(△, 1027.5, 3.4/19.8)-노삼동도로(890, 0.5/20.3)-1160봉(3.4/23.7)에서 서쪽으로

屛頭산(△988.5, 여맥)을 떨구고 남남동진한다

△1169.1봉-1166봉(2/25.7)에서 동쪽으로 發王산(△1458.1, 단맥)을 떨구고 남진하여

굴아우임도(910, 0.7/26.4)-등고선상1130봉(△, 1.9/28.3)-博芝산(△1394, 1.5/29.8)-

아차골안부(1250, 1/30.8)-등고선상1310봉에서 서쪽으로 숙암리 오대천변까지 또 한줄기(단맥)를 떨군다

△1340.8봉-1308봉(1.7/32.5)에서 동쪽으로 두루봉(△1225.6, 여맥)을 떨구고 남진하여

△1207.3봉-△1194.7봉-1303봉(4.8/37.3)에서 남쪽으로 上元산(△1421.4, 단맥)을 떨구고 서북진하여 등고선상1210봉에서 서남진한다

1168봉-葛味봉(1265, 3.2/40.5)-창랑골임도(930, 1.5/42)-1105봉-

白石봉(1238, 3/45)-석두임도(730, 3.5/48.5)-난향산(△842.4)-정선군 북평면 어라연 나전교 지나 오대산이 발원지인 오대천이 조양강과 만나는 곳(330, 2.5/51)에서 끝나는 약5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4. 백두황병도암단맥

백두황병지맥 황병산에서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임도(0.8)-고원목장임도(6.3/7.1)-

비석골안부(2/9.1)-영동고속도로(3.3/12.4)-도암면사무소도로를 지나 평창군 도암면 차황천이 송천을 만나는 곳(1.6/14)에서 끝나는 약1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5. 백두황병발왕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도암

백두황병지맥이 소황병산에서 분기하여 남하하면서 용산지나 1166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1070봉-발왕재-1253봉-發王산(△1458.1, 3.4)-평창군 도암면 진부면 강릉시 왕산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 1130봉(2/5.4)에서 동남으로 老人봉(△1059.4, 여맥)을 떨구고 남진하여

978봉-율목치(950, 4.5/9.9)-△1138.2봉-상장평(910)-多樂산(1018, 4.7/14.6) 지나 정선군 북면 구절리 양지마을(430, 1.4/16)에서 황병산이 발원지인 송천과 만나 송천물이 되는 곳에서 끝이나는 약1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6. 백두황병숙암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도암 정선

백두황병지맥이 소황병산에서 분기하여 남하하면서 용산 박지산을 지나 등고선상 1310봉에서 진부와 북평의 경계를 따라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1233봉-1120봉(3.2)-

△1037.6봉(4.2/7.4)-△968.2봉(2.1/9.5)-977봉-숙암천과 오대천이 만나는 곳(410, 2/11.5)에서 오대천물이 되는 약1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7. 백두황병상원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도암 정선

백두황병지맥이 소황병산에서 분기하여 남하하면서 박지산 지난 도면상 1303봉에서 정선군 북면과 북평면의 경계를 따라 남남동진하여 1293봉-등고선상1310봉(△)-上元산(5.2)-

1322봉-玉甲산봉(1290, 2.6/7.8)-1233봉-정선군 북평면 북평리 한골 장열교 다리 앞에서 조양강물이 되는 곳(350, 4/11.8)에서 끝이나는 약11.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8. 백두천마단맥

백두대간이 소황병산에서 매봉으로 가면서 등고선상1110봉에서 북동방향으로 분기하여

천도대 비룡대-천마봉(999.4, 2.7)-솟바리안부를 지나 오대산국립공원이 끝나는 곳(7/9.7)-

버들골안부(2.4/13.1)를 지나 415번지방도로 연곡천변 행신1교(1.4/14.5)에서 끝나는 약14.5km의 신줄기를 말한다

029. 백두운계단맥

백두대간 매봉 남측 등고선상1100m 지점인 강릉시 연곡면, 사천면, 평창군 도암면의 삼면지점에서 북동방향으로 분기하여 운계봉ㄴ(530.5, 9)-임도를 만나 임도따라 가다 임도가 끝나는 지점(5.4/14.4)-동해고속도로(1.5/15.9)-7번국도 구라미고개(2.5/18.4)-도로-

도로(2.2/20.6)를 지나 연곡면 동덕리 연곡해수욕장 연곡천이 바다가 되는 곳(1/21.6)에서 끝나는 약21.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0. 백두보현단맥

백두대간 곤신봉 동측 등고선상1100m 지점인 평창군 도암면, 강릉시 사천면, 성산면의 삼면지점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대공산성-보현산(974.6, 1.2)-임도(4/5.2)-임도를 다시 만나 임도를 따라 영동고속도로 멍어재(3.6/8.8)-영동고속도로 머리재(1.5/10.3)-동해고속도로-

안소암도로(3.7/14)-도로(1/15)-여보암 도로삼거리(3.4/18.4)-땅재봉(120)-임도(1/19.4)-

마명산(94.3) 강릉대학교 사거리-7번국도(1/20.4)를 지나 강릉시내를 관통해서

강릉역인근(2.5/22.9)-한솔초교-송정동사무소 도로를 지나 도로따라 안목항인근

죽도봉(37.1. 5/27.9)을 지나 남대천이 바다를 만나는 지점 동해바다(0.1/28)에서 끝나는 약2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백두제왕여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구정

백두대간 대관령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838봉-帝王산(△840.7, 2)-587봉-

五峰산(△541.6, 3/5)을 지나 강릉시 성산면 오봉리 35번국도 방도교 앞(70, 2/7)에서 끝나는 약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1. 백두옥녀단맥

백두대간 고루포기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임도 피덕령(3.2)-옥녀봉(1146.2, 1.4/4.6)-

왕산고냉지화훼단지(4/8.6)-842.6봉-록유사(0.7/9.3)를 지나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 새터마을 인근 410,415번지방도로 대기천이 송천을 만나는 곳(1.5/10.8)에서 끝나는 약10.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2. 백두노추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구정 도암 임계

백두대간 대화실산어깨(930)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大花實산(△1010.0)-

임도(930, 1.8)-995봉-매봉산(1030)-△948.0봉-

410번 지방도로 비오치(850, 3.1/4.9)를 지나 1173봉(2.5/7.4)봉에서 동남방향으로

王峙산(△849.0, 단맥)을 떨구고 서북진한다

사달산(1184)-1168봉-魯雛산(△1322.0, 2.1/9.5)어깨에서 북쪽으로

鳥高峰(△1188.6, 여맥)을 떨구고 서진하며 노추산 정상에서 남쪽으로 오장산(733. 여맥)을 떨구고 서진하여 아리랑산(1342, 0.7/10.2)-782봉(4.7/14.9)을 지나 황병산에서 발원한

송천변(510, 1.1/16)에서 끝이나는 약16km의 산줄기를 말하거나

노추산에서 남쪽으로 뻗어내려

오장산(733, 3/12.5)을 지나 정선군 북면 구절리 415번 지방도로 구절천이 송천을 만나는 곳(1/13.5)에서 끝이나는 약13.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3. 백두노추고비덕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구정 임계

백두노추단맥이 비오치를 지나 올라간 사달산 동남측 1173봉에서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1078.2봉-새목재(810, 2.1)-958봉-996.9봉에서 동남방향으로

德牛산(△1009.3, 여맥)을 떨구고 서남진하여 등고선상930봉(2.9/5)에서 동남방향으로

王峙산(900, 여맥)을 떨구고 서진하여 상고사리임도(2.5/7.5)-임도-고비덕(989.5, 2.5/10)에서 동남방향으로 왕재산(997.2, 여맥)을 떨구고 서남진하여 유천터널(3.2/13.2)을 지나 정선군 북면 여량리 송천이 골지천을 만나 조양강이 되는 아우라지(0.3/13.5)에서 끝나는

약13.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4. 백두만덕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구정 강릉 묵호

백두대간 두리봉(1033)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강릉시 왕산면과 옥계면의 경계를 따라 仙鶴치(954)-萬德봉(△1035.3, 3.6)에서 동북방향으로 망기봉(단맥)을 떨구고 왕산면과 강동면의 경계를 따라 서북진하여 마갈산(△942.9, 2.3/5.9)-913봉-七星山(981, 3.1/9)에서

북동으로 원장봉(단맥)을 떨구고 七星臺(△953.6, 1.4/10.4)-구룡사(관음사) 갈림길(990, 1.3/11.7)-매봉산(810, 0.8/12.5)-늘목재(510, 1.7/14.2)-△605.6봉(1/15.2)을 지나 304봉(1.5/16.7)에서 북쪽으로 七峰산(△360.9, 여맥)을 떨구고 동북진하여 동해고속도로와 나란히 가는 구정마을 가는 도로에 이른다

도로따라 말미골삼거리(90, 2.5/19.2)-삼정치(70)-구정면 여찬리 자주왈마을 삼거리(50, 2.2/21.4)-동해고속도로(50, 2.5/23.9)에 이르고 母山봉(△104.3)어깨-영동선 철로 앞고개도로(1.8/25.7)-33.5봉(2/27.7)-반갓마을을 지나 강릉시 남항진동 남대천이 동해바다와 합수하는 곳(0. 2.7/30.4)에서 끝이나는 약30.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이 만덕지맥에서 분기한 단맥들을 살펴보면

만덕봉에서 동남으로 분기한 1.백두만덕삿갓단맥

만덕봉에서 동북으로 분기한 2.백두만덕망기단맥

다시 백두만덕망기단맥 망기봉 남측에서 동쪽으로 분기한

3. 백두만덕망기피래단맥

다시 그 백두만덕망기피래단맥 피래산 남측에서 동쪽으로 분기한

4. 백두만덕망기피래가마단맥

백두만덕지맥 칠성산에서 북동으로 분기한 5. 백두만덕원장단맥

백두만덕지맥 갈미봉에서 분기한 6. 백두만덕칠봉단맥

이렇게 총 6개나 있는 매우 복잡한 산줄기이다

034. 백두만덕삿갓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구정 묵호

백두만덕지맥 만덕봉에서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873.3봉-삿갓봉(400.4, 6.2)-

406.3봉(2/8.2)-120.4봉(4.3/12.5)-동해고속도로 옥계IC(1.8/14.3)-동해선철로를 지나 낙풍천이 주수천을 만나는 곳(1.2/15.5)에서 끝나는 약15.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5. 백두만덕망기단맥

백두만덕지맥 만덕봉에서 북동방향으로 분기하여 망기봉 남측0.6km전 등고선상710봉에서 동쪽으로 백두만덕망기피래단맥을 분기하고 북진하여 망기봉(755.2, 4.7)-망덕고개임도-

망덕봉(781.1, 3/7.7)-동덕탄광임도(1.8/9.5)-동해고속도로 동해5터널-425.1봉(1.5/11)-

아울재-양장산(2.7/13.7)-태봉광업소-7번국도(1.3/15)를 지나 강릉시 강동면 모전리 임곡천이 군선천을 만나는 곳(0.4/15.4)에서 끝나는 약15.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6. 백두만덕망기피래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구정 묵호

백두만덕망기단맥 망기봉 남측0.6km전 등고선상710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덕우리재-

피래산 남측0.6km전 등고선상690m 지점에서 동쪽으로 백두만덕망기피래가마단맥을 떨구고 북진하여 피래산(753.9, 4.3)-544.7봉-동해고속도로 동해4터널-청학산(337.1, 4.6/8.9)-

7번국도 동해1호터널-화비령임도(1.7/10.6)-임도-괘방산(339, 2.1/12.7)-도로(3/15.7)-

영동선철로-안인해수욕장-봉화산를 지나 강릉시 안인진리 개목마을 군선천이 동해바다가 되는 곳(1/16.7)에서 끝나는 약16.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7. 백두만덕망기피래가마단맥

백두만덕망기피래단맥 피래산 남측0.6km전 등고선상690m 지점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509.1봉-동해고속도로 동해1터널 구7번국도 밤재(4.5)-신7번국도 동해2호터널-

가마봉(383, 1.8/6.3)-297.2봉-임도(2.9/9.2)-5번군도(2/11.2)를 지나 정동진천이 바다가 되는 정동진해수욕장(0.2/11.4)에서 끝나는 약11.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8. 백두만덕원장단맥

백두만덕지맥 칠성봉에서 북동으로 분기하여 858.5봉-동해고속도로(5.2)-3번군도(1.5/6.7)-

임도(2.2/8.9)-139.8봉-구7번국도-신7번국도 밤고개(2.5/11.4)-강릉시 강동면 안인리 영동선 안인역(2.2/13.6)을 지나 군선천이 동해바다가 되는 곳(0.5/14.1)에서 끝나는 약14.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9. 백두만덕칠봉단맥

백두만덕지맥 갈미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늘목재-605.6봉(3)-버들고개(2.7/5.7)-

칠봉산(1.5/7.2)-동해고속도로 구정휴게소(1.5/8.7)-도로(1.4/10.1)를 지나 강릉시 회산동

남대천변 회산교(0.7/10.8)에서 끝나는 약10.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40. 백두매봉단맥

백두대간 백봉령 동남측 등고선상810m 부근인 정선군 임계면, 강릉시 옥계면, 동해시의 3면지점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42번국도(0.8)-42번국도(1.7/2.5)-

42번국도 남면치 삼거리(1.5/4)-매봉산(606.9, 1.8/5.8)-느릅재임도(4/9.8)-

초록봉(531.4, 2/11.8)-동해고속도로 동해IC(3/14.8)-7번국도(2/16.8)-동해역을 지나 동해시 송정동 동해항 전천이 동해바다가 되는 곳(2.4/19.2)에서 끝나는 약19.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41. 백두중봉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임계 구정

백두대간 고적대에서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중봉산(1283.5, 3)-당골목고개-1283.5봉-

임도-새목재(6.2/9.2)-전평산-석동산(750, 1.6/10.8)-임도를 따라 성재(3/13.8)-

582.1봉-35번국도(1.3/15.1)를 지나 임계면 봉산리 송계교 임계천변(0.3/15.4)에서 끝나는 약15.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42. 백두둥둥단맥

백두대간 청옥산 동남측0.4km 등고선상1307m 부근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번내재-

1201.3봉(4)-검마래미재-턱골재-건마람재-둥둥산(1208.3, 5.1/9.1)을 지나 삼척시 하장면 중봉리 중봉교 당곡천이 골지천을 만나는 곳(5/14.1)에서 끝나는 약14.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43. 백두쉰움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삼척

백두대간 두타산에서 대간은 남쪽으로 흘러가고 동북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오십천의 온전한 북쪽 울타리를 치며 동해시와 삼척시의 경계를 따라 쉰움산(653, 3.3)-

배수고개(290, 1.8/5.1)-저시고개(290)-441봉-◬446.2봉(2.5/7.6)-영동선 지상굴-

◬134.3봉(3.5/10.9)-38번국도(110, 1.5/12.4)-◬157.8봉(1.5/13.9)에서 순수한 삼척시내로 들어가 동남진한다

◬176.5봉(2.1/16.1)-148봉(1/17.1)-삼척공전대-삼척공설운동장-

광진산(◬137.5, 4.2/21.3)-鳳凰산(150, 1.8/23.1)-7번국도-삼척시 정하동 오십천물이 동해바다로 흘러드는 六香산 바닷가(1.4/24.5)에서 끝이나는 약24.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44. 백두쉰움갈매기단맥

백두쉰움단맥 두타산 북동측 약0.6km 지점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갈매기산(653.5, 3)-

벌뱅이산-대방산(423.5, 1.9/4.9)-1번군도 국수재(2/6.9)-앞재(2/8.9)-적병산(181.5, 2/10.9)을 지나 삼척시 미로면 사둔리 신개터마을 내미로천이 삼척오십천을 만나는 미로2교(0.7/11.6)에서 끝나는 약11.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45. 백두미로단맥

백두대간 댓재 북동측0.6km 지점인 등고선상970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424번지방도로(1.6)-525.9봉(2/3.6)-임도-1번군도(2.5/5.6)-영동선 미로터널-

38번국도 대내기재(4.5/10.1)-155봉-가늘재도로(0.8/10.9)-미로역 인근 미로초교 근방을 지나 삼척시 미로면 무사리 골말마을 삼척오십천변(0.9/11.8)에서 끝나는 약11.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5. 백두금대(대덕)지맥

두산줄기를 종주하는데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태백 임계 정선

백두대간이 삼척 환선굴로 유명한 덕항산을 따라 남하하다 태백시 피재 지난 매봉산에서 낙동정맥을 동해 바닷가로 떨구고 서진을 하다 한강의 발원지인 금대봉 고목나무샘에서 흐르는 샘물이 지하로 스며들었다가 금대봉 북사면 계곡물이 흘러 합수점에 있는 석회암반을 뚫고 끝없이 다시 솟아오르는 검용소 물이 골지천이 되어 흐르고 흘러 백두대간 황병산에서 발원하여 흘러온 송천과 만나는 정선아리랑의 고향 정선군 북면 여량리 아우라지에서 조양강이 되며 비로소 강의 격을 얻는다

조양강이 흐르며 백두대간 오대산 두로봉에서 흘러온 오대천을 흡수하고 흘러가다 정선 소금강을 보듬고 있는 동대천과 합류하여 남하하다 백두대간 함백산에서 발원하여 흘러온 동남천과 만나는 합수점에서 동강이 된다

이 동강이 흘러가다 정선군 신동읍 두위봉에서 흘러내린 단곡계곡물이 석황천이 되어 흘러 동강과 합류를 하고 영월읍에 이르러 횡성군 둔내면 치악기맥의 태기산에서 발원한 서강과 만나 남한강이라는 이름을 얻는다

남한강이 흐르고 흘러 경기도 양평군 양수리에서 북한강과 만나 머나먼 길의 종착지를 향해 비로소 한강이라는 이름을 얻게된다

말이 나온김에 강에 대해 잠깐만 이야기하고자 한다

한강을 예로 들어 통상 한강의 발원지부터 한강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경기도 김포에서 서해바다가 되는 것이 아니라 처음에는 이름없는 계곡물이었다가 어느 정도 규모가 갖추어지면 천이라는 이름을 얻는다

위에서 말하는 골지천이 그예다

다음으로 더욱 그 세가 강성해지면 비로소 강이라는 이름으로 바꿔단다

위에서 말하는 조양강이 그예다 우리 인간을 예로 든다면 이름을 바꾸는 것이다

이 강이 흘러가며 여러 지천을 흡수하며 여러번 그 지방에 따라 이름을 바꾸어 가며 흐른다 위에서 말하는 동강 남한강이 그 예다

이렇듯 골지천과 조양강과 동강과 남한강과 한강이 서로 다른 물줄기가 아니라 같은 물줄기이며 그 전체를 한번에 부를 경우 그 세가 가장큰 바다로 빠지는 강의 이름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골지천+조양강+동강+남한강+한강=한강인 것이다

나는 산줄기의 개념이 없을 시절에 동강과 한강이 다르며 조양강과 동강이 서로 다른 강이라고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다행히 산줄기를 알아가면서 자연히 강줄기에 대한 이러한 이치를 알아가게 되었고 산경표의 원리인 산자분수령도 이해하게 된 것이다

