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지도

영월 망산, 설구산, 비산

꼴통 도요새 2017. 8. 22. 10:40

영월 망산, 설구산, 비산

 

10. 특징: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과 수주면에 위치한 주천강변에 자리잡은 해발 400~600미터대의 여러개의 산이 있는데 약 12~18km에 이르는 다양한 코스를 만들어 능선 종주를 할 수 있는 곳이다. 특히, 수주면사무소를 기점으로 하는 8자 종주가 가능하여 자가용을 이용한 산행지로도 좋은곳이다. 수주면사무소에서 산행을 시작하여 설구산, 쌍수산, 사태봉을 거쳐 비산, 유치봉, 벌통뱅이산을 타고 도천리로 내려서는 코스는 대략 12km의 거리이며, 이후 도로를 따라 3.5km를 더 걸어야 수주면사무소에 도착한다. 이렇게 산행하는데 6시간 정도를 잡으면 된다. 위의 코스에 망산을 추가하면 사태봉에서 망산을 왕복하는 약 2km가 추가되며, 이 경우 전체코스는 18km에 육박하게 된다. 본인의 능력에 맞게 산행코스를 잡는 다면 무리없는 좋은 산행이 될 수 있다. 체력이 좀 약하다고 느낀다면 12km를 탄후 도천리에서 버스나 택시를 불러 이동하고, 좀더 힘이 있다면 도로를 걸어 수주면사무소로 돌아가면 된다. 체력에 자신이 있는 분들은 망산을 코스에 포함시켜 18km의 긴 산행을 즐기는 것도 좋다. 전체적인 등산로는 솔잎이 많은 부드러운 숲길이나, 비산과 유치봉 주변의 등산로는 가파르고 미끄러우므로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비산에서 유치봉으로 가는 능선을 놓치고 계속 가는 경우가 있으므로 독도에 유의해야 한다.

酒泉

酒泉 표지석 아래에는 주천의 유래가 새겨져 있는데, "조선시대 성종때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 의 문헌에 따르면, 이 샘에서 처음에는 술이 나왔는데 양반(兩班)이 오면 약주(藥酒)가 나오고, 천민(賤民)이 오면 탁주(濁酒)가 나왔다고 한다. 또 설화에 의하면 조선시대 한 천민이 양반 복장을 하고 와서 약주가 나오기를 기다렸으나, 약주는 나오지 않고 평소와 같이 탁주가 나오자 화가 나서 샘터를 부순 이후에는 술이 나오지 않고 맑고 찬 샘물이 나오게 됐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라는 내용입니다.

산행코스

1 코스 (8자 원점회귀, 16km, 6시간 소요) 

수주면사무소 - 설구산 - 쌍수산 - 저치재 - 사태봉 - 비산 - 유치봉 - 벌통뱅이산 - 밧도내마을표지석 - 도로 - 수주면사무소


 

산줄기이야기

 

치악설구단맥

치악기맥이 한강정맥에서 분기하여 태기산 치악산을 지나 감악산(950)에서 용두산(871)으로 가면서 용두산 가기 약1.2km전 등고선상 870봉 어깨인 등고선상830m 지점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630.6(2.5)-1번군도 오미고개(510, 1.3/3.8)-충북과 강원도 도경계봉(570, 1.2/5)을 만나 도경계선을 따라 675.3(1.5/6.5)을 지난 제천시 송학면, 원주시 신림면, 영월군 주천면의 삼면지점인 등고선상610m 부근(0.7/7.2)에서 도경계를 떠나 원주시 신림면과 영월군 주천면의 경계를 따라 간다. 88번국지도 신도로인 솔치터널위(510)-88번국지도 구도로인 솔치고개 삼거리(450, 2.5/9.7)-(694.3, 1.5/11.2)에서 면경계를 떠나 주천면을 남북으로 나누며 임도고개(470, 0.6/11.8)를 지나면서 임도를 몇 번인가 만나면서 마수고개(350, 2/13.8)-사태봉(450, 1.2/15)-2번군도 저치재(도천재, 310, 0.7/15.7)-雪龜(503.1, 1.1/16.8)-부엉바위-영월군 수주면 무릉리 중방동 수주면사무소 등산로입구(270, 1.5/18.3)를 지나 주천강을 건너는 제1무릉교(250, 1/19.3)에서 끝나는 약19.3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