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지도

음성 마이산, 방아골산

꼴통 도요새 2019. 1. 3. 14:39

음성 마이산, 방아골산

1. 산행지: 마이산(馬耳山, 망이산(望夷山 472m), 방아골산(321.5m) 

2. 위치: 충북 음성군 삼성면 대사리

8. 산행코스: 문수사→215.2봉→방아골산(321.5m)→마이산(472.5m)→325.7봉(삼각점봉)→대지리→문수사

9. 특징:


마이산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와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금산리, 이천시 율면 산양리 등에 걸쳐 있는 음성군의 명산이다. 조선 후기 고문헌에서 마이산은 충주현 서쪽 백 여리 떨어진 지점에 있고 산 정상에는 마이산 봉수대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외적을 망보는 산이라는 의미에서 붙어진 이름으로 망이산(望夷山)이 마이산(馬耳山, 馬夷山)으로 변한 것이고 일명 매산이라고도 부르고 있다. 마이산[472m] 서쪽의 음성군 삼성면과 경기도 안성시 이죽면과의 경계에는 황색골산이 있고 그 부근에는 죽림산[345m]이 있다. 마이산 남서쪽의 삼성면 양덕리에는 죽절골앞산이 있다. 이들 산지의 동사면에서 흘러내린 물은 삼성면의 양대저수지와 마이제에 유입되어 하류의 덕정리 일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음성 망이산성은 1980년도 단국대학교 학술조사단에 의하여 발굴된 것으로 삼국시대에 축성된 것으로 보인다. 음성 망이산성에는 마이산 정상을 중심으로 축성된 내성이 있고 이곳에서 북쪽으로 약 3주위에 돌려 쌓은 성곽이 외성인 것으로 보고 있다. 정상부에는 조선시대 봉수대가 있다. 마이산 남쪽 아래에 있는 양덕리는 광해군 때의 권신이었던 이이첨이 성장한 곳이라고 전한다. 마이산과 서쪽의 황색골산 사이에는 차현고개가 있어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와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화봉리를 연결하고 있고, 남북으로 관통하는 국도와 지방도가 지나고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한남금북정맥

백두대간이 백두산에서 줄기차게 남으로 뻗어오다 중원의 백미인 조령산 대야산 속리산을 빚으며 그 마지막 봉우리인 속리산 천황봉에서 멈칫멈칫하다 대간은 그대로 남으로 흘려보내고 충청북도를 북서로 달리는 산줄기를 하나 더 만들어 시종 일관 달리다가 경기도로 훌쩍 넘어가 안성 칠장산에서 금북정맥 한남정맥 두 줄기를 만들어 금강의 북쪽 울타리와 한강의 남쪽 울타리로 삼고 한남금북정맥은 그 소임을 다하고 흐름을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에게 인계하고 멈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