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리왕산
1. 산행지: 가리왕산(1,560m)
2. 위치: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북평면과 평창군 진부면에 걸쳐 있는 산.
9. 산행코스:
♠ 제 1 코스(5시간 35분)
회동버스종점(20분) - 심마니교(1시간 10분) - 어은동임도(1시간 55분) - 가리왕산(40분) - 중봉(10분) - 갈림길(30분) - 세곡임도(50분) - 회동버스종점
♠ 제 2 코스(약 5시간 30분)
회동버스종점 - 심마니교 - 어은동 임도 - 가리왕산 - 어은동 임도 - 심마니교 - 회동버스종점
♠ 제 3 코스(16.5km / 약 6시간)
숙암리(1:10) - 장구목이골입구(2:00) - 임도 - 가리왕산(1:00) - 중봉(1:00) - 오장동갈림길(0:50) - 임도 - 숙암리
♠ 제 4 코스(약 4시간 40분)
백일동(0:40) - 도치동(1:30) - 북릉안부(0:30) - 중왕산(0:20) - 남릉안부(1:40) - 백일동
♠ 제 5 코스(중왕산 - 가리왕산 종주산행 / 20.5km / 약 9시간)
백일동(0:40) - 도치동(1:30) - 안부(0:30) - 중왕산(0:50) - 마항재(1:20) - 1450봉(0:50) - 가리왕산(1:20) - 중봉안부(2:00) - 회동리
♠ 제 6 코스(중왕산 - 가리왕산 종주산행 / 약 8시간)
회동 버스종점 - 심마니교 - 어은동 임도 - 가리왕산 - 마항재 - 중왕산 - 1160고개 - 도치동 - 백일동
10. 특징:
가리왕산
북서쪽에 백석산(白石山, 1,365m), 서쪽에 중왕산(1,376m), 동남쪽에 중봉(1,433m)·하봉(1,380m), 남서쪽에 청옥산(靑玉山, 1,256m) 등이 솟아 있다. 북쪽 사면으로는 남한강의 지류인, 동강(東江)으로 흘러드는 오대천(五臺川)이 동남쪽으로 흐르다가, 나전리에서 조양강(朝陽江)과 합류한다. 옛날 맥국(貊國)의 가리왕(加里王)이 이곳에 피난하여 성을 쌓고 머물렀으므로 가리왕산이라 부른다고 하며, 북쪽 골짜기에 그 대궐터의 흔적이 남아 있다. 남쪽의 회동리에는 무연탄의 탄광이 있고, 회동리 일대에 분포하는 이른바 회동리 석회암층에서는 실루리안 코노돈트(Silurian Conodont)가 발견되어, 한반도의 지사연구(地史硏究)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한편, 회동리에서 용탄리에 이르는 사이의 침식면에는 석회암의 용식지형(溶蝕地形)인 돌리네지형(Doline地形)이 발달되어 있다. 이곳은 한반도의 북부 지방과 연결되는 고산지이기 때문에 주변에는 한대성 식물과 수림이 수해(樹海)를 이루고 있고, 자작나무 군락이 자생하고 있다. 이 밖에도 약초류가 풍부하고 각종 초본류의 꽃이 많아 벌꿀의 산지이기도 하다. 이 산에서 이어지는 능선에는 벽파재[碧波嶺]·성마령(星摩嶺)·마전령(馬田嶺) 등이 있어, 「정선아리랑」 등 많은 민요 가락들의 여운이 서려 있다. 이 산에는 특징 있는 뚜렷한 명소나 사찰 등은 없으나, 삼림과 계곡 등 자연 경관이 빼어나 이른바 갈왕산(가리왕산) 팔경을 이룬다. 이에는 상봉인 망운대, 가리왕성터에 있는 동심(東深)과 서심(西深)이라는 샘터, 중봉인 후룡봉(後龍峰)의 시녀암(侍女巖), 하봉의 백수암(白鬚巖), 가리왕산 북쪽 기슭의 계곡 여울인 장자탄(長者灘), 장자탄 위에 있는 용굴계곡·회동리계곡·비룡종유굴 등이 있다. 이들은 앞으로 관광 지구로의 개발이 기대된다.
산줄기이야기
한강영월가리왕단맥
백두대간 오대산 두로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한 한강정맥(기맥)이 흐르다 계방산 가기전 홍천군 둔내면과 평창군 진부면 용평면의 삼면지점에서 동남방향으로 분기한 영월지맥이 남하하다 구영동고속도로 속사리재 지난 평창군 용평면, 진부면, 대화면의 삼면봉인 白積산(△1141.2)에서 서남방향으로 한강영월남당단맥을 분기하고 동남방향으로 평창군 대화면과 진부면의 경계를 따라 동남방향으로 흐르다 평창군 대화면 진부면 정선읍의 삼면봉인 住王산(중왕산, 佳王산, △1376.1)에서 영월지맥은 서남방향으로 흐르고 동쪽으로 평창군 진부면과 정선읍의 경계를 따라 가리왕단맥이 분기하여 흐른다. 마항치(1070, 1)-可里王산(상봉, △1561.8, 2.5/3.5)-中봉(△1433, 2.1/5.6)-1343봉-下봉(△1380.3, 1.6/7.2)-1224봉-오두치임도(870, 2/9.2)-오두치(790)-805봉-861봉-상정바위봉(910)-민둥재(870)-民屯산(△975.1, 5.1/14.3)에서 동남방향으로 飛鳳산(△827.8, 여맥)을 떨구고 동진하여 877봉을 지나 59번국도 반점치(470, 3.5/17.8)로 내려선다. 이후 백두금대(대덕)지맥 상정바위에서 내려다보이는 대한민국전도를 백두산부터 해남 땅끝마을까지 걸어가면서 정선선 기차굴인 덕송굴 위를 거쳐 △533.4봉을 지나 그 산줄기 끝 정선읍 문곡리 월천(다래뜰)마을에서 조양강물이 되는 곳(450, 3.3/21.1)에서 끝나는 약21.1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산경표따르기)
'강원도 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척 가곡 중봉산, 응봉산, 범바위봉 (0) | 2017.01.19 |
---|---|
정선 노추산, 아리랑산, 사달산 (0) | 2017.01.19 |
평창 금송산, 괴밭산, 무당봉 (0) | 2017.01.13 |
강릉 오봉산 (0) | 2017.01.13 |
정선 문래산. 자후산. 위령산 (0) | 2017.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