그러다보니 강퍅한 마음에서 잠시 벗어나 모든 것에 대한 감사한 마음을 지닐수 있는 마음 자세도 생기곤 한다 물론 마음뿐이지만 언젠가는 이루어지리라 생각하는 믿음은 변함이 없다

이야기가 엉뚱한 곳으로 흐른 것 같아 다시 제자리를 찾는다

이 한강의 발원지인 백두대간상 태백시 화전동에 있는 금대봉에서 백두대간은 남쪽으로 머리를 돌려 남하하고 서북방향을 한줄기를 떨구어 1km 정도 지난 무명 1346봉에서 두줄기로 갈라진다

*현지답사 결과 이 1346봉은 우암산이라고 안내판에 표시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금대봉에서 떨어져 내린 산줄기가 흐르다 평지에서 오른 둔덕봉 수준일 뿐이다

동북으로 뻗은 산줄기는 대덕산 각희산 고양산 상정바위 남산 지나 송천이 골지천을 만나는 정선군 북면 여량리 당너머마을에서 조양강 물이 되는 산줄기로 나의 산줄기 분류체계상 백두대덕지맥이라 부르고

또 한줄기는 서쪽으로 분기하여 노목산 지억산 쇄령 문두치 병방치 지나 정선군 정선읍 용탄리 박탄교에서 조양강물이 되는 산줄기로 나의 산줄기 분류체계상 백두대덕노목분맥이라고 부를 수가 있다

특이한 것은 백두대간에서 분기한 1km만 공유를 하면 이 두산줄기를 한꺼번에 연결을 해서 종주를 할 수 있는 약102km의 긴 산줄기가 탄생이 되는 것이다

그 흐름을 살펴보면

백두대덕지맥은

금대봉(△, 1418.1m)-1346(1km)봉에서 삼척시 하장면과 태백시의 경계를 따라

동북진하며-1266봉-대덕산(△, 1307.1m, 5.1km/6.1km))-1123봉-

1184.9봉(△, 5.3/11.4)-1177봉어깨-1234.2봉(△, 4.5/15.9)-1235봉-

1171.4봉(△)-오두재(890, 6.2/22.1)-오두산(△, 1168.9)-1078봉-

1078.5봉(△, 3.3/25.4)-새이골고개(송원재, 790, 1.7/27.1)-990봉(△)-

벌문재(790. 도면상 비슬이재 2.6/29.7)-각희산 전위봉(1050, 1.5/31.2)-

소래재(1000)-문래산 전위봉(1070, 4.5/35.7)-933.1봉(△)-864봉-

다래재(790, 2.7/38.4)-승두치(2.1km/40.5km)-배재-

고양산(△, 1150.7, 2.1/42.6)-곰목이재(950, 2/44.6)-마치(910, 4.4/49)-

상정바위(△, 1006.2, 1.6/50.6)-976봉-남산(970, 3/53.6)-꽃벼루-정선군 북면 여량리 당넘어마을 조양강변(390, 5.2/58.8)까지의 약 58.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 백두대덕노목분맥

두산줄기를 종주하는데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태백 임계 정선

금대봉(△, 1418.1m)-1346봉(1km)에서 정선군 동면과 고한읍의 경계를 따라 가다 사북읍의 경계를 따라 1088.9봉(△, 5.6/6.6)-노나무재(890m, 1.5/8.1))-

노목산(△, 1150.2, 1.9/10)에서 경계능선을 버리고 서쪽으로 내려간

직전2차선도로(750, 2/12)-961.4봉(△)-은곡2차선도로(830, 5.2/17.2)-

지억산(△, 1116.7, 1.8/19)-1045봉-유천2차선도로(790, 2.5/21.5)-920.9봉(△)-

902.6봉(△, 3/24.5)-952.4봉(△)어깨 거칠현치(3/27.5)-

59번국도 쇄령터널 쇄령(636.8, 2.5/30)-쇄령제1기차터널-720.6봉(△)-

문두치(610, 2/32)-조양산(△, 1022.3봉)-명애골임도(790, 4/36)-

860.4봉(△)-636봉-병방치(590, 3.5/39.5)-440.6봉(△)어깨-357.3봉(수준점)-

42번국도 삼거리-정선읍 용탄리 벽탄교(4.5/44) 앞에서 조양강물이 되는 약4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여기서 잠시 고찰해 볼 사안이 하나 생기는데 이 두산줄기를 분기하고 있는 금대봉에서 무명봉까지의 1km를 양 지맥에 공유를 시킨다면 금대봉에서 두개의 지맥이 탄생되는 것이며 금대봉에서 동시에 분기하는 것으로 볼 수가 있다

이런 분류방식은 정맥과 기맥에서는 이미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한남정맥과 금북정맥, 금남정맥과 호남정맥, 팔공기맥과 위천북기맥, 가야기맥과 금오기맥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방식을 모든 지맥에 전부 적용 한다면 수많은 중첩된 산줄기들이 탄생하며 나의 산줄기 분류체계상 분맥의 개념이 없어지고 마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그 중첩된 부분이 통상적으로 이해가 될 수 있을 정도의 근거리로 한정을 한다면 이 두지맥이 동시에 분기한다고 보는데 무리는 없을 것으로 사료가 된다

나는 그 중첩된 구간을 다분히 주관적이긴 하지만 현존하는 잣대가 없으니 약2km 내외로 정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

이런 논리로 이 두지맥의 이름을 짓는다면 백두금대고양지맥, 백두금대노목지맥이라고 부를 수가 있다 그리하면 각각 별개의 산줄기가 되어 연결 종주하는데 혼란을 가져 올 수가 있다

그래서 좀더 간편한 이름을 짓기로 한다

백두대간 금대봉에서 분기하였으므로 이 두지맥을 합쳐 백두금대지맥이라고 지칭을 하고 별개의 지맥으로 논할때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백두대덕지맥, 백두대덕노목분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그러면 이해하기도 쉽고 종주하는데도 여러모로 편리할 것이다

이러한 지맥으로 지금까지 발견한 것으로는 금남호남정맥상 장수 팔공산에서 분기하여 잠시 동쪽으로 가다 성수산과 묘복산으로 갈래를 치는 두개의 산줄기를 위와 같은 논리로 금남호남팔공지맥이라고 명명한 산줄기가 있다

*나의 금남호남팔공지맥종주기에 자세한 내용이 있다

046. 백두대덕각희단맥

백두대덕지맥이 백두대간 금대봉에서 분기하여 배재 오두재 송이재 비슬이재를 지나 오른 등고선상1050봉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각희산(1083.2, 0.6)-

9번군도 문치(730, 1.6/2.2)-757.9봉2/4.2)-박심재-888.6봉(3.1/7.3)-취적봉(727.2, 2.1/9.4)-

옥순봉(630)을 지나 정선읍 여탄리 동대천변(1.5/10.9)에서 끝나는 약10.9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47. 백두대덕문래단맥

백두대덕지맥 각희단맥을 분기한후 대체적으로 분기하여 북쪽으로 흐르다 급하게 유턴하여 대체적으로 서진하는 등고선상1090봉에서 북동쪽으로 분기하여 문래산(1081.5, 1.5)-

자후산(904, 3/4.5)-863봉-884.9봉(3.1/7.6)-단봉산(670, 2.1/9.7)-소특재(570)-

638.3봉-가랭이산(574, 2.5/12.2)을 지나 9번군도를 넘어 정선군 임계면 봉산리

골지천변(470, 0.4/12.6)에서 끝나는 약12.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6. 백두두위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태백 예미 정선 영월

백두대간이 남하하면서 금대봉에서 백두금대지맥을 떨구고 남진하다 은대봉 함백산 만항재에서 백두대간은 남쪽으로 뻗어나가고 한줄기가 북쪽으로 분기하여

백운산 두위봉 죽렴산 곰봉 고고산 완택산 지나 두위봉에서 발원한 석황천의 온전한 북쪽 울타리를 치면서 석황천이 동강과 만나 동강물이 되는 영월읍 상리에서 그 끝을 담그는 산줄기가 있으니

그 흐름을 살펴보면

만항재(1270m)에서 정선군 고한읍과 영월군 상동읍의 경계를 따라

1311봉-1387.7봉(1.8km)-1387봉-1453.4봉(△, 2.7/4.5)-

박심임도(1010, 1.8/6.3)-백운산(△, 1426.2, 2.3/8.6)지나 등고선상 1390봉에서 영월군 중동면과 고한읍의 경계를 따라 가다

1366봉에서 사북읍과 중동면의 경계를 따라-1215.3봉(△)-

꽃꺼끼재(1110, 3.4/12)-1346봉-1439.3봉(△)에서 두위봉 가기 전에 정선군 남면과 영월군 중동면의 경계를 따라

두위봉(△, 1465.9, 5/17)에서 500m 정도 지나 석황천의 북쪽 줄기를 온전하게 에워쌓며 정선군 신동읍과 남면의 경계를 따라 1344봉-1152봉-

자미원임도(990, 3.7/20.7)-1015.6봉(△)-수리재터널-수리재(870, 1.6/22.3)-

죽렴산(△, 1059, 0.8/23.1)-945봉(3,7/26.8)에서 북진을 하여

38번 59번국도 마차치(717, 2.1/28.9)-광방임도(870, 1.1/30)-

곰봉(△, 1014.9, 1.5/31.5)에서 신동읍을 동서로 가르며 남진하여-947.8봉-

기일임도(910, 4/35.5)-고성터널-임도(630, 3.6/39.1)지난 등고선상 810봉어깨에서 신동읍과 영월군 중동면의 경계를 따라

815봉-880봉어깨-미구치(710, 3.9/43)-고고산(△, 853.6, 1.3/44.3)에서 영월읍과 중동면의 경계를 따라 가다 921봉(1.2/45.5)에서 영월읍내를 남북으로 가르며 서진하여

완택산(△, 916.1, 2.2/47.7)-872봉-749.2봉(△, 3/50.7)-464.9봉(△, 2.5/53.2)-석황천이 동강과 만나 동강물이 되는 영월읍 덕포리 상리마을(1.5/54.7)에서 끝이 나는 도상거리 약54.7km의 산줄기를

마땅히 부를 이름이 없어 철쭉으로 전국적으로 이름을 얻고 있는 두위봉의 이름을 빌어 백두대간 만항재에서 분기하였으니 백두두위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위에서 언급한 3개의 산줄기중 노목지맥은 정선군을 남북으로 가르는 분수령이 되며 대덕지맥은 대부분 정선군과 삼척시 태백시 영월군의 경계를 따라간다

048. 백두두위단풍단맥

백두두위지맥이 백두대간 만항재에서 분기하여 흐르다 백운산 지난 정선군 사북읍 영월군 상동읍 중동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1390봉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임도(1230, 0.6)-

임도(870, 4/4.6)-임도(890, 1.6/6.2)-매봉산(1267.6, 1.4/7.6)-단풍산(1215, 3.1/10.7)을 지나 영월군 중동면 녹전리 11번군도 31번국도 시루교 직동천이 옥동천을 만나는 곳(3.6/14.3)에서 끝나는 약14.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 백두두위예미분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태백 예미 영월

두위지맥상 두위봉에서 서쪽으로 500m 정도 내려간 지점에서 두위지맥은 서북으로 달리고 다른 한줄기가 서남으로 흘러 온전한 석황천의 남쪽 줄기를 이루면서

정선군 신동읍과 영월군 중동면의 경계를 따라 단곡임도(1010)-

질운산(△, 1171.8, 4)-새비재임도(910, 1.5/5.5)-962봉-921.9봉(△)-

뱃재(670, 3.5/9)-예미산(△, 989.2, 1.5/10.5) 지나서중동면을 동서루 가르며

31번국도 점골도로(590, 2.4/12.9)-935봉-망전리 임도

망경대산(△, 1087.9봉, 2.8/15.7)에서 영월읍과 하동면의 경계를 따라

자령치(810, 2/17.7)-963.7봉(△)-응봉산(△, 1013, 3.2/20.9)-845봉(△)에서 영월읍내로 들어가 계족산(△, 889.6, 5/25.9)-468봉-292.4봉(△, 5.2/31.1)-

88국지도 영월읍 동강교 아래 봉래초교에서 동강과 서강이 만나 남한강이 되는

영월읍 하리마을 강가(190, 1.5/32.6)에서 끝이 나는 약 32.6km의 산줄기를 마땅히 부를 이름이 없어 정선군 신동읍에 있는 이름도 예쁜 예미산의 이름을 빌어 백두대간 두위지맥에서 분기하였으니 백두두위예미분맥이라고 이름을 짓는다

049. 백두문수단맥

백두대간 태백산 무쇠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경북과 강원의 경계를 따라

문수봉(1470, 2.2)-화성재(5.1/7.3)-소천~도계간 도로개설지(3.4/10.7)-황메기산(0.5/11.2)-

안개봉-연화봉(1052.8, 0.8/12)을 지나 봉화군 석포면 대현리 31번,35번 국도 대현교 백천천이 낙동강을 만나는 곳(1.6/13.6)에서 끝나는 약13.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 백두청옥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태백 장성 소천

백두대간이 태백산에서 구룡산으로 가면서 깃대배기봉(1374)에서

동남쪽으로 분기하여 두리봉(1353)-靑玉산(△1276.5, 6.2)에서

남쪽으로 白煙봉(781.4, 단맥)을 떨구고 동진하여

31번국도 늦재(넛재, 790, 3.4/9.6)로 내려선다

1019봉-솔개밭목이봉(△1128.6, 3.6/13.2)에서

북쪽으로 달바위봉(1094, 여맥)을 떨구고 동남진하여 1029봉-

飛龍산(△1129.4)에서 동쪽으로 배바위산(△967.8, 여맥)을 떨구지만 지맥은 비룡산 어깨(1090, 5.8/19)에서 비룡산 정상으로 안오르고 서남진하여 임도(810, 1/20)로 내려선다

902.5봉-△864.5봉(2.4/22.4)-△602.4봉어깨(550, 3.7/26.1)-565봉-

임도(350, 2/28.1)-현동터널 지나 봉화군 소천면 현동리 백두대간 깃대배기봉이 발원지인 현동천이 낙동강을 만나는 0.7km전 현동천변(1.1/29.2)에서 끝이나는 지맥급과 거의 같은 약29.2km의 산줄기를 0.8km가 부족하다고 단맥으로 분류하기에는 무언가 조금 섭섭한 면이 있어 눈 질끈감고 절상해서지맥으로 분류하기로 한다

050. 백두청옥백연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태백 춘양

백두청옥단맥이 백두대간 깃대배기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흐르다가 청옥산에서 두줄기로 분기하여 청옥단맥을 동쪽으로 보내고 봉화군 소천면을 동서로 나누며 남진하며 白煙봉(781.4, 8.7)지나 청옥산이 발원지인 황평천이 현동천을 만나는 약1km 전 소천면 고선리 잔대미 동측 황평천변(2.7/11.4)에서 끝이나는 약11.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8. 백두각화지맥

종주에 필요한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태백 춘양

백두대간 태백산에서 구룡산으로 가면서 깃대배기봉(1350)에서 동쪽으로 백두청옥지맥을 분기하고 남진하여 차돌배기(1210)에서 대간은 서북쪽으로 방향을 바꾸고 한줄기를 남쪽으로 분기하여 봉화군 춘양면과 소천면의 경계를 따라

1242봉-△1172.2봉-1182봉-覺華산(△1176.7, 5.2)-

王頭산(△1045.6, 2/7.2)-兄弟봉(930, 2.7/9.9)-큰재(750)-

살피재임도(630, 3.5/13.4)-아홉사리봉(△742.3, 0.7/14.1)-아홉사리재를 지나 華獐산(△859.4, 2/16.1)으로 올라

터널이 뚫려 지금은 한가한 도로로 변해버린

구 35, 36번국도 노루재도로(630, 1.2/17.3)로 내려와 △682.7봉을 지나

31번국도 임기고개(봉우재?, 450, 3.4/20.7)로 내려선다

임기기차굴(470)-방고개마을(470)-月岩산(△608.3, 3/23.7)-

마너무임도(510)-고늘미임도-35번국도 개노리재(390, 3.6/27.3)-472.8봉-

황새마을임도(410, 3/30.3)-△517.0봉을 지나 35번국도(△447.1, 3/33.3)에 이른다

참나무재도로(350)을 지나 봉화군 명호면 도천리 도천교 바로 동측 백두대간 구룡산이 발원지인 운곡천이 낙동강을 만나는 곳(210, 2.4/35.7)에서 끝이나는 약35.7km의 산줄기에 이름이 없다

그래서 그 산줄기에서 이름있는 산중 제일 높고 각화사라는 명찰을 품고 있으며 특히 예전의 우리나라 4대서고가 있었던 각화산의 이름을 빌어 30km 이상 100km 미만의 산줄기이며 백두대간에서 직접 분기하였으므로 백두각화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산경표 23혈, 26혈을 살펴보면

(二三頁)

081)太白山 見上一九頁

082)水多山 西來 分二歧-1

(26혈)1-破呑峴 東來 洛東正幹

覺華山 西來 奉化北六十里 見下

태백산에서 남쪽으로 흐르며 수다산에서 동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파탄현을 지나 서쪽으로 흐르며 봉화북쪽 60리에 있는 각화산으로 흐르는 산줄기로 방향이 좀 이상하지만

산이름은 명확하게 각화산으로 표기되어 있어 이 산줄기가 바로 지금의 백두각화지맥이라고 할 수가 있다

051. 백두삼동단맥

백두대간 구룡산에서 북서쪽으로 분기하여 경북과 강원의 경계를 따라 민백산(1250, 2)-

삼동산(1178.2, 2/4)-삼동치 임도(850, 1.5/5.5)-등어치(810, 3.3/8.8)에서 도경계를 떠나 영월군 상동읍과 김삿갓면의 경계를 따라 933.3봉-쇠이봉(1119.2, 4.7/13.5)-967.2봉-

목우산 생애봉(1066, 3.3/16.8)-935.4봉(1.7/18.5)을 지나 영월군 중동면 녹전리 중동면사무소 인군 옥동천변(3/21.5)에서 끝나는 약2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52. 백두어래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예미

강원도 영월군 하동면, 경북 영주시 부석면, 봉화군 물야면의 삼면봉인 백두대간

先達산(△1236.0)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중동면과 부석면의 경계를 따라 1204봉-

△1135.9봉(3)-회암령(910, 1.3/4.3)-1014봉-

御來산(△1063.6, 2/6.3)을 지나

삼도봉(1030)에서 충북 단양군 영춘면과 강원도 영월군 하동면의 경계를 따라

어은재(810, 1.3/7.6)-△926.0봉-953봉-곰봉(△930.3, 4/11.6)-△604.9봉(2.7/14.3)을 지나 영월군 하동면 와석리 골어구(230, 1/15.3)

김삿갓휴게소 옆 곡동교에서 김삿갓계곡에서 흘러온 마포천이 함백산 만항재가 발원지인 옥동천으로 합수되는 곳에서 끝이나는 약15.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53. 백두봉황단맥

