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박달산, 무선봉, 박삼봉
1. 산행지: 박달산(480m),공간산(225m), 소추산(208.4m)
2. 위치: 영동군 용산면 율리,
9.산행코스: 구 송천교 산행기점-박달산 정상-전주동-구 송천교 원점회귀(약4Km)
10. 특징:
박달산의 전설
전설의 고향에 나왔던 그 유명한 '내다리 내놔'에 관한 박달산의 전설을 좀 더 살펴보면...
오랜 병중에 있는 남편을 살리기 위해 갖은 약초를 먹였음에도 남편의 병세가 악화일로에 있던 한 여인에게 길을 가던 스님이 " 박달산 호미진 골짜기에 있는 덕대골에, 장사 지낸 지 3일이 안된 시체가 있는데, 그 시체의 다리를 잘라 고아 먹이면 병이 낫는다 ” 고 하자 그 부인이 칼을 들고 덕대골을 찾아가 죽은지 3일이 안된 시체를 발견하고, 시체의 한쪽 다리를 잘라내자 죽은줄 알았던 시체가 벌떡 일어나 "내 다리 내놔" 하며 부인을 쫒아온다. 밤새 자신을 쫒아오는 시체에게 다리를 뺏기지 않기위해 천신만고 끝에 집에 도착하였는데 시체가 집까지 따라와 "내 다리 내놔" 라며 소리를 지르자 부인이 팔팔끓는 가마솥에 시체 다리를 집어넣자 그 시체가 그 자리에서 그냥 쓰러지고 말았다고 한다. 시체 귀신을 잘 묻어주고, 다리를 푹 고아서 남편을 먹였더니 병이 나았다는 이야기다.
병이 회복된 남편이 부인에게 자신이 낫게된 경위를 듣고서는 그 시체에게 보답을 하기위해 장사를 잘 지내주려고 다시 부인과 함께 시체 귀신을 묻었던 곳을 파헤쳐 보니 그곳엔 전설속에나 나온다는 천년묵은 동자삼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부인이 시체의 다리를 잘라서 고아먹인 탓에 그 동자삼도한쪽 다리가 잘려져 있었다고 한다. 박달산의 덕대골은 지금 어디인지 찾을수 없지만, 천년묵은 동자삼이 나왔다는 산이니 어딘지 모르게 영험한 약초가 있을 법한 기운이 풍기는것도 같다.
율리와전주동
영동군 용산면 율리, 율리 라는 지명은, 고려시대에 이곳에 율곡소가 있었으며, 박달산 아래여서 밤실, 율곡 이라 불렀다고 한다. 아담하고 조용한 전주동 마을 한자로 田朱洞 라고 쓴다. 아쉽게도 마을 이름에 대한 유래는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없었다.
영동 박달산, 무선봉, 박삼봉
1. 산행지: 박달산((480.5m).무선봉(367.7m),박삼봉(374.3m)
2. 위치: 충북 영동군 용산면 율리
6. 산행시간: 오전9시40분~오전11시10분(1시간30분)
8. 산행코스: 구 송천교 산행기점-박달산 정상-전주동-구 송천교 원점회귀
참고] 구 송천교 옆 산행
9. 특징:
율리
고려시대에 이곳에 율곡소가 있었으며, 박달산 아래여서 밤실, 율곡 이라 불렀다고 한다. 아담하고 조용한 전주동 마을, 전주동 마을은 한자로 田朱洞 라고 쓴다. 아쉽게도 마을 이름에 대한 유래는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없었다. 박달산 정상에서 바라본 백화산 풍경 낮지만, 박달산에서 바라본 백화산 방향의 그림은 장쾌하기 그지없다. 정상에는 산불감시초소와 감시탑이 세워져 있다. 흠이라면 정상부가 협소했고,서쪽 방향으로는 조망이 가려졌다는 것과 연결할만한 주변 산이 없다는 점이었다. 일대를 호령하는 듯 우뚝서서 주변을 내려다보며 기세를 드러내는 백화산 백화산 한성봉 왼쪽으로 금돌산성이 있다. 신라가 당나라와 연합하여 백제를 공격할 때 무열왕 김춘추가 머무르던 곳으로, 백제가 부하장수의 배신으로 멸망의 길을 걷게 되자 금돌산성에서 나와 소부리성으로 가서 의자왕과 태자 부여 융을 당하에 꿇어앉히고 소정방과 당상에 앉아 의자왕으로 하여금 술을 따르게 하여 신하들이 탄식하고 울었다고~~~
무선봉(367.7m)
충북 영동군 용산면 산저리
산행시간: 오전11시30분~오후12시30분(중식시간포함 1시간)
산행코스: 용연사 관음보살상-능선삼거리-무선봉정상-능선삼거리-관음보살상
참고] 10 여분 거리의 용연사 진입로인 예전교를 건너 진입로를 따라 용연사 직전의 고갯마루인 용연사 시주공덕비와 관음보살상이 있는 작은 공터에 차량를 주차하고 내려서니 바로 맞은편 절개지 사면으로 표지기 하나와 함께 무선봉 등산로 들머리가 보입니다.
박삼봉(374.3m)
산행시간: 오후12시55분~ 오후2시(1시간05분)
산행코스: 백자전리 한곡백자전로-계곡갈림길-좌능선-경북. 충북도 경계 능선 분기봉(장수 황씨묘역)박삼봉 정상-우능선-계곡갈림길-한곡백자전로 산행기점 원점회귀
참고] 용산면 백자전리 514번 지방도와 한곡백자전로가 갈라져 나가는 삼거리에서 북쪽으로 400m정도 진행한 골짜기 입구에 차량을 주차하고
산줄기이야기
백두팔음박달여맥
'충청북도 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백산 둥지봉 (0) | 2017.08.25 |
---|---|
음성 수채음달산, 동네마을 번든산, 칠성산, 령산, 용바위산, 두껍바위산, 이진봉 (0) | 2017.08.25 |
제천 두무산 (0) | 2017.08.04 |
영동 천만산 천마령 삼봉산 (0) | 2017.07.14 |
제천 국사봉, 마미산, 대덕산 (0) | 2017.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