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보은 푯대봉, 노성산, 국사봉, 피난봉, 항건산

꼴통 도요새 2017. 1. 13. 15:30

보은 푯대봉, 노성산, 국사봉, 피난봉, 항건산

 

1. 산행지: 푯대봉(438m), 노성산(328m), 국사봉(551m), 피난봉(394m), 항건산(398m)

2. 위치: 충북 보은군 수한면 차정리

 

9. 산행코스: 수리티재(해발 321m) 07:49 ~07:55 -푯대봉(0.438km, 해발435m) 08:10 -터널위(0.68km, 416m) 08:16 -425(0.678km) 08:20 -안부사거리(0.937km, 306m) 08:26 시루봉(우 꺽임, 1.28km, 450m) 08:40 456(우 꺽임, 1.88km) 08:54 -안부사거리(서낭당, 2.85km, 365m) 09:16 -급경사 오름길 -노성산(3.28km, 516m) 09:46 -전주이씨묘(3.48km, 481m) 09:53 -묵묘 10:02 안부(팔매실 고개, 4.03km, 391m) 10:04 -503.7(갈고산, 4.43km) 10:17 -노성산1(5.45km, 572.3m) 10:40 -되돌아서 503.7(갈고산, 6.39km) 10:57 -안부(묵묘) 11:03 낮은 봉 하나 넘고 -안부(6.78km, 425m) 11:10 묵묘 봉(우꺽임, 6.94km, 452m) 11:14 안부삼거리(우측 송평리 하산로 있음, 7.15km, 400m) 11:18 -폐광임도 11:21 -움막(7.58km, 445m) 11:33 -움막 우측 묘3기 있는 능선으로 -국사봉(산불감시초소, 7.87km, 551m) 11:50 ~11:55 -폐헬기장(8.10km, 510m) 12:01 -500(9.1km) 12:21 -566(9.5km) 12:37 우 꺽임봉(9.63km, 558m) 12:40 -506(10.43km) 13:03~13:30(중식) -급경사 내리막 -좌측 철조망 13:40 -고령신씨묘, 해주오씨묘, 옥천 전씨묘 -노성리고개(11.05km, 315m) 13:47 -노성리 입구(11.42km, 305m) 13:53 -저수지 상류 끝부근 우측 임도(12.07km, 290m) 14:02 -임도는 끝나고 벌목지 위 능선으로 520(금적지맥 길, 13.17km) 14:36 -급경사 내리막 -금적지맥 갈림길(13.5km, 470m) 14:50 -450(13.81km) 14:56 -*차정저수지 아래 우측 전답 있는 골짜기로 진입하면 능선 진입 수월함 - 능선 우측 사면길 따라 -끝에서 좌측으로 올라 -피난봉(14.89km, 394m) 15:25 -황룡사(15.24km, 285m) 15:37 -575번도로(15.95km, 230m) 15:56 -도로따라 좌측으로 -오정리 마을 조금 전 우측 세멘트 포장길로 진입(16.69km, 225m) 16:02 -임도옆 사과밭 지나며 세멘포장 끝 -임도 끝나고 소로길 -철망문(17.2km, 280m) 16:13 -철망 넘어 농원 임도길로 진행 임도 끝 철망 넘고 -조금 오르면 능선길(17.61km, 355m) 15:25 -길 좋지 않음 -370(17.75km) 16:29 -산약초재배지 16:35 -여기부터 능선으로 길 좋아짐 -(18.27km, 375m) 16:39 -항건산 삼각점봉(18.36km, 398m) 16:43 -의자(18.58km, 380m) 16:48 - 전망대(18.68kmn, 390m) 16:52 -항건산 정상석(18.74km, 398m) 16:55 ~17:00 -전망대 17:03 -이정표봉(19.14km, 320m) 17:09 -동정삼거리(19.6km, 205m) 17:19 -차정사거리(20.66km, 215m) 17:29 -수리티재(22.25km)

10. 특징
노성산

해발 516m로 충북 보은군 수한면 차정리의 회북면과 회남면의 경계에 있으며 금적지맥에 속하는 경사가 가파르고 지반이 약하여 등산하기에는 힘들지만 첩첩산중인 정상의 조망은 뛰어난 산이다

항건산

항건산은 산이 가파른 경사를 이루고 있고 산 정상에서는 밑으로 골을 이루는 모습을 가지고 있다.

수한면사무소에서 회인방면으로 25국도를 따라가다 보면 저수지로서는 드물게 큰 동정저수지를 만날 수 있는데 25국도는 동정저수지를 우측에 좌측에는 높고 낮은 산을 앞에 옆에 두고 굽이굽이 올라가 동정저수지를 보내고 오르막길에 올라서면 우측에는 동정초교가 있고 그 옆에는 산의 모습이 사람의 염통모양과 비슷하다 하여 염통산, 그리고 좌측에는 항건산이 있는데 유독 우뚝하게 선 모습이며 산은 가파른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산 정상에서는 밑으로 골을 이루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골을 이룬 산자락으로 물이 흘러 항건천을 이루어 산과 산 사이를 돌아가고 그 위에 있는 25국도에서는 항건산과 항건천, 항건절벽을 감상하기에 더할 나위 없다

 

한남금북금적지맥이란?

한남금북정맥이 속리산 천황봉에서 분기하여 안성 칠장산으로 가면서 탁주봉 구봉산 지나 구룡산어깨(410)에서 정맥은 서북쪽으로 흘러가고 한줄기를 남쪽으로 분기하여 보은군 회북면과 내북면의 경계를 따라 九龍(530, 0.5)-445.9-갈티고개임도-느티고개임도-385-94봉어깨(430, 5.5/6)에서 동쪽으로 한남금북금적보은단맥을 떨구고 서남진한다 446--수리티재도로(310, 3.6/9.6)-435.5-466-老城(507, 2.9/12.5)-503.7-501-노성리고개 도로(330, 4.5/17)-503.8(0.8/17.8)에서 남쪽으로 한남금북금적용호단맥을 떨구고 북진한다 575번지방도로 장선리 도로(310, 1.5/19.3)-거멍산(494.4, 3.9/23.2)-37번국도 문티재(310, 1.3/24.5)-德垈(573, 1.5/26)-531-614- 金積(652.0, 3.5/29.5)-건부랑재-358봉 지나 듬치재(정방재, 270, 3.2/32.7)로 내려선다 358-큰음달산(425, 1.5/34.2)에서 서남방향으로 한남금북금적여수울단맥을 떨구고 동진한다 370-싸리재임도(330, 1.5/35.7)-등고선상470(1/36.7)에서 동북방향으로 한남금북금적삼단맥을 떨구고 남진한다 404.4-377-길마재임도(310, 2.7/39.4)-491-472.9(2.2/41.6)-구비고개(310, 2.3/43.9)-國師(472, 0.7/44.6)-347(3.4/48) 지나 옥천군 청성면 합금리 보은읍내를 휘돌아 나온 보청천이 금강을 만나 금강물이 되는 곳(90, 0.7/48.7)에서 끝이나는 산줄기이나 그 끝부분이 자연스럽지 않아 산줄기의 흐름에 따라 합수점으로 가지 않고 제일 긴 산줄기를 따라가 보면 합금리 하금마을 금강변(90, 2.5/50.5)까지 연장시킬 수 있다 바로 이 산줄기에 이름이 없어 그 산줄기 중 가장 높은 금적산의 이름을 빌어 한남금북정맥에서 분기하였으니 한남금북금적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출처: 산경표따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