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10

대한광복단기념공원[大韓光復團記念公園]

대한광복단기념공원[大韓光復團記念公園]독립운동단체 대한광복단을 기리기 위해 조성한 공원으로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산법리에 있다. 1913년 12월 경상북도 풍기(현 영주시 풍기읍)에서 조직된 비밀결사 독립운동단체인 대한광복단(풍기광복단)의 정신과 업적을 기리는 공원으로, 국가보훈처가 지정한 현충시설이다. 역사교육장으로 활용하고, 추모제전 공간으로 이용하기 위해 사단법인 대한광복단 기념사업회가 주축이 되어 1995년 11월 17일에 조성하였다. 부지면적은 5만 8,392㎡이고, 공원 조성에 투여된 사업비는 총 52억 2,000만 원이다. 대한광복단추모탑·대한광복단기념비·독립운동영주기적비·무공수훈자전공비 등 상징조형물 1기와 기념비 3기, 기념관(지하 1층·지상 3층)과 추모제단, 운동장, 화장실·주차장·휴..

유적및 전설 2025.05.08

봉도각(鳳島閣)

봉도각(鳳島閣)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시대 정자봉도각(鳳島閣)은 순흥부사 조덕상(趙德常)이 건립하였는데, ‘봉도(逢島)’란 신선이 산다는 봉래(逢萊)를 뜻한다. 봉도각관련항목 보기은 순흥면행정복지센터 건물 북쪽 경로소 앞쪽에 자리 잡고 있다. 봉도각 자리는 원래 조선시대 순흥도호부의 조양각(朝陽閣) 북쪽에 있던 노송이 드리워진 뒤뜰이었다. 봉도각은 1754년(영조 30)에 조덕상이 승운루(勝雲樓)라는 누각을 짓고, 그 서편에 볏논을 파서 네모진 연못을 만들어 그 가운데 섬을 쌓고 세운 정자이다. 연못 둘레에는 단을 만들고 꽃나무를 심어 운치 있는 동산을 만들어 당시 관원, 아전들의 휴식소로 삼았다고 한다. 봉도각은 조선시대에 약국의 기능을 하며 ‘경로국(敬老局)’으로 불리다가 이후 향촌..

유적및 전설 2025.05.08

중용의 정치인 홍사덕의원님

중용의 정치인 홍사덕의원님1943년 3월 5일 경상북도 영주군(現 영주시) 순흥면 내죽1리 속수마을에서 아버지 홍난유(洪蘭裕, 1923. 3. 9 ~ 1969. 3. 26)와 어머니 반남 박씨(1926. 3. 14 ~ 2017. 10. ?)[13] 사이의 4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증조부대에 이를 때까지 재지사족(在地士族)이었고 하인들을 보유한 명문가 집안에서 자랐다. 순흥국민학교를 다니다가 3학년 때 영주국민학교로 전학해 졸업했고, 이후 영주중학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우수한 성적으로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서울대학교 재학 중 대한민국 해병대에 병 130기로 입대해 해병대사령부 의장대에서 의무복무하였다. 졸업 후에는 중앙일보에 입사하여 기자로 일하였..

고마우신 분 2025.05.08

제민루와 삼판서 고택 & 석조여래입상

제민루와 삼판서 고택 & 석조여래입상위치: 경북 영주시 영주동탐방일시: 2025년 5월 3일(토)구수산 서쪽에 제민루(濟民樓)와 삼판서 고택이 있다. 제민루는 조선 때 약재를 관리하던 곳으로 오늘날 보건소와 같은 구실을 하다가 나중에는 사대부들이 유영(遊詠)하던 곳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원래 고려 공민왕 20년(1371) 군수 하륜이 구성산 동남쪽(현 영주감리교회)에 창건했다. 오랜 세월 중수와 퇴락을 거듭하다가 영주수해 후 이곳에 복원했다. 그 후 2007년 중건하여 현재 모습을 갖췄다. 황해도 감사(監司)를 지낸 정옥(鄭玉,1694-1760)의 중수기에 보면 「백성들의 병을 다스린다하여 ‘제민루(濟民樓)라 한다」고 썼다. 삼판서 고택은 세 분의 판서가 연이어 살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원래 구성산 ..