백두대간 선달산 남측 갈곶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영주와 봉화의 경계를 따라 봉황산(818.9, 1.8)-931번지방도로 망갑고개(370, 2/3.8)에서 오른 무명봉에서 군경계를 떠나 봉화군 몰야면내로 들어가 임도-지시고개 임도삼거리(1.6/5.4)-당재 임도(1.2/6.6)-사골재-

큰재 임도(1.7/8.3)-1번군도 이애재(1.3/9.6)-매방고개(2.6/12.2)-응방산(586.6, 1.2/13.4)-

등정재 임도(1.8/15.2)-도촌목장 임도(3.4/18.6)-달봉산(264.7, 1.8/20.4)-36번국도-

영동선 철로(0.7/21.1)을 지나 봉화읍 도촌리 낙화암천이 내성천을 만나는 곳(1.2/22.3)에서 끝나는 약22.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9. 백두자개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예미 영주 안동

백두대간이 남하하면서 선달산 지나 곶적산을 지나 미내치에서 마당치로 가면서 오르는 최남단점인 등고선상 95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영주시 부석면과 단산면의 경계를 따라 紫蓋봉(△858.7, 2.2)-508봉-405봉-

부석면 새마을 도로(310, 5.2/7.4)-天馬산(△385.7, 3/10.4)-부엉재(310)-

도로(270, 1.3/11.7)-308봉-모치고개도로(270, 2.5/14.2)-

수나리고개(230)-350봉-대마고개도로(290, 4.5/18.7)-大馬산(△373.0)-

999번지방도로 삼거리현(270, 1.7/20.4)-

△281.3, 3.8/24.2)-마근당이고개(250)-294봉-영동선철로(190)-

36번국도 삽재(210, 5.5/29.7)-하고재도로(210, 1.3/31)-

흑석사도로(210, 1.5/32.5)-282봉-935번지방도로(250, 2.1/34.6)-

268봉-△271.5봉(2.2/36.8)-260봉-간운도로(230, 2.5/39.3)-307봉-

새배이도로(270, 2.8/42.1)-중앙선철로 시낼굴(170, 2.3/44.4)-

△187.4봉(0.7/45.1) 지나 영주시 문수면 승문리 서천이 내성천을 만나 내성천물이 되는 곳(139, 1/46.1)에서 끝이나는 약46.1km의 산줄기가 이름이 없어 그 산줄기중 가장 높은 자개봉의 이름을 빌어 백두대간에서 분기하였으니 백두자개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여기서 한번 고찰해 볼일이 있는데

산줄기의 흐름을 새배이도로에서 △334.2봉(1.5/43.6)-

중앙선철도 금강굴(210, 1.6/45.2)-290봉-누룽거리고개(170)-

△222.3봉(1.5/46.7) 지나 영주시 평은면 용혈리 미림마을 미림교

내성천변(130, 1/47.7)에서 끝이나는 곳으로 잡는다면 전자의 산줄기 보다 약1.6km가 더 길게 흐르나 물줄기를 정확히 가름하는 것도 아니고 그 흐름의 차이도 얼마 안되므로 죽령이 발원지인 서천과 내성천이 만나는 곳으로 산줄기의 흐름을 잡았을 뿐으로 만약 그 산줄기가 지맥이 안된다면 미림교로 가는 산줄기를 선택했을 것이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산경표 23, 24혈을 보면

085)串赤山 分二歧-1

(24혈)1-鳳凰山 南來 榮川北二十里

鐵呑山 榮川治在南一里

여기서 철탑산은 지금도 영주시내에서 북쪽으로 위치한 지맥에서 약간 벗어난 곳에 있는 산이므로 바로 이 산줄기가 백두자개지맥인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는 것이다

054. 백두마대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1 지형도 도엽명 : 예미

백두대간이 남하하면서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지나 소백산으로 내려가면서 고치령에서 올라간 무명 1032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경북 영주시 단산면과 충북 단양군 영춘면의 경계를 따라

△1005.4봉-형제봉(△1177.5, 2.6)-등고선상1030봉(1.9/4.5)에서 도경계선은 동쪽 마락리로 내려가버리고 북진하여 영춘면을 동서로 나눈다

△898.1봉-배틀재(650, 3.1/7.6)-馬垈산(△1052.2, 2.5/10.1)에서 다시 강원도와 충북의 경계선을 따라 857봉-수리봉(730, 2/12.1)-668봉-

三峰(650, 1.2/13.3)-△661.7봉-도면상 540봉(2.2/15.5)에서 도경계선은 서남방향 오사리도선장으로 가고 단맥은 온전한 영월군 하동면내를 가르며 북진한다

두름마을 안부 지나 단양군 영춘면 오사리 샘골 남한강 건너편 남한강물이 되는 곳(170, 2/17.5)에서 끝이나는 약17.5km의 산줄기를 마땅히 부를 이름이 없다

그래서 그 산줄기중 가장 지명도가 높고 높이도 높은 형제봉을 대표산으로 하려 했으나 대한민국 산중에서 제일 흔한 이름이 형제봉이요 이미 산줄기에 많이 사용한 이름이라

다른 산줄기와 차별을 두기 위해 그래도 김삿갓이 본인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사후 이장을 했지만

천재방랑시인의 묻혀있는 산자락이 바로 이 마대산 산자락 노루목이라 그 이름을 빌어 백두대간에서 분기하였고 30km 미만의 세를 가진 산줄기임으로 백두마대단맥이라고 이름을 짓고 종주하기로 한다

055. 백두마대영춘단맥

백두마대단맥이 백두대간 고치령에서 올라간 무명 1032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경북 영주시 단산면과 충북 단양군 영춘면의 경계를 따라 △1005.4봉을 지나 형제봉으로 가면서 1170m 지점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556.5봉(6.6)-느릅실 임도-임도(3.2/9.8)-

영춘면사무소(0.7/10.5)-도로 사거리를 지나 영춘면 상리 595번지방도로 북벽교

남한강변(1/11.5)에서 끝나는 약1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56. 백두신선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영주 단양 영월

백두대간 단양군 영춘면 가곡면 영주시 단산면의 경계점인 무명 1264봉인 늦은맥이에서 서북으로 분기하여 神仙봉(1379, 1.4)-△1361.7봉을 지나 북쪽으로 文筆봉(510, 여맥)을 떨구고-龍山봉(△△943.7, 8.5/9.9)-단양군 가곡면 사평리 아평마을 남한강변(150, 4.4/14.3)에서 끝이나는 약14.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57. 백두신선계명단맥

백두신선단맥 민봉 서북측 등고선상1310m 지점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812.6봉(2.4)-

고드너머재-595번지방도로 보발재(510, 2/4.4)-계명산(864.1, 2/6.4)-향산마을-

59번국도(4.7/11.1)를 지나 단양군 가곡면 향산리 남한강변(0.2/11.3)에서 끝나는 약11.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58. 백두내기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영주

백두대간 소백산 상월봉(△1395)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신선바위 내기재(970, 2.6)-

△744.7봉-620봉-옷물탕 400봉-915번지방도로 늦트재(310, 6.5/9.1)-△292봉-

설태목재 도로(230, 4.5/13.6)-276봉-255봉을 지나 영주시 순흥면 장계들 단산천과 홍계천이 만나는 곳(170, 3.4/17)에서 끝이나는 약1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59. 백두원적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단양 영주

백두대간 소백산 비로봉에서 동남으로 분기하여 달밭재(밀목재, 770)-879봉-

圓寂봉(△961.0, 3.8)에서 동쪽으로 二子산(613, 단맥)을 떨구고 △765.4봉-

도간재(370, 4.6/8.4)-△401.3봉-363봉-915번지방도로0老人봉(△376.7, 3/11.4)-263봉-도로(210, 4.4/12.8)-石壁산(△276.2)을 지나 영주시 용두마을 서천변(150, 3.5/16.3)에서 끝이나는 약16.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60. 백두원적이자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영주

백두소백원적단맥 원적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641.3봉-二子산(613, 3.5)-

임도(370)-353봉-915번지방도로 가랑고개(270, 3.4/6.9)-松鶴산(365)-△300.9봉-본마을(310, 3.2/10.1)-도로(210)-△268봉-영주시 아지동 단산천과 홍교천이 만나는 곳(150, 5.5/15.6)에서 끝이나는 약15.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61. 백두봉우등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단양 영월

백두대간 小白산 毘盧봉(△1439.5)를 지난 등고선상 1410봉에서 북쪽으로 단양군 가곡면과 단양읍의 경계를 따라 대궐터-민백이재-△871.2봉(3.5)에서 국립공원을 벗어나 758봉-

613봉-615봉-601봉어깨-매남치(430, 3.7/7.2)-烽郵燈(△696.1, 1.6/8.8)-465봉-

고수고개(330, 1.6/10.4)-59번국도 고수재(210, 1/11.4)△357.6봉을 지나 단양읍 도담리 도담3봉이 있는 도담나루터 남한강변(150, 3/14.4)에서 끝이나는 약14.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이 산줄기 남쪽으로는 소백산 천동계곡 솔티천을 따라 천동동굴과 소백산유스호텔 수많은 펜션 등이 있는 다리안국민관광지가 있으며 고수고개 남쪽으로 천연기념물인 1300여개의 동굴을 품고있는 고수동굴이 있으며 도담리에는 도담금굴과 한강 한가운데 세 개의 섬이 있으며 그 섬에는 음악분수대가 있어 야간에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도담3봉의 명물이 있어 관광지로도 손색이 없다

062. 백두공넘기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단양 영주

백두대간 소백산 비로봉에서 제1연화봉 지나 제2연화봉으로 가면서 무명139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1063봉-966봉-공넘기재(770, 4.2)-△976.8봉-금계바위(806, 1.5/5.7)-467봉-쇠바리-금계중교 도로(250, 4/9.7)-풍기읍내 한가운데를 관통해서 풍기읍 동부리 토성마을 금계천이 남원천을 만나 서천이 되는 곳(190, 3.7/13.4)에서 끝이나는 약13.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63. 백두슬음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단양

소백산천문대가 있는 제2연화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1174.0봉-△931.7봉(3.6)-문안골 임도-장현임도삼거리(430, 2.8/6.4)-△561.7봉-567봉-540봉-

瑟昑산(△671.1봉, 3.5/9.9)-심실마을-497봉어깨-266봉을 지나 단양역 동쪽 능선을 따라 단양읍 만학마을 남한강철교가 있는 남한강변(130, 3.8/13.7)에서 끝이나는 약13.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0. 백두자구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단양 예천

백두대간 소백산을 지나 죽령을 넘어 도솔봉 묘적봉을 지나 묘적령으로 내려섰다가 오른 등고선상 무명 1010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고항치(690, 2)-玉女봉(890) 지나 동북으로 將軍봉(726, 여맥)을 떨구고-△971.3봉-973봉에서 동쪽으로 天浮산(850, 단맥)을 떨군다

달밭고개(690, 4.2/6.2)-子求산(784, 0.6/6.8)-지르매기(630)-△732.4봉-

한티재(510, 4.5/11.3)-芙蓉봉(△688.1, 2/13.3)-658봉-놋점이임도(470)-454봉-문치고개(330, 4.7/18)-△411.9봉-[매봉산(△340.9), 鼎산(310)]어깨(370)-

길머리재(190, 4.5/22.5)-189봉-冷井산(△191.3)-돌고개(110, 5/27.5)-南山(130)-

34번국도예천철도육교(110, 1.8/29.3)-186봉-오백이재도로(110, 4.1/33.4)-임도(110)-

△135.6봉을 지나 예천군 호명면 담암리 예천읍을 가로질러온 한천이 내성천을 만나 내성천물이 되는 곳(70, 4/37.4)에서 끝이나는 약37.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 백두자구천부분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단양 영주 안동

백두대간이 남으로 달리다 소백산 도솔봉 묘적봉을 넘고 묘적령에서 올라간 무명 등고선상 1010봉에서 대간은 남으로 치달리고 동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영주시 봉현면과 예천군 상리면의 경계를 따라 고항치(670)로 내려섰다가 玉女봉(890)-△971.3봉-973봉인 달밭고개에서 백두자구지맥은 남진을 하고 한줄기를 동쪽으로 분기하여

天浮산(850, 1.4)-614봉-931번지방도로 힛드재(390, 1.7/3.1)-

龍岩산(630, 1.2/4.3)을 지나 동쪽으로 분기하는 지점(634, 0.2/4.5)-

중앙고속도로 3번군도 봉암리고개 도로(210, 2.1/6.6)-

한고개도로(190, 3.1/9.7)-223봉-너사리 임도(190, 1.3/11)로 내려선다

206봉-신5번 36번국도를 넘어 약간의 산줄기가 이어지다

다시 신5번 36번국도를 건너 반점도로(190, 1.7/12.7)-거리마을도로-

28번국도 에앗고개(190, 3/15.7)-경북선철로-蓮花산(270, 2.1/17.8)-

권선리도로(210, 1.5/19.3)-233봉-

녹동과 누루실을 잇는 십자안부(210, 1.3/20.6)-전닷도로(2.9/23.5)-

남박산어깨(2.6/26.1)-928번지방도로 금영곡도로(0.5/26.6)에 이르고

한밤실도로(1.1/27.7)를 지나 예천군 보문면 가곡리 대밭골마을 서측 오신교 장수면을 흘러온 옥계천이 내성천을 만나는 곳(3/30.7)에서 끝이나는 약30.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64. 백두자구천부주마단맥

백두자구지맥 용암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시루봉(605.9, 1.5)-주마산(544, 2.2/3.7)-

집봉(542.5, 0.7/4.4)-주마산(508, 4/8.4)-가칠기재 임도-수녹골재 임도(1.7/10.1)-

구28번국도 보리골재(1.7/11.8)-신28번국도-광석재 임도(0.5/12.3)-241.6봉-

원고개 도로(0.8/13.1)-상여막 임도-참새골 임도-고락골 임도(2.6/15.7)-임도-211.6봉-

임도(1.2/16.9)-183.1봉을 지나 경북 예천군 감천면 마촌리

석관천이 내성천을 만나는 곳(2.2/19.1)에서 끝나는 약19.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1. 백두매봉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단양 예천

백두대간 저수령에서 올라간 910m 지점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문경시 동로면과 예천시 상리면의 경계를 따라 용두산(950)-932봉-774봉-

귀내기 도로(570, 3.2)-매봉(△865.3, 3/6.2)-820봉(0.5/6.7)에서 동남방향으로

御臨城址(龍門산, △821.4, 단맥)을 떨구고 서남진한다

808봉-사부령(530, 4.6/11.3)-625봉-502봉-

928번지방도로 성황당고개 도로(370, 3/14.3)-國師봉(△727.6, 1.6/15.9)에서 동쪽으로 白馬산(390, 단맥)을 떨구고 남진하여 꽃재(470)-574봉-509봉(3.8/18.1)에서 서남방향으로 王衣산(△338.8, 단맥)을 떨구고 동남진한다

등고선상 290봉(1.8/19.9)-278봉-안고림도로 삼거리(130, 3/22.9)-

경북선 율현역(110, 1.6/24.5)-수준점105.5 도로 밤고개-34번국도(130, 1.5/26)-

170봉-170봉-가오실마을도로(2.1/28.1)-140봉-34번국도 수준점84.0 지점(3.8/31.9)-

34번국도(90)-원당도로(70, 2.6/34.5)-무이산(100)-무이도로(70, 1.1/35.6) 지나

예천군 용궁면 무이리 무이들 논두렁을 지나 문경시 동로면 여우고개가 발원지인 금천이 내성천을 만나 내성천이 되는 곳(50, 2/37.6)에서 끝이나는 약37.6km의 산줄기에 이름이 없다

30km이상 100km미만 산줄기를 지맥이라 하자고 정의하였음으로 그 산줄기중 제일 높은 매봉의 이름을 빌어 백두대간에서 분기하였으므로 백두매봉지맥이라 부르기로 한다

065. 백두매봉용문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예천

백두매봉지맥이 매봉 지난 820봉에서 동남으로 분기하여 805봉-

御臨城址(용문산, △821.4, 2.6)-△481.4봉(3/5.6)-望月봉(△424.2) 전위봉인 452봉(1.5/7.1)-능내도로(150, 2.3/9.4)-256봉-六女봉(290, 2.3/11.7)-△223.6봉-

닭을고개 도로(130, 1.9/13.6)지나 예천읍 생천리 나붓들 용문천변(130, 1/14.6)에서 끝이나는 약14.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66. 백두매봉백마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예천

백두매봉지맥 매봉지나 국사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284봉-당대도로(190, 5)-276봉-

덕고개(190, 2/7)-白馬산(390, 2/9)-烽火산(327)-

鳳德산(△373.3, 2.1/11.1)-黑鷹산(220, 2/13.1) 지나 예천읍 예천향교 옆을 지나 소백산 묘적령이 발원지인 한천변(90, 1/14.1) 동본교 다리앞에서 끝이나는 약14.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67. 백두매봉왕의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예천

백두저수매봉지맥이 매봉 국사봉 지나 꽃재 서남측 무명 509봉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새발개도로(210, 1.3)-王衣산(△338.8, 1.1/2.4)-五峰산(239, 1.7/4.1)-飛鳥산(306, 2.2/6.3)-현리도로(110, 1.5/7.8)-△173.8봉-

점마도로(110)-113봉-연화리도로90)-107봉-경북선 용궁역(70, 4.6/12.4) 지나 예천군 용궁면 금남리 용궁들 대미산이 발원지인 간송천변(70, 1.6/14) 금남교 다리 앞에서 끝이나는 약1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68. 백두도락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단양

백두대간이 소백산 도솔봉 지나 단양군 대강면에서 예천군 상리면을 넘어가는 973번지방도로 저수령을 지나 올라간 무명 등고선상 890봉에서 서북으로 분기하여 소백산 도솔봉이 발원지인 남조천과 저수령이 발원지인 단양천을 가르며 대체적으로 북진을 한다

△1079.5봉(2.7)-守理봉(1019, 1.3/4)-黃庭산(△959.4) 전위봉인

도면상 950봉(2.2/6.2)-직치(630, 1.2/7.4)에서 올라간 능선에서부터 단양군 단성면과 대강면의 경계를 따라 서북진한다

道樂산(△944.4, 1.3/8.7)을 지나 단성면 가산리에서 대강면 사인암리 피티마을을 이어주는 피티재(350, 4.5/13.2)-742봉-德節산(△780.2, 2.5/15.7)에서 단성면내로 들어가 斗岳산(730, 1.6/17.3)-

36번국도 단성중교(190, 2.2/19.5)-당재-성재-적성산성 지나 소백산 도솔봉이 발원지인

남조천이 북한강을 만나는 단양읍 현천리 하현천마을 강가(150, 2.2/21.7)에서 끝나는

약21.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 백두문수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단양(참고도면) 덕산 제천

백두대간 소백산에서 남하하면서 월악산국립공원내로 들어가 大美산(1010) 전위봉인 도면상 1051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제천시 덕산면과 문경시 동로면의 경계를 따라 999봉-文繡산(△1161.5, 3.1)에서 서북으로 夏雪산(△1022.7 단맥)을 떨구고 동진한다

