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소학산, 노구산
1. 산행지: 소학산(489.1m), 노구산(324.7m)
2. 위치: 경북 고령군 우곡면 대곡리·쌍림면 평지리와
경남 합천군 덕곡면 본곡리, 율원리에 걸쳐 있는 산.
9. 특징:
노구산
노구산의 산지를 구성하는 기반암은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의 진주층이다. 진주층은 하산동층을 정합적으로 덮고 있으며, 이암·셰일·사암이 주를 이루며 부분적으로 역질사암도 나타난다. 진주층에 협재된 엷은 탄질셰일은 본층의 형성 당시의 환경이 배후 습지성 소택지였음을 시사한다. 노구산은 서쪽으로 못전덤-솜등산-너릿골산-시리봉-큰재-지릿재-노태산-만대산-매화재로 이어지고 동쪽으로는 소학산이 연결되어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의 경계를 이루며, 안림천의 남쪽 분수계에 해당된다. 소학산-노구산-범산이 이루는 분수계는 회천으로 유입되는 소하천의 발원지로 중류부에는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대곡지가 축조되어 있는 높이는 324.7m이다. 노구산 동쪽에는 고령군 우곡면 대곡리, 서쪽에는 쌍림면 평지리, 그리고 남쪽에는 경상남도 합천군 덕곡면 본곡리와 율원리가 있다. 쌍림면 평지리의 기미재에서 시작하여 서쪽으로 솜등산-유천령-노구산-소학산-북동나루터를 연결하는 등산로는 도의 경계를 따라 산줄기에 형성되어 있으며, 등산객들의 방문이 많은 곳이다.[출처: 향토문화전자대전]
우리산줄기이야기
가야기맥=수도지맥
백두대간이 남으로 남으로 달려 내려가다 전북 충북 경북의 3개도로 나뉜다 하여 삼도봉이란 이름을 얻은 봉우리에서 계속 남하하여 전북 무주군 무풍면과 경북 김천시 대덕면을 넘나드는 덕산재를 넘어 대덕산을 지나 소사고개로 가는 길목에 또 하나의 삼도봉이 있으니 바로 초점산을 일컫는다. 5만분의1 지형도에는 아무 표시도 없는 지형도 등고선으로 추정하는 1250봉을 말하는데 이 봉우리는 대덕산에서 소사고개로 가다 대덕산과 거의 같은 크기로 우뚝 솟아있다. 바로 전북 경북 경남을 구분짓는다 하여 위의 삼도봉과 구분하기 위해 거창삼도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기서 대간은 서남진하여 소사소개로 내려가다 다른 한줄기를 분기하여 남하하는 산줄기가 있으니 그 경로를 살펴보면
거창삼도봉에서 경북과 경남의 경계능선을 따라 877봉 국사봉어깨 한기마을로 자지러들었다가 백학동마을 901봉에서 우두령재로 내려섰다가 1230봉 무명봉에서 남쪽으로 흰대미산 줄기를 흘리고 경계능선은 동북진하여 1316봉인 수도산으로 오르다가 수도산 서봉에서 북으로 한줄기를 더 내어 도립공원 금오산으로 연결되는 금오지맥을 떨군다. 가야기맥은 동남진하여 1106봉 단지봉 1257봉 좌일곡령 1124봉 999봉 목통령 분계령 두리봉에서 경상남북도 경계능선은 가야산으로 내달리고 기맥은 남진하여 거창군과 합천군의 경계능선으로 들어서며 이 능선의 동쪽이 가야산국립공원내에 속하게 된다. 1094봉 남산 깃대봉 916봉 마령 큰재 의상봉 마장재 비계산 산제치 616봉 산제터널 두무산 두산지음재 오도산에서 거창과 합천의 경계를 벗어나 합천군내로 들어가 묘산면과 봉산면의 면계를 가른다. 1067봉 685봉 547봉 싸리터재 564봉 상두재에서 묘산면과 합천읍의 경계로 들어가 512봉 마령재 434봉 매화재에서 경상남북도 도계를 가른다. 만대산 노태산 지릿재 정골재도로 실봉 장등재 309봉 기미재 솜등산에서 경상남북도 경계를 벗어나 경상남도 내로 들어가 합천군 쌍책면과 덕곡면 면계를 따라간다. 176봉 점촌재 무명봉에서 서쪽으로 기수를 돌려 합천군 쌍책면과 청덕면 면계를 따라 부수봉 필봉에서 청덕면 내로 들어가 235봉 성산 덕원마을 뒷능선 말정 지나 황강과 낙동강이 만나는 곳에서 낙동강 물이 되는 약 105km 정도의 산줄기를 마땅히 부를 이름이 없어 가야산 정상을 거치지 않지만 가야산국립공원 내를 통하고 있어 가야산의 명성을 차용하여 가야기맥이라 이름짓는다
가야소학단맥1
가야기맥이 만대산에서 노태산을 지나 신33번국도 터널을 지나 월미재에서 내려간 구33번국도 지릿재에서 큰재로 넘어가면서 등고선상27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백마산(264, 3.4)-오복골임도(1.4/4.8)-소학산(285.5, 1.4/6.2)-합천군 율곡리 윗말 1034번지방도로(2.8/9)를 지나 1034번지방도로 황강변 영전교(1/10)에서 끝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가야소학단맥2
가야기맥이 907번지방도로 기미재 솜등산으로 올라 고령군 쌍림면, 합천군 쌍책면, 덕곡면의 삼면지점에서 가야기맥은 동남방향으로 흘러가고 한줄기를 북쪽으로 분기하여 285.6봉-3번군도 유천령(190, 1.2)-노구산(324.7, 1.2/2.4)-307.7봉(0.7/3.1)에서 북쪽으로 장뚝산을 떨구고 동진한다. 소학산(489.1, 3.7/6.8)-바람고개-열뫼재-덤밑산(105.3/3.4/10.2) 덕곡면 학리 개산동도로-독산(78.3)-1034번지방도로(1.3/11.5)를 지나 논두렁을 도로따라 가며 22번군도와 만나는 삼거리(0.7/12.2)를 지나 덕곡면사무소 회천이 낙동강을 만나는 곳(0.5/12.7)에서 끝나는 12.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경상북도 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송 장군봉 금은광이, 두수람, 먹구등, (0) | 2018.01.12 |
---|---|
영주 비봉산, 이자산, 원적봉 (0) | 2018.01.10 |
영천 포항 진늪산, 수석봉, 애미산, 일광봉, 숫돌봉 (0) | 2017.11.30 |
구미 연화봉, 향산, 조명산 (0) | 2017.11.24 |
청도 용당산, 시루봉, 비룡산, 중산봉, 호랑산 (0) | 2017.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