유적및 전설 2025.05.05

고택 여행(영주 금광리 & 무섬마을)

고택 여행(영주 금광리 & 무섬마을)영주 금광리주소: 경북 영주시 평은면 금광리영주호는 영주댐이 만들어지면서 조성된 인공호수이다.낙동강 유역의 수질개선과 용수 확보를 위해 지난 2016년에 만들어졌다고 한다.댐이 만들어지면서 마을이 수몰되고 산들은 크고 작은 섬이 되어 또 다른 아름다운 풍경을 전해주고 있다. 수몰된 마을에 있었던 고택들을 이 곳으로 옮겨 놓았다고 한다.무섬마을영주 무섬마을은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에 위치해 있는 전통마을로 국가 민속 문화재 제278호이다. 무섬마을은 물 위에 떠있는 섬이라는 뜻의 수도리의 순 우리말로 원래 물섬이라 불리였다. 모두 48가구에 100여명(2004)의 주민이 살고 있는데 이중 38동이 전통가옥이고 16동은100년이 넘은 조선시대 후기 사대부 가옥을 그대로 유지..

볼거리소개 2025.04.15

영주 박봉산, 두월산

영주 박봉산, 두월산1. 산행지: 박봉산(璞峰山 △389.3m), 돌봉(360.2m), 진혈봉(334m), 두월산(斗月山247.7m)2. 위치: 경북 영주시 이산면 용상리, 두월리3. 일시: 2025년 4월 10일(목)4. 날씨: 맑고 따스하고 옅은 박무5. 누구랑: 나 홀로6. 탐방거리 및 소요시간: 16.32km/ 5시간 30분7. 들머리/ 날머리: 배해,용상골버스승강장[출발/ 도착]8. 탐방코스: 배해,용상골버스승강장→박산교회(용상1리경로당)→배해 표지판(저수지)→삼거리 갈림길→박봉산 정상까지 150m 이정판(일명 두리봉)→박봉산 정상 왕복→돌봉→진혈봉→동창재→등산로입구 동창재까지 1.2km표지판→두월1교차로→두월교→어사또마을(두월2리)표지석→봉화금씨묘→연안김씨묘→도로건너→두월산→통훈대부묘→어사또마..

경상북도 2025.04.13

영주 돗밤실 둘레길

영주 돗밤실 둘레길1. 산행지: 망월봉(237m), 약수봉(269m), 제비봉(279m), 명학봉(279m), 묘봉(216m)2. 위치: 경북 영주시 이산면3. 일시: 2024년 9월 22일(일)4. 날씨: 맑고 선선함5. 누구랑: 강일형님과6. 탐방거리: 4.5km/ 2시간[쉬엄쉬엄]7. 들머리/ 날머리: 이산면사무소 돗밤실둘레길 주차장[출발/ 도착]8. 산행코스 : 이산면사무소뒤 돗밤실 주차장 →달맞이 포토죤 → 망월봉 정상 → 약수봉 정상 → 출렁다리 → 제비봉정상 → 송천교 → 명학봉 정상 → 도로건너 → 묘봉 정상 → 돗밤실 주차장9. 특징 돗밤실 둘레길은 영주시 이산면 행정복지센터가 출발점이자 도착지다.  행정복지센터 뒷편으로 널찍한 주차장과 화장실이 마련되어 있다.  마을에 꿀밤나무가 많아 ..

경상북도 2024.09.30

영주 이자산, 원적봉

영주 이자산, 원적봉  1. 산행지: 이자산(二子山621m), 원적봉(963m)2. 위치: 경북 영주시 순흥면 배점리와 태장리 사이에 위치한 산 3. 일시: 2018년 6월 10일(일)4. 날씨: 흐린 후 맑음5. 누구랑: 나 홀로6. 소요시간: 5시간 41분/ 선배님만나 1시간 정도 휴식시간 포함[이동거리/ 9.66km]7. 들머리/ 날머리: 태장1리 마을회관[원점회귀]8. 산행코스: 태장1리 마을회관→정혜사 방향→전방 7~800m에서 좌측으로 진입→이자산 갈림길→이자산 왕복→소백산 조망터→원적봉→약초 막사→상태장→정자→태장1리 마을회관9. 특징: ■이자산(二子山621m)은 선조때 정승 유영경(柳永慶)의 둘째 아들(二子)이 서거하여 이 산에 입산 하였다 하여 이자산(二子山)이라 칭하였다. 유영경(柳永慶..

경상북도 2018.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