1076봉-944봉(2/5.1)-879.3봉-826봉-모녀재(630)-△727.5봉(3.1/8.2)에서 도계를 떠나 747봉에서 동북으로 沙봉(△879.4 단맥)을 떨구고 제천시 수산면과 덕산면의 경계를 따라 서북진하여 601봉-△637봉(3.8/12)-557봉-580봉-배재(390, 2.1/14.1)-

△516.7봉-459봉 지나 덕산면 성암리 차골에서 수산면 적곡리 삼막골을 이어주는 고갯마루 도로(330, 3/17.1)-383봉-夜味산(△525, 2.5/19.6)-489봉-봉화치 임도(330, 2.8/22.4)로 내려서서 서쪽으로 嶝谷산(△588.9, 단맥)을 떨구고 올라간 422봉에서 서북으로 [冠봉(△529.6), 매봉(△422.2) 여맥]을 떨구고 동북진 한다

淸風에서 水山을 이어주는 597번지방도로 하넘을재 도로(330, 1.5/23.9)를 건너 서서히 올라간 무명봉에서 동쪽으로 杜舞산(△474.0, 여맥)을 떨구고 북진을 하여 청풍면 실리곡을 넘어가는 도로(210, 3.1/27)로 내려서 △355.3봉-291봉-동북쪽에 있는 望月산(△336.0)의 597번지방도로(190, 3.3/30.3)-263봉-신리임도-飛鳳산(△531.0, 2.8/33.1)-

청풍면 양평리 도로(150, 2.5/35.6)-△164.1봉 지나 양평리 충주호반(130, 1.3/34.4)에서 끝이나는 약34.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69. 백두문수하설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덕산

백두대미문수지맥 문수봉에서 서북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960봉-매두막(1110, 2.5)-1063봉-夏雪산(△1022.7, 2.2/4.7)-747봉-

御來산(808, 2/6.7)-△609.5봉 지나 덕산면 월악리 장보구니에서 도전리

달농실을 넘어가는 도로(310, 2.3/9)-△501.4봉-469봉-585봉-

多郞산(△571.2, 3.8/12.8)-293봉-문수산이 발원지인 성천이 대미산이 발원지인 광천을 만나 광천물이 되는 곳(1.8/14.6)인 덕산면 壽山리 양지말에서 끝이나는 약14.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0. 백두문수등곡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덕산

백두대미문수지맥 봉화치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502.3봉-꼬부랑재-

쇠시리재-451봉-갈미봉(330)어깨-542봉(5.6)-嶝谷산(△588.9, 2/7.6) 지나 장자봉(410)이나 黃鶴산(451)이나 어디로 가든 상관이 없으나 조금 더 높은 봉우리인 黃鶴산(451, 1.5/9.1)으로 마루금을 그어 제천시 한수면 황강리 충주호반(130, 1/10.1)에서 끝이나는 약10.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1. 백두문수사봉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덕산 단양

백두대미문수지맥이 문수봉 모녀재를 지나 747봉에서 동북으로 분기하여 사작치(650)에서 올라간 등고선상 810(1.1)봉에서 서북으로 충주호반의 玉筍봉(286, 여맥)을 떨구고 동진을 한다

龍頭산(△994.4)어깨(930, 1.3/2.4)-888봉 지나 단성면 양당리에서 회산리를 넘어가는 고갯마루 회미니재(510, 1.5/3.9)-沙봉(△879.4, 1.6/5.5)에서 서쪽으로 제비봉(710, 여맥)을 떨구고 동북진한다

烽火臺(434) 지나 36번국도(190, 4.5/10)로 내려섰다가 단성면 중방리 단양천이 남한강을 만나는 곳(150, 0.5/10.5)에서 끝이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3. 백두운달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덕산 점촌 예천 단양(참고도면)

백두대간이 소백산에서 조령산으로 남하하면서 월악산 국립공원내로 들어가 황장산 차갓재 지나 충북 제천시 덕산면과 경북 문경시 동로면과 문경시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대미산으로 오르면 서쪽으로 백두대간은 흘러가고 동남 방향으로 한줄기를 떨구니 바로 운달산으로 가는 산줄기라

그 흐름을 살펴보면

백두대간 대미산(1010m)에서 경북 문경시와 동로면의 경계를 따라

1039봉-여우목고개(610m, 3km)-△911.9봉어깨에서 동쪽으로

功德산(912.9, 단맥)을 떨구고 문경시와 산북면의 경계를 따라 서진을 한다

939봉-마전령(770, 3.7/6.7)-925봉-장군령(790, 1.5/8.2)-

雲達산(△1097.2, 2.1/10.3)-980봉-853봉-조항령(730, 2.8/13.1)-

801봉-866.9봉 -931봉어깨에서 서쪽으로 鳳鳴산(△691.2, 여맥)을 떨구고 동남진 한다

檀산(950, 3.8/16.9)-812봉(1.8/18.7)에서 남으로 烏井산(△810.2, 단맥)을 떨구고 가는 산줄기 하나를 떨구고 지맥은 문경시 호계면과 산북면의 경계를 따라 동북진 한다

고도를 한없이 낮추어 돌당골고개(330, 1.9/20.6)-374봉-394봉-372봉-362봉-314봉-달고개(230, 6/26.6)-363봉-355봉-351.9봉-

月芳산(361, 6.5/33.1)-藥泉산(225)부터 순수한 산양면내로 들어가 남진하며 237봉-127봉-34번국도 새거리 철길(90, 4.4/37.5)-117.3봉-봉계마을-평지저수지 지나서부터는 영순면내를 동서로 가르며 남진을 한다

교동마을 도로(90, 5/42.5)-233봉-석치-天馬산(270, 2.9/45.4)-206봉-

큰고개(130, 1.7/47.1)-232봉-125봉-내성천과 낙동강이 만나는 문경군 영순면 달지리 뱃가나루에서 내성기맥을 마주보며 낙동강이 되는 도상거리 약 47.1km 산줄기를 마땅히 부를 이름이 없어 이 산줄기중 문경시민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는 운달산의 이름을 빌어 백두대간 대미산에서 분기하였으니 백두대미운달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072. 백두운달공작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덕산 단양 예천

백두대미운달지맥이 여우목고개를 넘어 올라간 △911.9봉어깨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동로면과 산북면의 경계를 따라 873봉-669봉-임도(570, 4.6)-功德산(912.9, 3/7.6)-

天柱봉(839) 전위봉인 792봉-소야고개(370, 3.5/11.1)-△480.3봉-

헛고개임도(390, 2.5/13.6)-△660.0봉-△385.4봉-361봉(4.6/18.2)을 지나 리천이 대미산이 발원지인 금천을 만나 금천물이 되는 문경시 산북면 대하리 가마바위(130. 2.5/20.7)에서 끝나는 약20.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3. 백두운달오정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문경

백두대미운달지맥이 단산지나 812봉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문경시 마성면과 호계면의 경계를 따라 부운령(530, 1.9)-619봉-690봉-

烏井산(△810.2, 4/5.9)-804봉-619봉(2.4/8.3)-△295.5봉 지나 문경시 마성면 원성마을 경강변(90, 2.2/10.5)에서 끝이나는 약10.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4. 백두월악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단양

백두대간 소백산 대미산 지나 포암산으로 가면서 △938.3봉에서 내려간 안부(850)에서 대간은 서남방향으로 가고 서북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제천시 한수면과 덕산면의 경계를 따라 923봉-萬壽봉(990, 2)-855봉-△859.6봉-849봉-867봉-864봉-△960.4봉(4.8/6.8)-月岳산(1094, 1.2/8)-덕산면 수산리 쑥갓마을(170, 3/11) 지나 광천변(130, 1/12)에서 끝나는 약1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5. 백두주흘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덕산 점촌

백두대간이 대미산 포암산 지나 하늘재에서 올라간 도면상 959봉인 釜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主屹산(△1106.0, 1.3)-1030봉-1016봉-

1041봉(2.3/3.6)-△550.5봉(2/5.6)-404봉-

3번국도 우리터고개(190, 2.5/8.1)-잣밭산(△385.6)-신천이 조령천을 만나 조령천이 되는 곳(150, 1.5/9.6)인 문경읍 하리 화번마을 마원교 앞에서 끝이나는 약9.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4. 백두계명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덕산 충주

백두대간 하하늘재에서 올라간 부봉을 지나 마패봉 가기전 등고선상 750봉에서 북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714.2봉 지나 충주시 상모면 수안보에서 미륵리를 넘어가는 지름재(510, 1.4)-772봉-△772봉(2.7/4.1)-714봉-736봉-꼬부랑재(690, 2.5/6.6)에서 서쪽으로 [첩푸산(△698.5) 趙산(310), 여맥]을 떨구고 북진을 한다

△731.8봉-466봉-갑둥이재 임도(410, 2.6/9.2)-△667.2봉-

大眉산(678, 1.6/10.8)-433봉에서 내려가다 서쪽으로 문래산(390, 여맥)을 떨구고 서북진하여 충주시 乷味면 중산리에서 내사리를 넘어가는 절골도로(190,3/13.8)로 내려선다

△255.3봉-임도(110)-△377.8봉(3.5/17.3)-510봉어깨(470, 1.4/18.7)에서 북진을 하여 발치(330)-△462.2봉-임도(350, 1.7/20.4)-

南山(610, 1.6/22)-520번지방도로 마지막재(270, 2/24)-

鷄鳴산(△775.0, 2.2/26.2)-706.9봉-막은대미재(190, 3.5/29.7)-△148.5봉(2.1/31.8)지나 충북선 철로 앞 도로로 떨어져 이후 논둑을 걸어 신립장군의 한이 서린 탄금대를 안고 있는 大門산을 오른다

충혼탑(110, 2.3/34.1)을 지나 달천이 남한강과 만나 남한강물이 되는 충주시 칠금동 탄금교(70, 1.1/35.2)에서 끝이나는 약35.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6. 백두계명두릉단맥

백두계명지맥이 백두대간 마패봉 인근에서 분기하여 흐르다 36번국도 방화목으로 내려서기 약0.5km전 등고선상 210m 부근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산제당산(212.8)어깨를 지나

3번국도 갈마고개(190, 2.2)-장고개-살미터널(250, 2.5/4.7)-19번국도 문산고개(190, 1.5/6.2)-

문래산(394.1, 1/7.2)-두릉산(458.9, 2/9.2)-4번군도(90, 2.1/11.3)을 지나 충주시 살미면 향산리 하동막나루 달천변(90, 0.1/11.4)에서 끝나는 약11.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5. 백두신선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덕산 충주

백두댁간 하늘재에서 올라간 부봉을 지나 문경새재로 내려서기 전 마패봉(927)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충주시 상모면과 괴산군 연풍면의 경계를 따라 神仙봉(950, 1.4)-757봉-

632봉-455봉-소조령(370, 3.5/4.9)-699봉-588봉-△586.5봉(2.1/7)을 지나

등고선상 690봉에서 북쪽으로 黃산(290, 여맥)을 떨구고 서남진 한다

△745.4봉(2.6/9.6)-738봉-913번지방도로 송치재(310, 2.6/12.2)-777.5봉-

朴達산(△825.4, 4.5/16.7)에서 내려선 730봉(0.7/17.4)에서 舟越산(490, 단맥)을 떨구고 서남진하여 양산목고개 도로(330, 2.5/19.9)-△504.4봉어깨(430)-△351.3봉(3.8/23.7)-

맹이재 도로(210, 1.6/25.3)-城佛산(530) 전위봉(330)을 지나

△456봉(2.4/27.8)-달천을 건너는 괴강교 도로(110, 2.5/30.3)를 건너 괴산읍 검승리 원검승마을 달천변(110, 1.3/31.6)에서 끝이나는 약31.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7. 백두신선오산단맥

백두신선지맥이 백두대간 마패봉에서 분기하여 흐르다 장연터널 북동측 충주시 수안보면, 괴산군 연풍면, 장연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670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597번지방도로 기룡목재(290, 4.8)-오산(440.2, 1/5.8)-바람재 임도(290, 1.5/7.3)-

탁영대(270, 2.2/9.5)를 지나 괴산군 장연면 광진리 문강1교 오주천변(130, 1/10.5)에서 끝나는 약10.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8. 백두신선주월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충주

백두마패신선지맥 박달산 지난 730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19번국도 누릅재(290, 1.5)-舟越산(490, 1.5/3)-주월치(250)-

중부내륙고속도로-510번지방도로 상리도로(190, 2.5/5.5)-473.6봉-옥답산(△511.2, 1.5/7)-

397봉-마당재-옥녀봉(△436.9, 2.1/9.1)-약사리봉(381)-조곡터널(290, 1/10.1)-510번지방도로(90, 1.3/11.4) 지나 괴산군 연풍면 조곡리 하리마을 달천변(90, 0.3/11.7)에서 끝이나는 약11.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9. 백두뇌정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문경

백두대간 이화령 지나 백화산에서 이만산 중간쯤 무명 981봉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문경시 가은읍과 마성면의 경계를 따라 雷霆산(△991.4) 전위봉인 961봉(2.1)-

525봉(3.5/5.6)-404봉-333봉-△413.5봉-901번지방도로 섶밭재(190, 3.5/9.1)-

마양산(374) 지나 문경시 가은읍 왕릉리 가은선 철로를 건너 경강변(130, 1.6/10.7) 먹뱀이마을 인근에서 끝나는 약10.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80. 백두악휘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속리 충주

백두대간 희양산에서 장성봉으로 가면서 괴산군 칠성면 연풍면 문경시 가은읍의 삼면봉인 악휘봉 전위봉인 무명 821봉에서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악휘봉(845, 0.5)-

시루봉(870, 1.5/2)에서 북쪽으로 德加산(△854.8, 여맥)을 떨구고 서진하여

七寶산(778, 1.8/3.8)-656봉-709봉-寶배산(770, 2.5/6.3)-△540.5봉어깨(2.2/8.5)-

34번국도(175.1, 2/10.5)를 건너 쌍천변(130, 0.7/11.2)에서 끝나는 약11.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81. 백두군자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속리

백두대간 이화령에서 백화산 악휘봉 지나 장성봉으로 오르기 전 850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막장봉(887)투구봉(807)-제수리치(510, 3.3)-낙타바위-칠일봉-작은君子산(827, 3/6.3)에서 서남방향으로 가령산(단맥)을 떨구고 북진하여 큰君子산(△948.2, 5.2/11.5)-다파리재-칠성면 율원리 성뫼도로(4.5/16)를 지나 괴산군 칠성면 도정리

쌍천이 달천을 만나는 곳(1.5/17.5)에서 끝나는 약17.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82. 백두군자가령단맥

백두군자단맥 작은군자산에서 서남쪽으로 분기하여 698봉(1.2/7.5)에서 서쪽으로

玉女봉(599, 여맥)을 떨구고 남진하여 군자치(490, 2.2)-올라간 갈모봉(△582.4)어깨(550)-매봉재(410)-가령산(535, 1.7/3.9)-515봉-49번국지도 송면터널 임도(370, 1.1/5)-

△443.6봉-600봉-32번국지도(370, 1.7/6.7)-△559.6봉(1.4/8.1)을 지나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 하촌마을 화양동입구 화양천변(64.2, 3.5/11.6)에서 끝나는 약11.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백두애기암여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속리 점촌

백두대간 長城봉(△915.3)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애기암봉(740, 2)-잣밭재(490)-

圓通봉(△668.5, 1.6/3.6)-모래실고개(310, 1.4/5)-565봉 지나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 도태마을 도태교(170, 3.2/8.2)에서 끝나는 약8.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83. 백두둔덕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속리 점촌

백두대간 대야산과 조항산 중간에 있는 마귀할멈 통시바위가 있는 889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895봉-825봉-屯德산(△969.7) 전위봉인 950봉(2.5)-808봉-651봉-599봉-524봉-당재(571, 3.5/6)-574봉-△561.4봉-615봉(1.7/7.7)에서 남쪽으로 城在산(358, 여맥)을 떨구고 북진한다

629봉-무두실고개(230, 3.7/11.4)-玉女봉(542)을 넘어 문경시 가은읍 왕릉리 977번지방도로 영강변 왕릉교(130, 2.9/14.3)에서 끝나는 약14.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백두연엽여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속리 점촌

백두대간 淸華산(984)에서 내려선 970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960봉-822봉-

시루봉(△876.1)어깨(850, 2.5)-蓮葉산(791, 2.5/5)-牛福산(382, 3.6/8.6)에서 내려간

상주시 농암면 화산리 괴밀마을(190, 0.7/9.3)에서 끝이나는 약9.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84. 백두백악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속리

백두대간이 눌재에서 속리산으로 가면서 작은눌재로 내려서기 전 △696.2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791봉-834봉-百岳산(857, 4.2)-805봉-수안재(530, 2.4/6.6)-583봉-△702.1봉-가령산(642) 전위봉인 742봉에서 남쪽으로 南山(602, 여맥)을 떨구고 서진을 한다

落影산(684, 3.5/10.1)에서 서쪽으로 [鳥鳳산(684), 新山(522)上峰산(397), 여맥]을 떨구고 북진하여 道明산(643, 1.5/11.6)-乫味봉(558, 2/13.6)-371봉-△381.6봉어깨 지나 괴산군 청천면 도원리 새터말마을 달천변(150, 3.6/17.2)에서 끝이나는 약17.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85. 백두금단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속리 미원

백두대간 속리산 문장대(1029)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987봉-觀音봉(982)-

속사치(770, 1.5)-880봉-838봉-북가치(750)-妙봉(△874.0, 2.2/3.7)에서

남쪽으로 水晶봉(566, 여맥)을 떨구고 서북진하여 860봉-829봉-593봉-658봉-

활목고개 도로(370, 4.3/8)로 내려선다

688봉-德加산(691) 전위봉인 729봉-금단산(△766.8, 2.6/10.6)-678봉-

神仙봉(642, 2/12.6)-체메기고개(390)-周봉(587, 2/14.6)-477봉-

575번지방도로 양지말고개(310, 5.1/19.7)-△512.7봉-△455.6봉(3/22.7)지나

속리천이 달천이 되는 보은군 내북면 성암리 잣나무골

달천변(210 2.7/25.4)에서 끝이나는 약25.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6. 백두작약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속리 점촌

백두대간이 북에서 남으로 흐르며 속리산을 지나 피앗재에서 올라간 兄弟봉(828)에서 내려가다 등고선상670m 지점에서 백두대간은 남쪽으로 가고 한줄기를 동쪽으로 분기하여

977번지방도로 갈령(470, 0.8)으로 내려갔다가 올라가며 등고선상 670m 지점에서 북쪽으로 道藏산(△827.9, 여맥)을 떨구고 동남진한다

청계산(873)에서 남쪽으로 대궐터산(△746.3)이 흐르고 지맥은 동진하며

798봉 지나 671봉(5.6/6.4)에서 남쪽으로 삼령고개(단맥)로 가는 산줄기 하나를 흘리고

북동진하여 △672.7봉-666봉-517봉-동네실재 도로(390, 3.1/9.5)-국사봉(699, 1.8/11.3)에서 동남으로 南山(△821.6, 여맥)을 떨구고 북진한다

