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감암산 부암산

꼴통 도요새 2017. 2. 21. 05:03

합천 감암산 부암산

 

1. 산행지: 감암산(嵁巖, 830m), 부암산(보암산: 수리봉, 695.6m)

2. 위치: 경남 합천군 가회면

3. 일시: 2017년 2월 19일(일)

4. 날씨: 맑고 따스함

5. 누구랑: 나 홀로

6. 소요시간: 4시간 20분

7. 난이도: 중/ 상급

8. 들머리/ 날머리: 대기초교/ 동곡마을(서어나무)

9. 산행 코스: 대기초교~대기보건소~정자~문수암~묵방사 입구~목교~거북바위~누룩덤~828봉~감암산 정상~암수바위~부암산 정상~동곡, 이교마을 이정표에서 동곡 방향~두번 째 동곡, 이교마을 이정표에서 동곡 방향~동곡마을(서어나무)

10. 특징:

감암산

합천군 가회면 중촌리와 산청군 차황면 상법리 경계지역에 있는 산이며, 철쭉으로 유명한 황매산 아들의 山이라 할 수 있다. 산 전체가 하나의 커다란 바윗 덩어리로 보이는 바위산이며, 감암(嵁巖)은 산이 높고 험한 모양 또는 바위가 높고 험함의 뜻으로 감암산이라 한다 정상에는 정상석과 나무로 된 마루가 있으며 모산재 그리고 황매산과 삼봉이 시원하게 보인다.

부암산

 합천군 가회면과 산청군 신등면과의 군계선상에 자리하고 있으며, 백두대간 남덕유산에서 동남쪽으로 내리뻗은 진양기맥상의 황매산을 모산으로 남쪽으로 가지쳐 내려오면서 연이어진 베틀봉~감암산~수리봉~부암산이란 각기 다른 지명을 갖긴 해도, 예전엔 감암산 이후는 모두 부암산으로 칭했었다. 그리고 칠성바위에서 동쪽으로 움푹 패인 계곡 이쪽 저쪽의 암봉을, 윗음달덤 아랫음달덤으로 구분하기도 했었다. 

모산재로 표기된 곳은 감암산으로 따로 불렀었는데, 1994년도에 합천군에서 감암산 등산로에 철제 사다리 세우고 모산재란 정상석을 세우면서 모산재로 부르기 시작했다. 산청군에서는 1997년부터 차황면 청년회가 황매산철쭉제를 시작하면서 황매산 연계코스로의 모산재는 전국적으로 더욱 유명해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새로 생겨난 지명들은 아직도 혼미를 거듭하고 있는바, 그 위치를 상기 지형도에 대충 올려놓았다. 전체적인 산세가 마사토 형질의 암릉코스로 연결되는 이번코스 상층부는 봄철쭉 가을억새로 유명하다. 그러나 칠성바위, 용마바위, 황포돛대바위 ...등의 기암괴석도 유명하다.

 

산줄기이야기

감암단맥

황매산 정상에서 진양기맥은 북동쪽으로 흘러가고 한줄기를 남쪽으로 분기하여 임도(890, 1.3)로 내려서게 되는데 우측으로 임도따라 잠시 가면 영화 “단적비연수”를 촬영했던 장소로 산속에 작은 원시마을이 조성되어 있다 봄이 오면 수십만평의 고원에 철쭉이 선홍의 빛깔을 연출하여 국내 어느곳에서도 찾을 수없는 최고의 비경을 자랑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주제공원이 있으며 더 내려가면 영화산장 황매산장을 지나 차황면 법평리 8번군도에 이르게 된다. 베틀봉(946.3, 0.5/1.8)-이검이고개-천황재-감암산(830, 1.8/3.6)-부암산(695.6) 전위봉인 등고선상710봉(2.6/6.2)에서 동쪽으로 합천군과 산청군의 경계를 벗어나 합천군 가회면으로 들어가 동곡임도(310, 1.2/7.4)에 이르고 등고선상350봉에서 다시 경계능선을 만나 258.4봉-60번국지도 싹고개(190, 2.3/9.7)-213.9봉(2.1/11.8)-공원묘지-1089지방도로 삽재마을(90, 2.1/13.9) 지나 신등천변(90, 0.3/14.2)에서 끝나는 약14.2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산경표따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