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마타리
동의어: 향마타리
분류: 마타리과
서식지: 주변에 습기가 많고 햇볕이 잘 드는 곳
크기: 키는 약 30㎝ 정도
학명: Patrinia saniculaefolia Hemsl.
용도: 뿌리는 약재
분포지역: 중부 이북
생활사: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6~7월
결실기: 8~9월경
노란 꽃이 잔뜩 달리는 마타리
식물 이름 앞에 ‘금’자가 들어가면 대개 꽃이 노란색인데, 금마타리 역시 꽃이 황색이다. 마타리도 꽃이 노란색이므로 비슷하나, 마타리가 산이나 들에서 잘 자라는 데 비해 금마타리는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또 마타리는 키가 60~150㎝나 되지만 금마타리는 30㎝ 정도로 작은 편이다. 이름이 꼭 외래어 같지만 순우리말이며 몇 가지 설이 있다. 뿌리에서 된장 썩는 냄새가 난다고 해서 똥을 뜻하는 옛날 말 ‘말’에 줄기가 길어 ‘다리’ 같다고 해서 말다리가 되었다가 마타리로 바뀌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 마치 줄기가 말의 다리같이 생겼다고 해서 말다리로 부르다 이것이 마타리로 바뀐 것이라고도 한다. 금마타리는 중부 이북의 고산지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주변에 습기가 많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잘 자란다.
잎은 둥근 형태이지만 5~7개로 갈라져서 마치 손바닥처럼 보이며, 갈라진 부분들도 다시 약하게 갈라진다. 꽃이 필 때까지 뿌리에서 생긴 잎은 그대로 남아 있다. 또 짧은 잎은 모두 깊게 갈라지고 표면에는 털이 많이 나 있으나 잎의 뒷면에는 털이 거의 없다. 6~7월에 원줄기 끝에 종 모양의 꽃이 피며 지름은 약 0.3㎝ 정도이다. 꽃의 안쪽에는 작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열매는 8~9월경에 타원형으로 달리는데, 날개와 같은 포가 있는 것이 독특하다. 마타리과에 속하며, 향마타리라고도 한다. 등산 중에 이상하게 장이 썩는 듯한 악취가 많이 나는 곳이 더러 있는데, 이는 바로 마타리나 금마타리의 뿌리에서 나는 냄새다. 그래서 한방에서는 이 뿌리를 패장(敗醬)이라고 부르며, 약재로 사용한다.
직접 가꾸기
금마타리는 8~9월경에 달리는 종자를 받아서 바로 뿌리거나 습기가 날아가지 않게 하여 냉장고에 보관한 후 이듬해 봄에 뿌리면 된다. 또한 옆에서 나온 개체를 분리하여 화분에 심어 번식시켜도 좋다. 햇살이 적은 낙엽수 아래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으며 물은 2~3일 간격으로 주면 된다. 주변에 바위가 있으면 바위틈에 심고 이끼를 같이 심어 돌이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이 좋다.
가까운 식물들
• 마타리 : 산이나 들에서 자라고 키는 60~150㎝이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노란색 꽃이 핀다.
• 돌마타리 : 산에 자라며, 키는 20~60㎝이다. 잎은 마주나고 깃꼴로 깊게 갈라지는 것이 다른 마타리와 구분된다.[출처: 다음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