△392.9봉-황령고개 도로(350, 2/13.3)-566봉-488봉-

七峰산(600, 3/16.3)-531봉-바고지재 도로(250, 3/19.3)-△297.9봉-

신기미재 도로(290, 1.3/20.6)-391봉에서 남쪽으로 매봉(356, 단맥)을 떨구고 북진하여

483봉-△491.8봉-갈띄재 도로(370, 3/23.6)-459봉-수예마을(410)-

芍藥산(770, 2.5/26.1)-△760.5봉어깨에서 북쪽으로 葛美봉(572, 여맥)을 떨구고 동진한다

726봉에서 남쪽으로 大佳산(△325.2, 단맥)을 떨구고 동진하여 563봉-

銀店치(470, 3.7/29.8)-511봉-銀店봉(639, 1.1/30.9)에서

서북으로 [鳥봉(674), 魚龍산(617), 여맥]을 떨구고 동진한다

515봉-水晶봉(△486.5, 2.5/33.4)-406봉-345봉-219봉-205봉-

△174.9봉-992번지방도로 정촌마을(90, 6/39.4)-경북선 철로-

3번국도 상지여중상고(90, 2/41.4)-샘골마을-138봉 지나 덕동마을도로-

잣골도로(70, 4/45.4) 지나 논두렁을 따라 台封산(130, 0.5/45.9)을 오른 이후 또 논두렁을 따라 상주시 함창읍 태봉리 백두대간 속리산 삼형제봉이 발원지인 이안천이 백두대간 속리산 문장대가 발원지인 영강을 만나는 곳(70, 2.5/48.4)에서 영강이 되는 약48.4km의 산줄기에 이름이 없다

그래서 나의 산줄기 이름을 짓는 방식에 따라 상주나 점촌에 있는 모든 학교들의 교가에 등장하는 작약산의 이름을 차용하여 30km 이상 100km 미만 산줄기이며 백두대간에서 분기하였음으로 백두작약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산경표 제26, 27혈을 보면

099)俗離山 尙州西七十里 報恩東四十二里 分二歧-1

(27혈)1-黃嶺 東來 咸昌西三十七里

宰山岳 咸昌治在東十三里

2-回踰峙 西來 漢南湖西正幹 見下七十頁三

백두대간 속리산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함창 서쪽 37리에 있는 황령을 지나 재산악은 동쪽으로 13리에 있는 함창에서 다스리는 산이다

이 내용으로 보아 상주시 은척면 황령리 솔안마을에서 야동마을로 넘어가는 고개이름이 지금도 황령이며 거리상으로 조금 문제가 있으나 재산악은 지금의 작약산으로 추정이 된다

086. 백두작약삼령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속리 관기 상주

백두작약지맥이 백두대간 형제봉에서 분기하여 갈령 대궐터산(청계산) 지나 동네실재로 가면서 오른 도면상 671봉에서 지맥은 동쪽 동네실재로 가고 한줄기를 남쪽으로 분기하여

삼령고개(4.7)-△584.7봉(1/5.7)-임도(2.1/7.8)-△329.1봉(1.8/9.6)-상주시 내서면 서원리 아래밤원 북측 백두대간 형제봉이 발원지인 이안천변(0.7/10.3)에서 끝나는 약10.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87.백두작약매봉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속리 점촌

백두작약지맥이 칠봉산에서 신기미재로 떨어졌다가 오른 무명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뭉우리재 도로-매봉(△345.6, 1.4)-임도-한티재(3.1/4.5)-각시봉(△279, 1.5/6)-임도-

소고개재(2.9/8.9)-상주시 공검면 중소리 염소목 이안천변(1.1/10)에서 끝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88. 백두작약등대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점촌

백두작약지맥 작약산 지나 작은작약산인 726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421봉-

△428.4봉(2.9)-412봉-등대산(380, 2.5/5.4)-202봉-손우태고개-

32번국지도 서낭당고개(130, 1.5/6.9)-임도-大佳산(△325.2, 1.3/8.2)-새남골-

중부내륙고속도로(1.5/9.7)-흑암보건진료소 도로(0.8/10.5)-봉림마을 경북선철로-

도로(1/11.5)를 지나 상주시 이안면 소암리 지산천이 이안천을 만나는 곳(0.5/12)에서 끝나는 약1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89. 백두구병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관기

백두대간 속리산 지나 형제봉에서 비재로 내려서기 전 등고선상 690봉에서 대간은 동남방향으로 흐르고 서남방향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532봉-임도(390, 3.4)-521봉-675봉-853봉-九屛산(△876.5, 4.5/8.9)-753봉-백지미재(670, 2/10.9)-665봉-527봉을 지나 505번지방도로와 25번국도가 만나는 보은군 외속리면 면소재지(170, 5.3/16.2)에서 끝나는

약16.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7. 백두팔음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관기 보은

백두대간이 속리산에서 화령재로 남하하면서 구병산 줄기를 하나 떨구고 비재 지난 봉황산에서 대간은 동북쪽으로 흐르고 남쪽으로 또 한줄기를 떨구니 바로 상주군 모동면에 우뚝선 백화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라!

백화산의 거대한 산록만 동서로 3.5km요 남북으로 15km에 달한다

그러나 야속하게도 지맥 산줄기는 팔음산에서 남쪽으로 흘러가고 백화산은 동쪽으로 방향을 꺾는다 지맥은 영동군과 상주시의 경계를 따라 서남진하여 옥천군 동이면 경부고속도로 금강2교 앞에서 끝이난다

백두대간이 남진을 하며 상주시 화서면 백두대간상 속리산을 지나 화령재로 내려서기 전 鳳凰산(△740.8m)에서 백두대간은 동북으로 흐르고 한줄기를 남쪽으로 분기하여 436봉-

25번국도(290m, 2.6km)-봉천-316봉-산수동-황산마을(310m, 4.5km/7.1km)까지 비산비야 구간을 지나 川澤산(683.2m, 1.6/8.7)에서 북쪽으로 시루봉(△505.7 단맥)을 떨구고 남진한다

개티재(350, 2.5/11.2)-496봉-△584.3봉-587봉-

양지리임도(370, 4.5/15.7)-달박골도로(490, 3/18.7)-

八音산(△762.3, 0.7/19.4)에서 동쪽으로 백화산을 떨구고

옥천군과 상주시의 경계를 따라 남진한다

별재(290, 5.2/24.6)-千金산(△454.9, 2.1/26.7)-△308.6봉-

19번국도 샘티재(수준점 229.77m 230, 4.1/30.8)-

天冠산(△467.7, 2.3/33.1)-밤재(230, 0.5/33.6)-장군재(290, 2/35.6)-413봉(3/38.6)-

△341.2봉(1.2/39.8)-경부고속도로 영동터널(290, 1.8/41.6)-갓모봉(410)-

길동안부(330, 2.4/44)-쇠말봉(394)-△366.2봉(2.7/46.7)-깃대봉(415)지나

505번지방도로 당재(270, 1.1/47.8)로 내려선다

△306.5봉(2/49.8)-鐵峰산(△449, 4.6/54.4)-분지벌고개-금강터널-△215.7봉 지나 경부고속도로 금강2교(70, 2.8/57.2)에서 금강물이 되는 도상거리 약57.2km의 산줄기를 어떠한 큰 강줄기를 가르는 것도 아니고 어느 유명산이 있는 것도 아니라 이름을 짓기가 심히 곤란하나 그 산줄기중 가장 높은 산인 팔음산의 이름을 빌어 백두대간에서 분기하였으므로 그 이름을 차용하여 백두팔음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 두개의 산줄기 흐름을 살펴보면

백두봉황팔음지맥은

상주시 화서면 백두대간상 속리산 부근 봉황산(740.8m)에서 남쪽으로 흘러

436봉 25번국도(290m, 2.5km) 봉천 316봉 산수동 황산마을(310m, 4.5km/7km)까지 비산비야 구간을 지나 천택산(683.2m, 1.7/8.7)에서 북쪽으로 시루봉(△505.7 여맥)을 떨구고 남진을 한다

개티재(350, 2.4/11.1) 496봉 584.3봉 587봉 달박골임도-八音산(△762.3, 16.5)에서 동족으로 백화산을 떨구고 옥천군과 상주시의 경계를 따라 남진을 한다

별재(290, 5.2/21.7)-千金천금산(△454.9, 2.1/23.8)-△308.6봉-

19번국도 샘티재(수준점 229.77m 230, 4/27.8)-天冠산(△367.7, 2.3/30.1)-

밤재(230, 0.5/30.6)-장군재(290, 2/32.6)-413봉(3/35.6)-△341.2봉(1.2/36.8)-

경부고속도로 영동터널(290, 1.8/38.6)-△366.2봉(5.1/43.7)-

505번지방도로 당재(270, 1.1/44.8)로 내려선다

△306.5봉(2/46.8)-鐵峰산(△449, 4.6/51.4)-△215.7지점-

경부고속도로 금강2교(70, 2.8/54.2)에서 금강물이 되는 도상거리 약54.2km의 산줄기를 어떠한 큰 강줄기를 가르는 것도 아니고 어느 유명산이 있는 것도 아니라 이름을 짓기가 심히 곤란하나 그 산줄기중 가장 높은 산인 팔음산의 이름을 빌어 백두대간 봉황산에서 분기하였으므로 그 이름을 차용하여 백두팔음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090. 백두팔음시루단맥

백두봉황팔음지맥 川澤산(△683.2)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소여임도(270, 4)-525봉-

시루봉(△505, 3/7)-309봉-316봉-보청천변(110, 4.5/11.5)에서 끝이나는 약1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91. 백두팔음백화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관기 영동

팔음산(△762.3)에서 금상천과 석천을 구분지으며 상주군 모서면 득수리와 지산리를 넘는 고개 나비재(290, 4.5)로 떨어졌다가 본격적인 백화산 구간으로 오르게 된다

지형도에는 백화산맥이라고 표기되어 있으나 산맥이란 개념은 일제 강점기가 만들어낸 가상의 산줄기이므로 그 존재를 의식할 필요는 없다 아예 무시를 하면 아무 문제도 없다

급경사 절벽같은 구간을 힘좀 들여 오르면 거대한 백화산 그 너른 품에 안기게 된다

770봉(1.8/6.3)으로 오르면 본격적인 백화산 주능선이다 서쪽 능선은 거의 절벽 수준이고 동쪽도 급경사이지만 그래도 서쪽 보다는 많이 완만하다

서남 방향으로 계속 남진을 하면

드디어 백화산 정상인 포성봉(933.0, 3.5/9.8)으로 오르게 된다

경북 상주군 모서면 모동면 충북 옥천군 황간면을 가르는 삼면봉이다

여기서 남쪽이나 서남쪽으로 흐르는 두줄기로 나누어지는데 두줄기 다 경북과 충북의 도계능선을 따르게 되는데 남진하는 산줄기는 2.3km 정도 내려가면 석천에서 그 소임을 다하게 되고

단맥은 서남방향으로 진행을 하면서 주행봉(870, 3/12.8)을 지나 고도를 한없이 떨어뜨려 솔티(310, 3/15.8) 392봉 442.5봉(0.6/16.49) 436봉 579번 지방도로 지나 석과 초강이 만나는 충북 영동군 황간면 원촌리 서원말마을(150, 2.7/18.1)에서 그 흐름을 멈추는

약 18.1km의 산줄기를 나의 산줄기 분류 원칙에 따라 30km 미만이니 단맥으로 분류를 하고 그 이름을 백두대간 봉황산에서 분기하여 팔음지맥을 타고오다 백화산을 지나간다 하여 우선 백두봉황팔음을 가져다 놓고 그 산줄기에서 제일가는 명성을 얻고 있는 백화산의 이름을 빌어 백두봉황팔음백화단맥이라 이름을 짓는다

백화산 산줄기는 그 부근 일대의 산줄기중 군계일학으로 바로 옆 동쪽으로 흐르는 추풍령 화령재 구간 백두대간에 비해 그 산세가 빼어나지만 그 흐름은 겨우 단맥 수준으로 길 상태만 좋다면 하루면 주파할 수 있는 그러한 산줄기이다

092. 백두팔음산저단맥

백두팔음지맥 천금산 서남측 등고선상43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303.5봉(3)-

경부고속도로(2.3/5.3)-514번지방도로(0.5/5.8)-199.5봉-도로-도로(3.6/9.4)-도로(1/10.4)를 지나 영동군 용산면 산저리 법화천이 초강을 만나는 곳(2/12.4)에서 끝나는 약12.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백두팔음귀비여맥

백두팔음지맥 밤재 동측 약0.6km 등고선상45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514번지방도로(1.3)-돌고지임도(2.2/3.5)-박달산(475)어깨(2.2/5.7)-영동군 옥천면 한석리 귀비재마을(2.5/8.2)을 지나 초강변(0.7/8.9)에서 끝나는 약8.9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8. 백두소머리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관기 상주 문경

백두대간이 남하하다 속리산을 지나 화령재로 떨어졌다가 윤지미산을 지나 내려간 등고선상 450m 부근에서 동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상주시 내서면을 남북으로 가르며 △280.4봉 자나 밤원고개(230, 2.5)로 내려간다

소머리산(448.5, 1.7/4.2)-△440.4봉(1.7/5.9)-

바깥마고개 도로(230, 1.5/7.4)-△368.6봉(1.8/9.2)-

노음산 갈림길(370, 0.6/9.8)에서 내서면과 외서면의 경계능선을 잠시 가다 외서면을 동서로 가르며 북진한다

△445.0봉(2/11.8)-997번지방도로 우산재도로(230, 2.7/14.5)-

408봉(1.2/15.7)에서 상주시 은척면과 외서면의 경계를 따라간다

△447.2봉-범산(426봉)어깨(410, 2.5/18.2)에서 상주시 공검면과 내서면의 경계를 따라 361봉-등고선상 310봉어깨(1.5/19.7)부터 공검면을 동서로 나누며

비지재도로(150, 1.7/21.4)로 내려선다

國寺봉(331, 1.5/22.9)-덕천재(90, 1.2/24.1)-崇德산(231, 1.5/25.6)-

가장리 철로 지나 3번국도 토파이고개(90, 1.5/27.1)와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차례로 건너 서산(△192.2)-五峰산(238, 1.5/28.6)-봉우재 임도(170)

236봉-232봉-203봉-△177.2봉(4/32.6)-198봉-202봉-

서낭고개 도로(110, 2/34.6)-두리봉(△249.7)-금지산(335, 2.8/37.4)-

186봉-묵실마을 고개 도로(110, 2/39.4)-백담마을-

916번지방도로 시고개(70, 2.8/42.2)-옥주봉(△163.5, 1.8/44)-

삼봉도로(70, 1.8/45.8)-도로(70, 1.2/47)-남산(90) 지나

상주벌을 달려온 산줄기가 백두대간 국수봉이 발원지인 병성천이 낙동강을 만나 낙동강물이 되는 곳(50, 1.2/48.2)에서 낙동강물이 되는 약48km의 산줄기를 마땅히 부를 이름이 없다

산들이 다 고만고만하여 대표적으로 내세울만한 산이 없으며 널리 알려진 산도 없을 뿐만 아니라 국사봉을 내려온 덕천재 이후는 비산비야구간으로 동네 뒷산에 불과하여 가시덤불 등 종주하기도 힘이드는 그런 구간이라 더욱 더 이름을 빌린만한 산은 없다

그래도 그 중에 동네 산악회에서 정상석을 세워놓은 국사봉이 길 상태를 보아서는 대표격이 될 수 있지만 국사봉이란 이름은 아마도 대한민국에서 그 이름이 제일 많을 것이라 조금은 마음이 꺼려지는 것이 사실이며 높이도 그 전에 지나온 소머리산이나 범산보다 현저하게 낮아 이 또한 적당하지 않은 것 같다

여기서 산줄기 이름을 짓는 방법중 하나인 이름이 있는 산중 제일 높은 산이나 또는 분기하여 처음 나오는 산이름을 차용하고자 하여 그 이름도 한문인 우두산이란 이름 대신 순수한 우리말로 소머리산이라 명명된 점을 중히 여겨 백두대간에서 분기한 30km이상 100km미만 산줄기이므로 백두소머리지맥이라 이름을 짓는다

093. 백두소머리노음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상주

백두소머리지맥이 백두대간에서 분기하여 흐르다가 소머리산을 지나 바깥마도로로 떨어졌다가 올라간 등고선상 370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내서면과 외서면의 경계를 따라

露陰산(728.5, 2.6)-640봉-△202.7봉(3.5/6.1)-天鳳산(△435.8, 2.5/8.6)-바깥너추리도로-곡수골도로(90, 2/10.6) 지나 비산비야를 달려 상주시 화산동 협산마을(50, 2.4/13)에서 끝이나는 약1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산경표 26혈 27혈을 살펴보면

099)俗離山 尙州西七十里 報恩東四十二里 分二歧-1

(27혈)1-回踰峙 西來 漢南湖西正幹 見下七十頁三

100)九峯山 尙州西六十里 報恩東四十二里 分二歧-1

1-露陰山 東來 尙州西十里

天峯山 露陰山來 尙州治在南七里

속리산 남쪽에 있는 구봉산에서 한줄기를 분기하여 노음산 천봉산으로 흐르는 산줄기를 기록하였으니 지금의 백두소머리지맥 일부와 백두소머리노음단맥 산줄기를 합한 산줄기가 이렇게 기록이 되어 있다

094. 백두소머리천마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상주 문경

백두소머리지맥이 소머리산을 지나고 노음단맥 분기점도 지나고 북진하여 내려선 우산재에서 올라간 범산에서 다시 내려와 올라간 등고선상 310m 지점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170봉-살고개(110, 3.2)-천마산(299, 6/9.2)-28번군도(70, 3/12.2)를 지나 를 지나 상주시 공검면 양정리 못득 국사봉에서 내려온 개울과 동천이 만나는 곳(0.6/12.8)에서 끝나는

약12.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95. 백두상주단맥

백두대간 백학산을 지나 윗왕실 임도 북측 상주시 내서면 외남면 공성면의 삼면지점인 등고선상470m 지점에서 북동을 분기하여 내서면과 외남면의 경계를 따라 임도-541.8봉(3.8)-

갈방고개-509.3봉(4/7.8)-청원~상주간 고속도로 상주2터널 정퇴재(290, 3/10.8)-

997번지방도로 주막걸(2.4/13.2)-청원~상주간 고속도로-213봉(1.2/14.4)-

청원~상주간 고속도로-임도(1.7/16.1)-3번국도(4.2/20.3)-남산공원-상주시청-상주역-

동성동 25번국도(3.1/23.4)-상주여고-도로(1.3/24.7)를 지나

북천이 병성천을 만나는 곳(0.7/25.4)에서 끝나는 약25.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9. 백두기양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김천 상주 안계 구미

