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연꽃

꼴통 도요새 2017. 7. 3. 08:52

연꽃

동의어: 연실(蓮實), 수지단(水芝丹), 택지(澤芝)

다른 표기 언어:

 

본초명: 고의(苦薏, Ku-Yi), 백련자(白蓮子, Bai-Lian-Zi), 석련자(石蓮子, Shi-Lian-Zi), (, Lian), 연근(蓮根, Lian-Gen), (, Ou), (, Xia)

학명: Nelumbo nucifera

분포지역: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연못, 방죽

번식: 분근·

약효 부위: 뿌리(연근·

생약명: 석련자(石蓮子)

: 1~2m

: 수련과

생활사: 여러해살이풀(수생식물)

채취기간: 가을(), 9~이듬해 3(뿌리)

취급요령: 날것(뿌리) 또는 말려(열매) 쓴다.

특징: 평온하며, 달고 떫다.

독성여부: 없다.

1회 사용량: 2~4g, 뿌리 20~35g

주의사항: 많이 먹어도 몸에 해롭지 않다.

 

꽃말

순결, 군자, 신성, 청정

지름 30~50cm인 원형의 큰 잎이 뿌리줄기에서 나온 긴 잎자루에 달리는데 원기둥 모양인 잎자루는 잎 뒷면의 한가운데에 달리며 짧은 가시 같은 돌기가 있다. 또한 잎자루 안에 뚫려 있는 구멍은 땅속줄기의 구멍과 통한다. 흰빛이 어린 녹색의 잎이 꽃잎과 더불어 수면 위에 떠서 방패 모양으로 펼쳐지며 물에 잘 젖지 않는다. 잎맥이 사방으로 퍼져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7~8월에 지름 15~20cm의 흰색 또는 연분홍색 꽃이 꽃줄기 끝에 하나씩 달려 피는데 한낮에는 오므라든다. 꽃줄기에 가시가 있다. 녹색의 꽃받침 조각이 4~5개 달려 있다. 꽃잎은 길이 8~12cm, 나비 3~7cm이고 거꿀달걀꼴 또는 타원형이다. 꽃턱은 크고 해면질이며 길이와 지름이 각각 10cm 정도로서 거꾸로 된 원뿔형이고 표면은 편평하다. 수술은 여러 개이다.

열매

9~10월에 길이 2cm 정도인 타원형의 수과가 달려 까맣게 익는다. 씨는 꽃턱의 구멍에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방법

뇌지(雷芝연하(蓮荷만다라화·수단화(水丹花연화(蓮花하화(荷花(염거(簾車)라고도 한다. 황백색의 굵은 뿌리줄기가 땅 속에서 길게 옆으로 뻗는데 원기둥 모양이고 마디가 있으며 해마다 마디가 생긴다. 가을에는 특히 끝 부분이 굵어진다. 진흙 속에 자라면서도 청결하고 고귀한 식물인데 더러운 연못에서 깨끗한 꽃을 피운다 하여 예로부터 선비들의 사랑을 받아 왔다. 또한 불교에서는 연꽃이 속세의 더러움 속에서 피되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청정함을 상징한다 하여 극락 세계를 상징하는 꽃으로 쓴다. 또 연꽃이 종자를 많이 맺기에 민간에서는 다산의 징표로 삼았다. 연못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논밭에 재배하기도 한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뿌리를 연근(蓮根), 열매를 연밥이라고 하며 씨와 함께 식용한다. 또 연잎으로 만든 죽은 정력을 증진시키는 데 탁월한 효험이 있어, 중국 청나라 말기 태평천국(太平天國)의 창시자인 홍수전(洪秀全)은 이것을 상용(常用)하고 수백의 여인을 거느렸으며, 이 밖에 중국 역대의 풍류 황제들 가운데에는 이것을 상용해서 쇠약해진 원기를 되찾아 정력이 왕성하게 되었다는 구전도 있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산제 또는 쪄서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씨의 껍질을 벗긴 알맹이는 주로 신경계와 순환계 질환을, 연근은 순환계와 이비인후과 질환을 다스린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건지황·숙지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를 쓰지 않는다.

효능

주로 신경계·순환계·이비인후과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혈, 강심제, 강장보호, 강정제, 건망증, 건위, 고혈압, 구내염, 구토, 근골위약, 기관지염, 노이로제, 다몽, 당뇨병, 대하증, 동상, 명목, 몽설, 방광염, 백전풍, 백태, 번갈, 변비(조시), 변혈증, 보로, 보신(補腎), 보신(補身보익, 보폐·청폐, 복수, 부인병, 부종, 불면증, 붕루(혈붕), 비뉵혈, 비만증, 비염, 비증, 비창, 빈혈증, 산후증, 산후풍, 설사, 소갈증, 소화불량, 수종, 숙취, 식체(·곶감), 신경쇠약, 신경통, 신장기능강화, 신장병, 심계항진, 심계불녕, 심장기능강화, 심장병, 안신, 안태, 알레르기, 애역, 야뇨증, 양혈거풍, 어혈, 열독증, 오심, 요실금, 요통, 요혈, 우울증, 원기부족, 월경불순(월경과다), 위궤양, 위장염, 유정증, 유종, 이뇨, 이수, 이완출혈, 장출혈, 정신피로, 조루, 조비증, 종창, 주독, 중독(니코틴중독, 버섯중독), 진통, 천식, 청열, 초조감, 출혈, 충치, 치질, 치통, 탈항, 토혈, 편도선비대, 편도선염, 폐결핵, 폐렴, 피부미용(피부노화방지), 학질, 해열, 허약체질, 협심증, 화농, 황달, 흉통

소아질환: 소아이수, 소화불량, 탈항, 헛배 나온 데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시꽃  (0) 2017.07.03
담배꽃  (0) 2017.07.03
금계국  (0) 2017.06.30
옥수수   (0) 2017.06.28
호박   (0) 2017.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