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기왕산,명산봉,귀비산,대부산,하지산
남산,옥기산,삼불산,천황산
1. 산행지: 기왕산(105.1m),명산봉(239.9m),귀비산(497.2m),대부산(384.9m),하지산(207.3m),남산(208.1m),옥기산(251.1m),삼불산(255.5m),천황산(394.9m)
2. 위치: 남해군 남면 덕월리 5시간 온라인
8. 산행코스:
아난티 남해cc-cu편의점-남동방향 임도길따라-동릉진입-기왕산(105.1m)-동릉진행-임진성-임도길따라 진행-1024번도로 좌측으로 100m 아래 우측 임도길(동쪽방향)따라 진행-임도길 끝지점 제주고씨대문-동동북릉진입-능선삼거리,우측 명산봉 왕복-명산봉(239.9m)-북서릉 진행-343봉-바위전망대-북릉진행-능선삼거리,우측 귀비산왕복-귀비산(497.2m)-서릉진행-돌탑봉 503m-북서릉진행-암릉길-바위전망대-449.8봉-북서릉진행-393.5m,삼각점-북북서릉진행-임도길(대부산 왕복)건너-북북서릉진행-대부산(384.9m)-임도길로 다시 내려서서-남쪽방향 임도길 진행-임도길 철문에서 우측 서서북릉진입-하지산(207.3m)-서쪽방향 임도길 진행-고실치고개-서면,입석뒤 임도길 서쪽방향 진행-임도삼거리 우측으로 남산 왕복-북릉진행-안부,우측 묘방향 진행-북동방향 능선 진행,등로없음 잡목 가시풀-남산(208.1m)-임도삼거리로 돌아와서-서쪽방향 임도길 따라 진행-임도삼거리-좌측 남쪽방향 진행-임도오거리 광장,옥기산 왕복-북릉진입-등로없음,잡목 가시풀길 진행-옥기산(251.1m)-오거리 광장으로 돌아와서-임도길 우측 남릉진입-등로없음,잡목,가시풀 넝쿨-삼불산(255.5m)-동릉진행-등로없음,가시풀 심함- 255.6봉 능선삼거리-남서릉진행-너덜겅-천황산(394.9m)삼각점-남동릉진행-돌탑-덕월체험장-덕월마을입구-cu편의점
9. 특징:
임진성[壬辰城]
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상가리 291번지
임진성(壬辰城)은 임진년인 1592년에 축성했다하여 ‘임진성’이라 부른다. 이 성은 임진왜란 때 일본군을 막기 위해 군 · 관 · 민이 힘을 합쳐 쌓았기에 ‘민보산성(民堡山城)’이라 부르기도 한다. 나라를 지키기 위해 군인과 주민 모두가 나선 단결의 정신이 면면히 살아 있는 산성이다. 임진성은 자연석과 마석을 이용하여 남면 상가리 일대 해발 80m 지점인 옥포만 인접 구릉에 작은 규모의 타원형으로 축성되었다. 평산진성과 마주 보고 있는 임진성은 일본군의 침공에 대비해 지었으나 이곳에서 일본군과의 직접적인 전투는 없었다. 현존하는 성벽의 남쪽 동문 터와 서문 터 사이의 173m는 근년 보수 공사를 마쳤다. 임진성은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20호로 지정되었다.
축성 동기
옛날에는 임진성과 평산진성 사이의 작은 포구(浦口)를 옥포라고 불렀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출전하여 일본군을 무찔러 승리를 거둔 장소인 거제도 옥포와 남해의 옥포가 지명이 동일하므로 패배한 일본군이 옥포로 쳐들어온다는 소문이 퍼지자 남해에서는 이곳으로 쳐들어오는 줄 알고 1592년에 군 · 관 · 민이 서둘러 단시일에 축성했다.
'경상남도 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령 안산, 갓동산, 제물산, 골안산, 큰산, 수월산 (0) | 2018.11.21 |
---|---|
거창 두리봉, 남산, 난석산, (0) | 2018.11.13 |
함양 창암산 (0) | 2018.07.27 |
함양 와불산 (0) | 2018.07.27 |
산청 구곡산 (0) | 2018.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