백두대간이 백두산을 정점으로 지리산으로 남하하면서 속리산 윤지미산 백학산 지나 국수봉에서 용문산으로 가면서 오른 청운봉(730)에서 백두대간은 남진하고 동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상주시와 김천시의 경계를 따라 590봉-문이미마을 도로(250, 2.7)-

352봉어깨(330)-△332.4봉을 지나 3번국도 여남고개(210, 3/5.7)에 이른다

여남기차굴-원상리도로(250, 3.8/9.5)를 지나 白雲산(629.8, 2.7/12.2)에서 남쪽으로 또 다른 백운산(△618.3, 단맥)을 떨구고 동북진하여 내려가다 등고선상510m 지점(0.6/12.8)에서 동쪽으로 미모산(478, 단맥)을 떨구고 북진한다

461봉-△358.2봉-산태백재도로(150, 2.8/15.6)-△484.3-

岐陽산(706.8, 2.7/18.3)-修善산(△683.6, 1.7/20)에서

북쪽으로 甲帳산(△805.7, 단맥)을 떨구고 동진하여 밖이실임도(410, 2/22)를 지나 등고선상510봉(1.1/23.1)에서 서남방향으로 元通산(△475.9, 단맥)을 떨구고 동진한다

티상말고개-골마임도-916번도로-912번도로(290, 2/25.1)-상주터널-

석거실마을(330, 1/26.1)에서 북쪽으로 伏牛산(△508.7, 단맥)을 떨구고

3번국지도 注兒현(190, 5.2/31.3)으로 내려선다

兄弟봉(△531, 1.7/33)-갈등고개임도(390, 1.2/34.2)-

神산(△435.3, 2.2/36.4)-59번국도 금오고개(124, 1.7/38.1)-

265.1봉-화조리도로(70, 3.7/41.8)-1번국지도-△169봉 지나 구미시 선산읍 원리 서원마을 감천이 낙동강물을 만나 낙동강이 되는 곳(3.2/45)에서 끝이나는 약45km의 산줄기에 이름이 없다

그래서 일단은 그 산줄기 중 이름있는 산중에 높이가 제일 높은 기양산의 이름을 빌어 백두대간에서 분기한 30km이상 100km미만의 산줄기임으로 백두기양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그런데 여기서 산줄기의 흐름을 어떻게 보야야 하는가가 문제점으로 떠오른다

첫 번째 분기하는 백두기양백운단맥은 백두기양지맥12.2km를 합하여 27km의 산줄기로 30km가 되지 않는 단맥산줄기라 논외로 치고

두 번째 분기하는 백두기양미모단맥은 백두기양지맥12.8km와 백두기양미모단맥16.1km를 합한 28.9km의 산줄기는 역시 단맥수준이라 논외로 하지만

그 다음 분기하는 백두기양갑장단맥은 백두기양지맥20km와 백두기양갑장단맥19.5km를 합하여 39.5km로 30km를 넘는 산줄기가 되어 지맥급에 해당하며 갑장산이 기양산보다 더 알려져 있고 더 높은 산이므로 그 인지도를 감안하여 백두갑장지맥이라고 부를 수도 있으며

그 다음 분기하는 백두기양원통단맥은 백두기양지맥23.1km와 백두기양원통단맥11.5km를 합하여 34.6km로 역시 30km가 넘는 지맥급 산줄기에 해당하여 또 다른 백두기양지맥 산줄기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마지막으로 분기하는 백두기양복우단맥은 백두기양지맥26.1km와 백두기양복우단맥19km를 합하여 45.1km의 산줄기로 역시 지맥급산줄기가 되어 또 다른 백두기양지맥이라고 부를 수가 있다

여기서 첫 번째 분기한 백두기양백운단맥과 두 번째 분기한 백두기양미모단맥은 30km 미만 단맥산줄기로 논외로 하고

기왕에 백두기양지맥의 흐름으로 결정한 백두기양지맥은 45km 백두갑장지맥으로 부를수 있는 산줄기는 39.5km 백두기양원통단맥은 34.1km 백두기양복우단맥은 45.1km의 산줄기로 이중 백두기양원통단맥은 그 흐름이 다른 산줄기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짧으므로 역시 제외를 하고나면 3개의 산줄기로 압축이 된다

두개의 산줄기는 45km로 그 거리가 거의 같으며 갑장산으로 가는 산줄기는 약5.5km정도 짧지만 그 산세로 보거나 백두대간 국수봉 어름에서 발원한 병성천의 남쪽 울타리를 치며 합수점에서 끝이나는 물줄기로 보아 지맥이라고 불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백두기양복우단맥으로 가는 산줄기와 기존의 백두기양지맥은 그 거리상으로는 같으나 그 끝지점이 어떠한 커다란 강줄기를 가르는 것이 아니라 낙동강변에서 끝나므로 선택의 문제에 있어서 커다란 강줄기를 가르는 백두기양지맥이나 백두갑장지맥에 타당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문제는 백두기양지맥이냐 백두갑장지맥이냐의 선택의 기로에서서 살펴보면 우선 어떤 강줄기를 가름에 있어서 백두대간 초점산 부근에서 발원하여 김천땅을 아우르며 선산에서 낙동강과 합수하는 감천과 백두대간 국수봉 어름에서 발원하여 상주땅을 아우르며 사벌면에서 낙동강과 합수하는 병성천을 비교할 때 병성천이 그 세나 길이에 있어서 감천과 비교가 되지 않는다

나는 그런 연유로 백두기양지맥의 흐름을 선산으로 정한 것이지만 혹자가 사벌면으로 가는 산줄기를 백두갑장지맥이라고 불러도 하등의 의의가 없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산경표 28, 29혈을 살펴보면

105)黑雲山 東來 金山北三十里 分三歧-1, 2

(29혈)1-五波山 南來 金山治在西二里

2-倭峙 南來

俗門山 金山北三十七里 分二歧-[1]

[1]-淵岳山 東來 善山西三十二里

竹峴

飛鳳山 善山治在南十里

甘文山 南來 開寧治在南二里

106)秋風嶺 西來 黃澗東二十里 分二歧-1

(29혈)1-西北來 山名未詳

흑운산은 백두대간상 105번째 나오는 지명으로 지금의 어느 산이라고 꼭 집어서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다음으로 추풍령이 나오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백두대간 속리산 지난 화령재에서 추풍령 사이에 있는 산인 것만은 틀림없다

그 흑운산에서 3줄기로 분기를 하는데 한줄기는 백두대간을 따라 추풍령으로 가고 도 한줄기는 오파산으로 분기를 하고 또 다른 한줄기는 왜치로 분기한다는 내용인데 그 뒤 설명문을 보면 느닷없이 금산이 나와 당황스럽기 만하지만

혹시 지금의 김천이나 상주 근방에 예전의 금산이라는 지명이 있었던게 아닌가 하는 추측을 해보지만 나 같은 고지명에 무뢰한이 밝혀낸다는 것은 어려운 일일 것이다

그렇지만 외치 속문산 감문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는 속문산까지는 금산 어름 산으로 표기를 했지만 그 다음으로 연결되는 감문산은 지금도 김천시 감문면이 존재하고 그 설명문을 보면 남쪽 2리에 있는 개령에서 다스린다는 내용으로 보아 지금도 김천시 감문면 남쪽에 개령면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속문산에서 두줄기로 분기하는데 한줄기는 아래 감문산으로 이어지고 한줄기가 연악산 죽현 비봉산으로 연결이 되며 그 설명문을 보면 속문산에서 동쪽으로 뻗어나가 선산 서쪽 32리에 있는 산이라고 한점으로 미루어보아 지금의 기양산으로 추정이 되고

죽현은 딱히 어디라고 말을 할 수 없지만 그 다음 비봉산은 남쪽으로 십리에 있는 선산에서 다스리는 산이라는 점으로 보아 바로 이 흑운산 왜치 속문산 연악산 죽현 비봉산으로 연결되는 산줄기가 지금의 백두기양지맥 산줄기가 아닐까 하고 조심스럽게 말 할 수가 있을 것이며

여기에 나오는 비봉산은 현재 선산읍내 바로 북쪽에 팔각정을 지어놓은 얕은 야산인 122.9m 의 산이 아니라 지금의 형제봉이 바로 비봉산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그 십리길이 설명문이 거의 맞아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앞으로 나오는 부처바위에 대한 안내문에서도 “비봉산 정상부에 자리잡고 있는 바위로.........”라고 하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어쩐지 이 형제봉이 바로 비봉산이라고 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096. 백두기양백운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상주 김천

백두기양지맥이 백두대간 국수봉 남쪽 청운봉에서 동남으로 분기하여 흐르다가 3번국도 여남고개를 지나 오른 白雲산(629.8)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白雲산(△618.3, 1.1)-482봉-물목재(370, 1.7/2.8)-보산(280)어깨-913번지방도로(90, 4.3/7.1)로 내려선다

大陽산(△312.6, 1.2/8.3)-997번지방도로(150, 1.4/9.7)-

吹笛봉(310, 1.7/11.4)-서부리도로(90, 2/13.4) 지나 김천시 개령면 서부리 백두대간 용문산이 발원지인 아천이 감천을 만나 감천물이 되는 곳(70, 1.4/14.8)에서 끝나는 약14.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97. 백두기양미모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김천 상주 구미

백두기양지맥이 백두대간 국수봉 남쪽 청운봉에서 동남으로 분기하여 흐르다가 3번국도 여남고개에서 오른 白雲산(629.8)에서 내려가다 등고선상 510m 지점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구미시외 김천시의 경계를 따라 383봉-이터재(△343.2, 2.2)-미모산(478, 3.2/5.4)-397봉-

913번지방도로 서남재(170, 1.9/7.3)-廣德산(△393.5)어깨(390, 1.6/8.9)-△162.0지점을 지나 15번국지도(110, 2.2/11.1)로 내려선다

月留봉(340.2, 1/12.1)-쌀개산(△223.8)-중부내륙고속국도(90, 1.5/13.6)를 건너 선산읍 내고리 꼴디미마을 수선산이 발원지인 대천이 감천을 만나는 곳(2.5/16.1)에서 끝나는

약16.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98. 백두기양갑장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상주

백두기양지맥이 백두대간 국수봉 남쪽 청운봉에서 동남으로 분기하여 흐르다가 3번국도 여남고개 白雲산 기양산 지나 수선산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상주시 청리면과 낙동면의 경계를 따라 912번지방도로 돌티(2.6)로 내려선다

486봉-△484.6봉(1.7/4.3)-甲帳산(△805.7, 2.7/7)-577봉-916번지방도로 굴티고개(150, 3.6/10.6)-갓재-백원산(523.7, 1.7/12.3)-485봉-식산(503, 1.4/13.7)-△281봉-

중부내륙고속국도-25번국도-성골고개 구도로(2.8/16.5)내려서 병풍산(△365.6, 1/17.5)지나 상주시 병성동 병성천이 낙동강을 만나 낙동강물이 되는 곳(2/19.5)에서 끝나는 약19.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99. 백두기양원통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김천 상주 구미

백두기양지맥이 백두대간 국수봉 남쪽 청운봉에서 동남으로 분기하여 흐르다가 3번국도 여남고개 白雲산 기양산 수선산 밖이실마을 지나 등고선상 51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원통산(△475.9, 3.4)-중부내륙고속도로 상주터널-지기고개(210)-△318.9봉(3.5/6.9)-

68번국지도 하미고개(2.3/9.2) 지나 구미시 선산읍 봉곡리

봉곡천이 대천을 만나는 곳(2.3/11.5)에서 끝이나는 약1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00. 백두기양복우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김천 상주 안계

백두기양지맥이 백두대간 국수봉 남쪽 청운봉에서 동남으로 분기하여 흐르다가 3번국도 여남고개 白雲산 기양산 수선산 밖이실마을 지나 석거실마을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매미꽃띠재(430)-伏牛산(△508.7, 2)-531봉-36번군도 문티(130, 4/6)-

△260.9봉-서낭말래고개(210)-385.1봉-三峰산(△447.6, 2.5/8.5)-구도리도로(3.2/11.7)-

△214.4봉-25번국도 부치(1.5/13.2)-200.5봉-덕고개-59번국도(90, 2.4/15.6)-

螺角산(240.2, 1/16.6)-△140.7봉 지나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 낙단교 다리 남측(2.4/19)에서 끝나는 약19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01. 백두지장단맥

백두대간 용문산 지난 등고선상690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20번군도 반고개(350, 1.8)-

학무산(670, 1.5/3.3)-임도(0.6/3.9)-지장산(772.4, 2/5.9)-324.4봉(2.7/8.6)-

515.6봉(1.6/10.2)-49번국지도 독점고개(4/14.2)-510.5봉어깨(1.3/15.5)-

901번지방도로(2/17.5)를 지나 영동군 황간면 신흥리 석천이 초강을 만나는 곳(0.1/17.6)에서 끝나는 약17.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02. 백두난함단맥

백두대간 남한산어깨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난함산(733.4, 0.4)-임도-아천고개-

문암봉(589.7, 3/3.4)-3번국도 새모산고개(5.5/8.9)-광덕산(228, 2.2/11.1)-

913번지방도로(1.6/12.7)-59번국도(1.5/14.2)를 지나 김천시 개령면 황계리 아천이 감천을 만나는 곳(0.8/15)에서 끝나는 약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03. 백두덕대단맥

백두대간 황학산 지난 형제봉에서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신선봉(944, 1.2)-

903번지방도로(2.1/3.3)-바래봉(584)-진밭산(719, 1.5/4.8)-동구지산(656.1, 2/6.8)-

방하치임도-갈비봉(575)-덕대산(811.4, 2.3/9.1)-554.3봉(2.6/11.7)-고성산(482.7, 4/15.7)-

정심사-개운사-4번국도(3.1/18.8)59번국도-경부고속철도(1.1/19.9)를 지나 김천시 모암동 직지천이 감천을 만나는 곳(0.3/20.2)에서 끝나는 약20.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04. 백두호초당단맥

백두대간 황학산에서 질매재로 가면서 영동군 상촌면 김천시 대항면 구성면의 삼면지점인 등고선상870m 지점에서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호초당산(893.4, 2.4)-임도(290, 5/7.4)-

335.3봉-3번국도(4.6/12)를 지나 김천시 구성면 구미리 무릉천이 감천을 만나는 곳(0.3/12.3)에서 끝나는 약12.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05. 백두지례단맥1

백두대간 질매재에서 삼도봉으로 가면서 영동군 상촌면 김천시 구성면 부항면의 삼면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1120.1봉-903번지방도로(490, 3.5)-639.4봉-583.3봉(3.8/7.3)-

임도(290, 1.3/8.6)-342.7봉(4.4/13)-903번지방도로(2.1/15.1)를 지나 김천시 지례면 상부리 부항천이 감천을 만나는 곳(0.3/15.4)에서 끝나는 약15.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06. 백두막기향단맥

백두대간 질매재에서 지례단맥 분기점을 지나 등고선상1190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막기향산(999.5, 2.8)-613.1봉(2.5/5.3)-605.5봉(3/8.3)-영동군 상촌면

경부고속철도 상촌철교(3.5/11.8)를 지나 고자천과 궁촌천이 만나는 곳(0.1/11.9)에서 끝나는 약11.9kmd의 산줄길르 말한다

20. 백두민주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영동 이원

백두대간 경상북도 충청북도 전라북도 삼도가 만나는 화합의 탑이 서 있는 삼도봉(1177m)에서 백두대간은 남진하고 한줄기를 서쪽으로 분기하여 무주와 영동의 경계를 따라

수려한 암봉인 石奇봉(1200m, 1km)-眠周之산(△1241.7m, 2.4km/3.4km)에서 서남으로

五峰산(△490.8, 단맥)을 떨구고 북진한다

角虎산(1176, 2.7/6.1)에서 동북방향으로 상촌단맥을 떨구고 서북진하여

△843봉-도마령(1.5/7.6)-957봉-千萬산(943, 1/8.6)에서

서남방향으로 天摩嶺(△925.6, 분맥)을 떨구고 영동군 양강면과 상촌면의 경계를 따라 북진한다

898봉에서 서북방향으로 가동단맥을 떨구고 동북진하고 867봉에서 북쪽으로 이바위산(△302.3, 단맥)을 떨구고 동진하여 삼봉임도(810, 3.5/12.1)로 내려선다

三峰산(△930.4, 0.5/12.6)-755봉-△740.6봉(3.5/16.1)-722봉-

△795.0봉(2.4/18.5)-안점고개(630, 2.8/21.3)-656봉-675봉에서 내려가다 등고선상 610m 지점(2.4/23.7)에서 동쪽으로 월류봉(△400.7, 단맥)을 떨구고 북진한다

△304.0봉-281봉-4번국도 가리기차터널 삼재(가리)고개(210, 3.8/27.5)-

△538.2봉(1.1/28.6)-白馬산(532, 2.4/31)-347봉-

주곡고개(250, 2/33)-무량산(△426.5)-412봉-372봉-임도(230)-

19번국도 솔치재(210, 4.7/37.7)로 내려선다

비탄도로(210)-286봉-분통골임도(210)-289봉(5.5/43.2)-

△261.3봉(2.4/45.6)어깨(230) 지나 옥천군 심천면 초강리 초강마을 초강교 서북방향으로 영동천이 금강을 만나는 곳(110, 4/49.6)에서 금강물이 되는

도상거리 약49.6km 정도의 산줄기에 이름이 없어

그 산줄기중 대표격으로 인정받고 있는 민주지산의 이름을 빌어 백두대간에서 분기하였음으로 백두민주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산경표 28, 32頁을 살펴보면

111)三道峰 知禮西四十四里 分三歧-1, 2

(32혈)1-都麽峙 西來 居昌北五十五里

白雲山 茂朱東五里 分二歧-[1]

[1]-白花山 黃澗北十里 西來

香爐山 茂州治在南二里

天摩山 一名南角 永同南二十里 北來

沙邑峙

城隍山 西來 永同治在南一里

2-龜山 東來 知禮治在北二里

산경표 백두대간편에서 111번째 나오는 삼도봉은 지례 서쪽 44리에 있으며 3군데로 분기하는데 한줄기는 남쪽으로 백두대간을 따라가고

한줄기가 삼도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거창 북쪽 55리에 있는 도마치로 이어지며 백운산 천마산 사읍치 성황산으로 흐르고 또 한줄기는 동쪽으로 분기하여 북쪽으로 1리에 있는 지례에서 관장하는 구산으로 흐른다

여기서 도마치로 가는 산줄기가 바로 지금의 백두민주지맥과 백두민주천마분맥에 해당하는 산줄기로 볼수 있다

107. 백두민주오봉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영동

백두민주지맥이 삼도봉에서 분기하여 석기봉 지난 민주지산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영동군 용화면과 무주군 설천면의 경계를 따라

△665.6봉(3.4)-608봉-五峰산(△490.8, 3.3/6.7)-398봉-△401.5봉(2.4/9.1)-

581번지방도로를 건너 용화면 용화리 남대천변(250, 0.9/10)에서 끝이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08. 백두민주도대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영동

백두민주지맥 角虎산(1176)에서 북동방향으로 분기하여 1097봉-△1031.1봉-임도-810봉-

△688.7봉(6.1)-수래넘어마을(290, 2.5/8.6)-영동군 상촌면 하도대리 각호산이 발원지인 고자천이 삼도봉이 발원지인 초강천을 만나 초강천이 되는 곳(230, 1.6/10.2)에서 끝이나는 약10.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4. 백두민주천마분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영동 이원

백두민주지맥 천만산에서 서남쪽으로 분기하여 영동군 양강면과 용화면의 경계를 따라 天摩嶺(△925m, 1.7km) 지나 도면상 920봉에서 남쪽으로 葛冒봉(△615.2, 단맥)을 떨구고 서북진하여 865봉(4.5/6.2)에서 북쪽으로 성산(△436.3, 단맥)을 떨구고 서진한다

612봉-△463.7봉(3.5km/9.7km)-도덕재(진삼령, 430m, 1.3km/11km)에서 올라간 등고선상 570봉에서 정산(△487.9, 단맥)을 떨구고 서남진하여 여의치(310, 3.9/14.9)-

白霞산(△633.6, 1.8/16.7)-19번국도 압재(학산재, 310, 4.3/21)로 내려선다

七峰산(△520.9, 0.8/21.8)-574봉(4.2/26)-안압재(1.7/27.7)-聖主산(△623.9, 4.3/32)-

기웃재 지나 금산읍 제원면 천내리 천내마을 금강변(130, 8.4/40.4)에서 금강물이 되는

도상거리 약40.4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한다

109. 백두민주천마갈모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영동 이원

백두민주지맥 천만산에서 분기된 백두민주천마분맥이 천마령 지나 도면상 92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704봉-692봉-△700.7봉(3.8)-창골임도(450)-葛冒봉(△615.2, 3.1/6.9) 지나 무주군 설천면 기곡리 백두대간 대덕산 근방이 발원지인 남대천변(210, 3.5/10.4)에서 끝나는 약10.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10. 백두민주천마성산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영동 이원

백두민주천마분맥이 천마령지나 도면상 865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814.4봉-610봉-373봉-은행정임도(210, 6)-238봉-19번국도 갈령(190, 2.5/8.5)-

△273.9봉-성산(△436.3, 5.2/13.7)-413봉-△280.5봉(3.9/17.6)-

505번지방도로(150, 0.6/18.2)-4번국도 양강교 오른쪽(110, 2/20.2) 지나 영동군 심천면 초강천과 영동천이 금강을 만나는 모래사장에서 끝나는 약20.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11. 백두민주천마정산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이원

백두민주천마분맥 도덕재(진삼령)에서 여의치로 가면서 오른 무명 570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정산(△487.9, 1.6)-호산안부(230, 1.8/3.4)-△326.3봉 전위봉(310)-

모지내안부(130)-아평도로(110, 2.7/6.1)-大王산(303.7, 1.8/7.9) 지나 영동군 양산면 봉곡리 금강변(130, 2.1/10)에서 끝이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12. 백두민주가동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영동

백두민주지맥이 각호산 천만산을 지나 무명 898봉에서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695봉-657봉-510봉-산막골 안부(250, 5.8)-△321.5봉-265봉(2.6/8.4)지나 양정천이 천만산이 발원지인 영동천을 만나는 곳(130, 3/11.4)인 영동읍 가동리에서 끝이나는 약11.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13. 백두민주이바위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영동

백두민주지맥이 천만산에서 삼봉산을 가기 직전 무명 867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양강면과 영동읍의 경계를 따라 432봉(4.1)-325봉-산의 안부(230, 3/7.1)-

이바위산(△302.4, 1.2/8.3) 지나 영동읍 양정리 변독골마을 영동천변(130, 2.6/10.9)에서 끝나는 약10.9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14. 백두민주월류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영동

백두민주지맥 천만산 삼봉산 지나 4번국도 경부선 가리터널 가기 전 영동군 영동읍 황간읍 상촌면의 삼면 지점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520봉-△556.5-월촌임도(330, 2.9)-375봉-경부고속도로 4번국도 노근육교(210, 5.3/8.2)-마산터널(230)-월류봉(△400.7, 1.7/9.9) 지나 황간면 우천리 서송원천이 초강천을 만나는 곳(150, 2.1/12)에서 끝이나는 약1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15. 백두지례단맥2

백두대간 부항령에서 덕산재로 가면서 무주군 무풍면 김천시 부항면 대덕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810봉에서 북동방향으로 분기하여 568봉(2.6)-424.2봉(7.4/10)-273.2봉(3.1/13.1)을 지나 김천시 지례면 도곡리 부항천이 감천을 만나는 곳(1.5/14.6)에서 끝나는 약14.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16. 백두나제통문단맥

백두대간 소사고개에서 삼봉산으로 가면서 오른 삼봉산 가기 약0.7km 전 등고선상1250m 지점에서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1000.6봉-도로(850, 2.9)-1056.3봉(3.5/6.4)부터 덕유산 국립공원 경계능선으로 진행을 해 895.3봉(2.4/8.8)-852.1봉(3.9/12.7)-

30번국도 나제통문(470, 3/15.7)에서 덕유산 국립공원은 끝나고 석모산(590, 0.7/16.4)을 지나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 원당천이 무주남대천을 만나는 곳(0.7/17.1)에서 끝나는

약17.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17. 백두호음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무풍 거창

백두대간이 신풍령에서 덕유산으로 가면서 △1039.3봉 지나 오른 무주군 무풍면, 거창군 고제면, 북상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 1190봉에서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거창군 북상면과 고제면의 경계를 따라 시루봉(△861.3, 1.5)-1001번지방도로 칡목골도로(710, 0.6/2.1)-

867봉-△960.2봉(3.5/5.6)-虎音산(△929.8, 2.2/7.8)-37번국도 늠터고개도로(390, 3.6/11.4)-△592.4봉(1.7/13.1)-△688.3봉(2.4/15.5)-745봉-마취우령(아홉산, △792.2, 4/19.5)-

건흥산(거열산성, △572.1, 3.5/23)-3번국도(2/25)-대성고교-거창읍사무소(190, 2/27)-

거창중교를 지나 거창군 거창읍 중앙리 위천이 황강을 만나는 곳(190, 1.5/28.5)에서 끝나는 약28.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1. 백두덕유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무주 이원

백두대간 덕유산 백암봉에서 대간은 남쪽으로 흐르고 한줄기를 북쪽으로 분기하여 무주군 안성면과 설천면의 경계를 따라 중봉(△1594.3)-덕유산 香積峰(1614, 2)-

雪川峰(1520, 0.5/2.5)-△1232봉-검령-斗文山(△1051.2, 4/6.5)에서

동북쪽으로 成芝山(△992.2, 단맥)을 떨구고 서북진한다

895봉 지나 등고선상 810m 지점(1.6/8.1)에서 북쪽으로 赤裳山(△1029.2, 단맥)을 떨구고 서남진하여 蘆田峰(△570.5)-안성치(510, 2/10.1)-오항치임도(530, 2.3/12.4)-

魚屯山(△679.0)-어각치(550)-奉化산(△870, 3/15.4)에서

북쪽으로 馬香山(△730.4, 단맥)을 떨구고 서남진한다

도치(750)-802봉-마분치(570)-692봉(3.5/18.9)에서

서북방향으로 鳥項山(△799.3, 단맥)을 떨구고 서남진하여 노루고개도로(490, 1.2/20.1)-

647봉-國師봉(△756.6)-등고선상 630m 지점(2.5/22.6)에서

북쪽으로 智藏山(△772.9, 단맥)을 떨구고 서남진하여 △537.5봉-수치(390, 3/25.6)-

鼓山(대덕산, △875.8)어깨(870, 1.5/27.1))-△501.0봉-불로치터널(410, 3.5/30.6)-439봉-대양치임도(390, 1.2/31.8)-△476.6봉-오리목(290, 3.5/35.3) 지나 진안군 정천면 망화리 이포마을 용담댐(230, 2.3/37.5)에서 끝나는 산줄기를 말하는데 그 끝자락이 용담댐을 건설하면서 이포마을이 없어지면서 약500m 정도가 수몰되었으므로 현실적으로는 약37km의 산줄기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하나 생겼다

과연 어디를 그 끝으로 산줄기의 흐름을 잡는 것이 덕유지맥에 합당한 산줄기가 되는 것일까를 검토하고 지나가기로 한다

우선 백두대간 덕유산 백암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중봉 향적봉 설천봉 두문산까지는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이 두문산에서 서북으로 가는 능선으로 흐름을 잡지 않고 동북방향으로 분기하는 산줄기로 흐름을 잡을 경우 분기점에서 두문산까지 6.5km와 금해산 성지산으로 가는 산줄기 22.4km를 합치면 약28.9km의 산줄기가 생겨나게 된다

그 산줄기는 나의 산줄기분류체계상으로 볼때 30km를 넘지 못함으로 단맥수준의 산줄기라 지맥으로 부르는 것은 스스로 원칙을 져버리기 때문에 안될일이고

그 다음으로 두문산 지난 등고선상 810봉에서 북쪽 적상산으로 흐르는 산줄기를 지맥이라고 할 경우 810봉까지 8.1km와 적상산 산줄기 약16.8km를 합치면 약24.9km의 산줄기라 30km에 떡없이 짧음으로 역시 지맥이라고 부르기는 난처한 일이다

여기까지는 별 문제가 안되나 다음부터가 문제다

산줄기가 안성치를 지나 어둔산도 지나고 오른 봉화산에서 북쪽 마향산으로 분기한 산줄기를 지맥 흐름으로 잡는다면 봉화산까지 약15.4km와 마향산산줄기 약16.7km를 합하여 31.1km의 산줄기가 됨으로 그 산줄기를 지맥이라고 불러도 하등 이의를 제기할 생각은 없으며 실지로 그 산줄기로 가신 산님들 몇분이 계시는 것 같다

단지 내가 정리한 덕유지맥산줄기보다 무려 6.4km나 짧은 산줄기를 과연 덕유지맥이라고 할 수가 있는 것인지 망서려지는 것 뿐이다

왜냐하면 어떠한 커다란 강줄기를 가르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특정지역으로 가는 것도 아니고 어디로 가든 평범한 산줄기일 경우 가장 긴 산줄기를 원산줄기로 보자는 나의 산줄기 분류체계에 합당치 않음으로 역시나 나는 그 산줄기를 지맥산줄기로 보기는 어렵다

그 다음으로 봉화산을 지나 마분치로 내려섰다가 올라간 692봉에서 서북측으로 분기하여 조항산으로 가는 산줄기로 흐름을 잡는다면 692봉까지 약18.9km와 조항산 산줄기

약16.2km를 합치면 약35.1km에 이르는 산줄기 됨으로 지맥으로 불러도 아무런 이의가 있는 것이 아니지만 나의 산줄기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한 산줄기 보다 약2.4km가 짧음으로 인해 지맥이라고 부르기는 적당하지가 않다

실지로 이 산줄기를 따라가신 분도 몇분 계시는 것 같다

또 다음으로는 국사봉을 지나 오른 등고선상 630봉에서 북쪽 지장산으로 가는 산줄기로 잡을 경우 630봉까지 약22.6km와 지장산산줄기 약13.3km를 합치면 약35.9km의 산줄기가 되어 나의 분류체계로 분류한 덕유지맥 산줄기보다 약1.6km가 짧아 이 역시 지맥으로 분류하기가 적절치가 않다

그러나 나의 분류체계대로 흐르는 덕유지맥의 끝자락이 용담댐을 건설하면서 많이 훼손되었음으로 흐름을 다른 곳으로 바꾼다면 역시 맨 나중에 언급한 지장산으로 가는 산줄기를 지맥이라고 부르는 것이 타당성이 높을 것 같다

이상 설명은 나의 분류체계상 그렇다는 것이지 30km 이상 계속되는 산줄기 어느 것을 지맥이라고 부르더라도 나는 개의치 않음을 밝힌다

이렇게 덕유지맥의 흐름을 정하고 나면 덕유지맥은 덕유지맥 산줄기에서 대체적으로 북쪽으로 분기한 단맥 산줄기가 5개나 탄생이 되는 좀 특이한 산줄기 체계를 갖게 되는 것이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산경표 29, 30혈을 보면

114)白巖峰 分三歧-1, 2

(30혈)1-香積山 北來

曳峴

赤裳山城 茂朱南三十里

즉 백두대간 덕유산 백암봉에서 세줄기로 분기하는데 그 중에 한줄기가 북쪽으로 분기하여 향적산 예현 적상산성으로 흐른다

향적산은 지금의 덕유산 향적봉을 일컬으며 예현이라는 고개로 내려갔다가 무주 남쪽 30리에 있는 적상산성 지금의 적상산으로 흐른다고 기록하고 있다

고로 이 산줄기는 지금의 백두덕유지맥 일부와 백두덕유적상단맥 산줄기를 합한 산줄기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118. 백두덕유성지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무주 무풍

백도덕유단맥이 백두대간 덕유산 백암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향적봉을 지나

斗文산(△1051.2)에서 동북방향으로 분기하여 무주군 적상면과 설천면의 경계를 따라

金海산(△836.8, 3.7)-치마령(730)-成芝산(△992.2, 3.5/7.2)-

△1122.7봉(6/13.2)-청량재(970)-△727.8봉(4.7/17.9)-시루봉(547, 1.5/19.4) 지나

무주군 무주읍 장백리 30번 37번국도 상장백마을 남대천변 여의교(230, 3/22.4)에서 끝나는 약22.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19. 백두덕유적상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무주 이원

백두덕유지맥이 두문산 지나 도면상 895봉 지나 등고선상810m 지점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단지봉(△768.5, 2.6)-치목치(550)-赤裳산(△1029.2, 4.5/7.1)-1024봉-오동재(630, 2.5/9.6)-△689.9봉(1.8/11.4)-△439.3봉-428봉-19번국도(250, 3/14.4) 지나 무주읍 남대천변(170, 2.4/16.8)에서 끝이나는 약16.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0. 백두덕유마향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무주 이원

백두덕유지맥이 백두대간에서 분기하여 두문산 안성치 어둔산 지나

奉化산(△870)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적상면을 동서로 나누며 버드산(△510.8, 3.4)-

조금재터널(470)-임도(410, 1.4/4.8)-구리골산(△657.9, 2.4/7.2)-

시루봉(△499.0) 전위봉(470)-馬香산(△730.4, 5.5/12.7)-37번국도 늘목(190, 2.5/15.2) 지나 무주읍 남대천변(70, 1.5/16.7)에서 끝이나는 약16.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1. 백두덕유조항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무주 이원

백두덕유지맥이 두문산 봉화산 지나 마항치에서 올라간 도면상 692봉에서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부남면과 적상면의 경계를 따라 저수골재(530)-

佛堂산(△626.8, 2)-30번국도 고로치(430, 1.5/3.5)-九王산(△677.4, 1.4/4.9)-699봉-

775봉-鳥項산(△799.3, 5.5/10.4)-老姑산(541, 2.6/13)-황새목(△235.8, 1.8/14.8) 지나

37번국도 무주읍 용포리 잠두마을 금강변(190, 1.4/16.2)에서 끝나는 약16.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2. 백두덕유지장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무주

백두덕유지맥이 두문산 봉화산 국사봉 지나 등고선상 630m지점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진안군 안천면과 부주군 부남면의 경계를 따라 兄弟봉(△579.0)-30번국도 율현(490, 2.6)-

雙轎봉(629, 2/4.6)-방골재(430)-굴고개(550)-697봉-智藏산(△772.9, 4.6/9.2)-

智小산(△441.6, 2.7/11.9) 지나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안태골마을 금강변(190, 1.4/13.3)에서 끝나는 약13.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3. 백두망봉단맥

백두대간 동엽령에서 무룡산으로 가면서 오른 등고선상1390봉에서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망봉(1046.5, 3.1)-727번지방도로(3/6.1)-만봉(515.3)-임도-단지봉(3.5/9.6)-무주군 안성면 안성초교 59번국도 사거리-중부고속도로(1.6/11.2)를 지나 무주군 안성면 장기리 명천이 구량천을 만나는 곳(0.4/11.6)에서 끝나는 약11.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4. 백두시루단맥

백두대간 덕유산 삿갓봉에서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시루봉(1106.4, 4.1)-

매내미(628.8, 3.4/7.5)-중부고속도로-19번국도(1.2/8.7)-매방재산(775.5, 1.7/10.4)-

49번국지도 대고개(3.5/13.9)-512봉(1.2/15.1)-능길공동묘지 지나 무주군 동향면 능금리 양악천이 대양천을 만나는 곳(2/17.1)에서 끝나는 약17.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5. 백두천반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무주

백두대간 장수덕유산(서봉)에서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삿갓봉(769.3, 3.6)-중부고속도로-

19번국도 솔고개재(2.1/5.7)-634봉-임평리 내림마을 고개(0.8/6.5)-영구산(802.3, 3.7/10.2)- 임도-670봉-진안군 동향면 쇠룡골마을에서 누룩골마을을 이어주는 13번국도(4/14.2)-

도로(1.2/15.4)-천반산(646.7, 2.4/17.8)을 지나 진안읍 가막리

대량천과 금강이 만나는 곳(3.2/21)에서 끝나는 약2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6. 백두천반수락단맥

백두대간 장수덕유산에서 분기한 백두천반단맥이 서북측으로 1km 정도 가다가 등고선상1350m 지점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1082봉-743번지방도로 작은수비재(630, 3.3)-

깃대봉(930.3, 2/5.3)-19번국도 집재(510, 2.6/7.9)-중부고속도로 집재터널-

수락봉(759.5, 2/9.9)-도로삼거리(1.5/11.4)를 지나 장수군 천천면 오봉리 월천마을 계북천과 금강이 만나는 도로삼거리(4.1/15.5)에서 끝나는 약15.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7. 백두괘관단맥

백두대간 함양 백운산에서 북동측으로 분기하여 서래봉(1076, 2.2)-대방령-

37번국지도(2.9/5.1)-1035.4봉(1/6.1)-괘관산(1251.6, 3.2/9.3)-천황봉(1228, 1.2/10.5)-

등고선상1090봉(1.5/12)에서 북동측으로 백두괘관도성단맥을 떨구고 남진하여

16번군도 대광고개(490, 4/16)-독가촌임도(510, 1.4/17.4)-백암산(621.4, 1.4/18.8)-

24번국도(1.5/20.3)-24번국도-88올림픽고속도로(2.7/23)-중간마을-

1084번지방도로(1.2/24.2)월명도로-도로(2/26.2)를 지나 함양읍 백천리

위천이 남강을 만나는 곳(0.5/26.7)에서 끝나는 약26.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8. 백두괘관도성단맥

백두괘관단맥이 함양 백운산에서 분기하여 흐르다 괘관산 지나 함양군 서하면 지곡면 병곡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1090봉에서 북동측으로 분기하여 도성산(1044, 0.5)-

임도(590, 2.5/3)-661.2봉(1/4)-중부고속도로 함양터널(1.8/5.6)-무어산(367.8, 3.2/8.8)-

안의면사무소 24번국도(2/10.8)를 지나 안의면 석천리 남강변 석천교(0.6/11.4)에서 끝나는 약11.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2. 백두삼봉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함양 운봉 산청

백두대간이 무주 덕유산 함양 백운산 월경산을 지나 남하하면서 봉화산

가기 약1.5km전 무명 930봉에서 백두대간은 서남진하고 동남 방향으로 한줄기를 떨구니 바로 삼봉산으로 가는 줄기라

그 흐름을 살펴보면

무명930봉은 도면상으로 보면 장수군 번암면과 남원시 아영면 그리고 함양군 백전면의 삼면봉으로 함양군 자료에 의하면 “아홉새드리”라 지칭하는 곳으로 바로 이 봉우리에서 전북 남원시 아영면과 경남 함양군 백전면의 경계를 따라 올림픽고속도로와 37번국지도가 같이 지나가는 매치(450m, 7.5km)로 내려선다

안산(641m, 1.2/8.7)-진양치(530, 1.7/10.4)에서 남원군 인월면과 함양군 백전면의 경계를 따라 잠시 가다 鳶飛산(842.8, 1.4/11.8) 지난 810봉에서 인월면과 함양읍의 경계를 따라 곰실재(650, 1/12.8)에서 올라치면 도면상 霜산(서리산,五峰산, 871, 0.8/13.6)이며 함양군에서는 오봉산이라고 부르고 있다 여기서 동북으로 함양읍내로 가는 옥녀봉 능선을 떨구고 지맥은 서남방향으로 머리를 돌린다

팔령산성을 지나 24번국도인 팔령재(469.1, 3/16.6)로 떨어져서 남진을 하며 고도를 한없이 높이면 투구봉(1070, 2.5/19.1)어깨-1068봉-함양읍 죽림리 죽염의 효시인 인산농원 내려가는 큰골(1050, 2.2/21.3) 지나 오름짓을 하면 함양의 진산인 三峰산(1186.7, 0.5/21.8)이다

이곳에서 사방을 둘러보면 북으로는 덕유산줄기가 백두대간을 따라 장엄하게 펼쳐지고 황석산 기백산 쾌관산 바로 앞에 5개의 암봉이 도열한 오봉산의 멋진 자태와 남으로는 지리연봉들이 지척에서 손짓을 한다 천하제일 승경이 이곳이 아닐까 한다

삼봉산 정북쪽 아래로는 24번국도가 동서로 가르며 팔령재를 넘고 그 아래로 인산농장의 건물들과 황토방이 내려다보인다

현재 이 인산농장은 죽염공장과 황토방 전시실 자료관 식당 그리고 죽염 판매소를 상시 운영하고 있다 여름방학 휴가중에 가족과 함께 몇일 황토방 신세를 지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여기서 논의할 것은 과연 이 삼봉산이 지리산권이냐 아니냐 하는 것이다

백운산 능선은 까마득히 멀어 보이고 장엄한 지리산 능선이 코앞에서 한손으로 잡힐 듯이 바라보여 자칫 지리산권이라고 소개하는 이가 있는데 나는 감히 말하고 싶다 지리산권이 아니라 독립된 하나의 산군으로 파악할 일이라고........... 모산은 물론 함양 백운산이다

이제부터 순수한 함양군내로 들어가 함양읍과 마천면의 경계를 따라 동진을 하며 함양읍과 마천면과 휴천면의 꼭지점을 이루고 있는 삼면봉인 悟道봉(1030, 1.6/23.4)에서 동남방향으로 오도재 법화산가는 단맥을 떨군다

이 오도재는 함양읍과 마천면을 잇는 지름길로 1023번 지방도로로 고갯마루에는 웅장한 지리산제1문이 최근 완공되었으며 각종 시비와 오도령수호신위비와 판매소 주차장 그리고 변강쇠와 옹녀를 기리는 숫한 장승들이 각마을을 수호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애석하게도 지리산 주봉인 천왕봉이 보이질 않고 그 대신 여인네의 엉덩이나 풍만한 여인네의 젖가슴을 연상시키는 반야봉이 잘 보인다

마천면으로 조금 내려가면 지리산조망공원휴게소가 있어 숨가뿐 오름짓을 잠시 중단하고 지리산 능선을 바라보는 조망이 그지없이 좋아 올라온 보람을 느끼게 한다

이곳에서는 오도재에선 보이질 않던 천왕봉이 보이나 반야봉이 보이질 않아 조금은 미련이 남기도 한다

약간의 음식과 기념품을 파는 가게와 너른 주차장이 있고 경치를 바라볼 수 있는 날아갈 듯한 팔각정이 있다

제일 왼쪽에 있는 봉우리가 제일 높아 보이나 하봉이고 그 오른쪽으로 중봉 그 다음 봉우리가 지리산 주봉인 천왕봉이다

왼쪽어름으로 산줄기가 이어진듯하나 만수천이 임천강이 되어 경호강으로 흐르는 물길이 지리산과 삼봉산을 가르고 있어 산줄기 연결이 안된다 그런 연유로 삼봉산은 지리산권이 아니라 독립된 산군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지맥은 북동진하며 함양읍과 휴천면의 경계를 따라 우리나라 아름다운길 100선 안에 들어가는 지안치(410, 3.2/26.6)-선배치(350, 3.2/29.8)-

1001번 지방도로인 팥두재(290, 1.1/30.9)를 지나 옥매리와 휴천면사무소를 이어주는 3번군도 고개(230, 2.2/33.1)로 내려선다

花長산(△586.4, 2.5/35.6)을 지나 유림면내로 들어가 남쪽으로 가면 유림면사무소로 가는 1034번 지방도로(210, 2/37.6)를 거쳐 함양군 유림면 장항리 장항마을(130, 2/39.6)을 지나 남강과 임천강이 만나 경호강이 되는 어름에서 끝이 나는 약 39.6km의 산줄기를 마땅히 부를 이름이 없어

그 산줄기상 어머니 격이 되는 삼봉산의 이름을 빌어 백두대간 봉화산군에서 분기하였으니 백두삼봉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백두삼봉천령여맥

백두삼봉지맥 상산에서 북동측으로 분기하여 옥녀봉(790, 3)-천령봉(556, 2.3/5.3)-

뇌산임도(1.5/6.8)-24번국도를 지나 함양군 함양읍 이은리

구룡천과 위천의 합수점(2.2/9)에서 끝나는 약9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9. 백두삼봉법화단맥

백두삼봉지맥 삼봉산 지난 오도봉에서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1023번지방도로 오도재(2.2)-법화산(997, 1.2/3.4)-등고선상470봉(4/7.4)-

1001번지방도로(1.6/9)-장고고개(1.4/10.4) 지나 함양군 유림면 서주리 서주마을 서주천이 엄청강을 만나는 서주교(1.6/12)에서 끝나는 약1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30. 백두장백단맥

백두대간 수정봉 서남측 남원시 이백면 운봉읍 주천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730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728.2봉(1.2)-17번군도(210, 4/5.2)-장백산(455.5, 1.5/6.7)-할개미재 임도-

19번국도(2.9/9.6)-솟구리봉-200.8봉(1.5/11.1)을 지나 남원시 신촌동 원천천이 요천을 만나는 남원대교(1.3/12.4)에서 끝나는 약12.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31. 백두바래단맥

백두대간 지리산 고리봉에서 북동방향으로 분기하여 세걸산(1207, 3.1)-세동치-부운치-

1121봉(2.4/5.5)-팔랑치-임도(2.5/8)-바래봉(1165, 0.5/8.5)-덕두산(1149.9, 1.4/9.9)-

흥부골자연휴양림 도로(3.2/13.1)-월평도로(0.7/13.8)를 지나 광천변(0.7/14.5)에서 끝나는

약14.5km를 말한다

23. 백두구례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운봉 남원 구례

백두대간 지리산 만복대에서 분기하여 천마산으로 흐르는 산줄기로 그 흐름을 살펴보면

백두대간 정령치에서 지리산 만복대(1433.4m)로 오르기 전 1350m 정도 지점에서 서쪽으로 전라남북도 경계선을 따라 다름재(1030m, 3km)-영제봉(1030m, 0.7km/3.7km)-

국사봉(650, 3.5/7.2)-숙성치-밤재터널-밤재임도(489.7, 2/9.2)-가마봉(690, 1/10.2)-

견두산(774.7△, 1.7/11.9)-724봉(2.2/14.1)-639봉(1.5/15.6)-둔산치(530, 1/16.6)-

천마산(656.1△, 1/17.6)에서 전남북도계는 서쪽 섬진강가로 내려가고 지맥은 곡성군과 구례군의 경계를 따라 계속 남진하여-깃대봉(691, 2.5/20.1)-비득재(510, 1/21.1)-

두계치(424, 3.2/24.3)-형제봉(621, 1.5/25.8)-천왕봉(695△, 2.3/28.1)-

누룩실재(510, 1/29.1)-649봉(소양가지봉, 1.8/30.9)-갈미봉(494△, 2.1/33)-

까막재(350, 1.5/34.5)-깃대봉(241.7△, 1.5/36)-제비재(70, 1/37)-병방산(163, 1/38)을 지나 구례읍 병방마을 호남정맥 희아산에서 발원한 황전천과 만나는 섬진강가(50, 0.7/38.7)에서 섬진강물이 되는 도상거리 약38.7km 정도를 말한다

132. 백두구례덕음단맥

백두구례지맥 숙성치 서북측 등고선상550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348.2봉(1)-

19번국도 밤재휴게소(1/2)-60번국지도-중송도로1/3)-329.8봉(1/4)-

덕음봉(268.6, 3.1/7.1)-국립민속국악원 뒷능선(1/8.1)-5번군도(1.1/9.2)를 지나 남원시 노암동 송치천이 요천을 만나는 곳(0.8/10)에서 끝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33. 백두구례원통단맥

백두구례지맥 밤재 서남측 남원시 수지면 주천면 구례군 산동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670봉에서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60번국지도(4)-분투재-311.6봉-5번군도 문치(3.4/7.4)-

옥녀봉(271)어깨-원생도로(2.1/9.5)-원통산(332.5, 0.6/10.1)-6번군도 산성골도로(1.5/11.6)-

가마봉(279, 1.4/13)-광양~전주간고속도로(1.2/14.2)-금처봉(194.1, 0.8/15)-도로(0.7/15.7)-

5번군도(2/17.7)-비륵골-세전교회-730번지방도로(1.5/19.2)를 지나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 요천이 섬진강을 만나는 곳(1.3/20.5)에서 끝나는 약20.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34. 백두간미단맥

백두대간 지리산 성삼재에서 종석대로 가면서 오른 등고선상1310m 지점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시암재(1)-성삼봉에서 지리산국립공원과의 경계를 따라 상복골재(715, 3.3/4.3)-

간미봉(728.4, 1.2/5.5)에서 국립공원을 떠나 납재(633)-지초봉(601. 2.1/7.6)-

덕굴재 임도(1.1/8.7)-까치절산(297, 1.1/9.8)-7번군도 삼거리(1/10.8)를 지나 구례군 광의면 구만리 온당리에서 내려온 개울이 서시천을 만나는 곳(1.2/12)에서 끝나는 약1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35. 백두차일단맥

백두대간 종석대에서 서남쪽으로 분기하여 차일봉(1008, 2.2)-원사봉(578.8, 3.2/5.5)-

원사재(555.4)-8번군도(2.4/7.9)-버드실마을(1.5/9.4)을 지나 구례군 광의면 지천리 19번국도 서시천변 광의교(1.7/11.1)에서 끝나는 약11.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36. 백두형제단맥

백두대간 지리산 노고단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형제봉(912, 5.5)-형제봉재-

월령봉(749, 1.2/6.7)-천황치-삼배재-천행치-101.4봉-19번국도삼거리(4.7/11.4)-상촌마을을 지나 구례군 마산면 용두리 섬진강변(1/12.4)에서 끝나는 약12.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37. 백두왕시리단맥

백두대간 지리산 돼지령 인근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질매재(2)-질등(1145)-

문바우등(1198, 2.2/4.2)-느진목재(970, 1.5/5.7)-왕시리봉(1212, 1.9/7.6)-639.4봉(3/10.6)-

반곡마을-19번국도(2.7/13.3)를 지나 구례군 토지면 구사리 섬진강변(0.6/13.9)에서 끝나는 약13.9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백두반야여맥

백두대간 지리산 삼도봉 서북측0.5km 지점인 구례군 토지면 산동면 남원시 산내면의 삼면지점인 등고선상1570m지점에서 서북쪽으로 분기하여 반야봉(1732, 0.7)-중봉(1732)을 지나 남원시 산내면 부운리 반선 뱀사골계곡이 달궁계곡을 만나 만수천이 되는 곳(470, 7.3/8)에서 끝나는 약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38. 백두불무장등단맥

백두대간 지리산 삼도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불무장등(1446, 1.5)-통꼭봉(904.7, 3.6/5.1)-

당재(1/6.1)-황장산(942.1, 3/8.1)-새꺼미재-촛대봉(710, 2.1/10.2)을 지나 하동군 화개면

19번국도 화개천이 섬진강을 만나는 곳(50, 4.3/14.5)에서 끝나는 약14.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백두법왕단맥

백두대간 지리산 토끼봉에서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하동군 화개면 법왕리 법왕천이 화개천을 만나는 곳(8.4)에서 끝나는 약8.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백두오룡대여맥

백두대간 지리산 명선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오룡대를 지난 와운골 뱀사골 합수점(5)에서 끝나는 약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39. 백두영원단맥

백두대간 지리산 삼각고지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별바위등(1390, 1.7)-영원령(1292, 2.6/4.3)-

삼정산(1182.2, 2/6.3)-정성재-약수암0.3km 전(3.4/9.7)을 지나 함양군 마천면 군자리 근자천이 엄천강을 만나는 곳(1.8/11.5)에서 끝나는 약1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백두오송여맥

백두대간 지리산 덕평봉 서북측 0.7km 전 등고선상1410m 지점에서 북동측으로 분기하여

오송산(913. 3.5)을 지나 백무동계곡 하백무인근 강청천변(1.5.5)에서 끝나는 약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백두대성여맥

백두대간 지리산 덕평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화개면 대성리 대성교 대성천이 화개천을 만나는 곳(5.6)에서 끝나는 약5.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41. 백두예치단맥

백두대간 지리산 연하봉에서 동남측으로 분기하여 652.2봉(9)-예치터널(1/10)을 지나 신청군 시천면 신천리 내대천이 시천천을 만나는 곳(1.3/11.3)에서 끝나는 약11.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42. 백두창암단맥

백두대간 지리산 장터목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소지봉(2.5)-창암산(923.3, 5/7.5)을 지나 함양군 마천면 의탄리 의탄천이 엄천강을 만나는 곳(2.5/10)에서 끝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43. 백두써리단맥

백두대간 지리산 중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써리봉(1632, 1.7)-국수봉(1037.5, 4/5.7)-

국수재-구곡산(957.5, 6.3/12)-황점임도(3.4/15.4)를 지나 산청군 삼장면 대하리 삼장천이 덕천강을 만나는 곳(1.3/16.7)에서 끝나는 약16.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44. 백두써리대포단맥

백두써리단맥 써리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치밭목대피소-1470봉(1.6)-1018.2봉(5.2/6.8)을 지나 산청군 삼장면 대포리 삼장천이 덕천강을 만나는 곳(6.2/13)에서 끝나는 약1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백두추성여맥

백두대간 지리산 하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 추성마을 국골이 칠선계곡을 만나는 곳(5)에서 끝나는 약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백두두류여맥

백두대간두류봉에서 서북측으로 분기하여 또 다른 두류봉(1479, 1.6)을 지나 허공다리골이 칠선계곡을 만나는 곳(3.6/5.2)에서 끝나는 약5.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백두공기바위여맥

백두대간 지리산 독바위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또 다른 독바위-공기바위729.2봉(4.7)-

임도(2.5/7.2)를 지나 함양군 휴천면 동강리 오봉천이 엄천강을 만나는 곳(0.8/8)에서 끝나는 약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백두공기바위의탄여맥

백두공기바위여맥 독바위 가기0.3km전에 서쪽으로 분기하여 마천면 의탄리 의편 의탄천이 엄천강을 만나는 곳(6)에서 끝나는 약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45. 백두왕산단맥

백두대간이 산경표상 천왕봉에서 끝을 마치고 꼬리 부분을 타고 중봉 하봉을 거쳐 독바위 쑥밭재 외고개를 지나 오른 서왕등재에서 백두대간의 꼬리는 웅석봉으로 향해 달려가고 또 한줄기가 산청군 금서면내를 동서로 나누며 북쪽으로 왕산을 향해 달려간다

그 흐름을 살펴보면

읽는 방법 : 지명(고도m, 거리km/거리누계km)

서왕등재(970m)-오봉리와 수철리를 넘는 임도(550m, 1.6km)-601.3봉-고령토채취장 임도(550, 2/3.6)-왕산(923.2, 1.3/4.9)에서 동쪽으로 필봉산을 떨구고 단맥은 북진을 해 1001번 지방도로 툽뒤재(310, 2.7/7.6)-499.4봉-

내동고개(250, 2/9.6)-선바위산(285.7, 2/11.6)-

거창군 생초면 상촌리(110, 0.8/12.4) 남강천과 임천강이 만나 경호강이 되는 곳에서 백두봉화삼봉지맥을 바라보며 그 끝을 다하는 약12.4km의 산줄기로 그 줄기의 최고봉인 왕산의 이름을 빌어 백두왕등왕산단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146. 백두웅석단맥

백두대간 웅석봉 전위봉에서 분기하여 웅석봉(0.5)-1001번지방도로(3.6/4.1)-

석대산(534.5, 4.6/8.7)-22번군도 석대고개(2/10.7)-315.2봉-도로(2/12.7)-임도-

망해봉(256.8)-20번국도 살고개삼거리(2.7/15.4)를 지나 산청군 단성면 남사리 남사천이 남강을 만나는 곳(0.7/16.1)에서 끝나는 약16.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47. 백두시루단맥

웅석봉 전위봉인 경남 산청군 삼장면 산청읍 단성면 삼면봉인 1070봉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백두대간 꼬리를 가다가 20번국도 아미랑재에서 올라간 등고선상33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단성면과 진주시의 경계를 따라 시루봉(327, 4)-구태임도-268.7봉-도량임도(2/6)-

230.3봉(2/8)-1014번지방도로(1.6/9.6)-159.7봉(1.1/10.7)-145봉(2.1/12.8)을 지나 진주시 수곡면 원외리 광명마을 덕천겅변 덕천교(1.7/14.5)에서 끝나는 약14.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48. 백두바느단맥

웅석봉 전위봉인 경남 산청군 삼장면 산청읍 단성면 삼면봉인 1070봉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백두대간 꼬리를 가다가 100-1번 제마재를 지나 등고선상23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말바누재 임도(3)-1049지방도로 바느재(1/4)-사평동(1.9/5.9)을 지나 진주시 귀곡동 진양호 한가운데 남강댐을 마주보며 안타까운 손짓을 하며 진양호로 침잠하는 진양호변(5.2/11.1)에서 끝나는 약11.1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산경표따르기)

반응형

'산줄기수체계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산줄기  (0) 2016.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