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 팔성산, 임오산, 매재봉
1. 산행지: 임오산(林烏山, 339.3m)-팔성산(八星山, 381.8m)-매재봉(212m)
2. 위치: 충북 음성군 생극면 팔성리
6. 소요시간: 5시간
7. 들머리/ 날머리: 무명교 삼거리[원점회귀]
8. 산행코스: 무명교 삼거리→벧엘농장 표석→부처골 공원묘원→도계능선→임오산 정상→노란터고개→354.9m 봉→팔성산 정상→임도 사거리→매재봉 정상→월영농장→무명교 삼거리
9. 특징:
팔성산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리에 있는 산이며, 팔성산은 임진왜란 때 향토 방위를 위해 인근 주민들이 쌓은 성이 있는 곳으로 8회를 싸워서 8회 모두 승리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팔승산(八勝山)이 팔성산(八星山)으로 변한 것이다. 팔성산의 서쪽에는 밭지부대(밧지분내)와 절골 등의 골짜기가 있고 북쪽에는 일산바위골 골짜기가 있는데 여기에 일산바위가 있다. 팔성산과 북쪽의 임오산[328m] 사이에는 된고개와 노린터고개 등의 고개가 있다. 된고개는 생극면 임곡리에서 이천시 율면 석산리로 넘어가는 고개이고 노린터고개는 임곡리에서 이천시 율면 오성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팔성산의 각 능선과 산복 지대에는 소나무 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팔성산에 있는 팔성산성은 테뫼식 말 안장형 산성으로 지금은 둘레 약 500m, 높이 1m, 두께 1.3m 정도의 토축 흔적만 남아 있다. 팔성산 남단의 관성리 관말에는 관말소류지, 배내미방죽, 관성저수지 등이 있다.
임오산
경기도 이천시의 남쪽에 위치한 산이다(고도:339m). 율면과 음성군 생극면에 걸쳐 있다. 산의 모양새가 까마귀가 송장을 파먹는 형상이라 하여 '까마귀 오(烏)'자를 써서 임오산(林烏山)이라 불렀다는 설이 있고 또 산중에 임오탁시형(林烏琢尸形)의 명당처가 있기 때문에 그렇게 불렸다는 이야기가 있다. 임오산(林梧山)이라는 다른 한자 표기도 있는데 전해지는 이야기로 자다보니 어느새 이곳에 와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임오산을 중심으로 월포리와 총곡리 마을이 형성되어 있고 고당리까지 산세가 펼쳐져 있는데. 고당리에는 이 마을에서 3~4대까지 오래 살며 재산을 모으면 모아 둔 재산을 모두 잃는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이는 풍수상 행주형(行舟形)의 형국과 관련된 것이다. 즉, 임오산 자락에 매어 있는 고당리는 청미천을 따라 막 떠나가려 하는 배의 형국이기 때문에 배에 짐을 많이 실으면 가라앉는다는 풍수적 소응이 구전으로 전해지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고당리에서는 임오산 옹달샘에서 산신제를 지내기도 한다고 한다.[출처/ 한국지명유래집]
우리산줄기이야기
한남금북임오단맥
한남금북정맥 제수리지고개 북동측 0.7km 지점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禹登산(262.4, 0.7)-마날미고개(150, 1/1.7)-새말고개(150, 0.7/2.4)-마날봉(227, 0.7/3.1)-△161.3m지점(0.6/3.7)-10번군도 화일마을 고개 도로 삼거리(130, 0.1/3.8)-306번지방도로 관말마을 고개 도로(130, 1.2/5)-도계능선(290, 1.1/6.1)-八星산(△378)어깨(370, 0.3/6.4)-조족봉???(350, 1.1/7.5)-된고개(230, 1.3/8.8)-노단터고개 도로(130, 0.9/9.7)-林烏산(△341, 0.7/10.4)-264.5봉(0.9/11.3)-도투미산(154, 1.2/12.5)-7번군도(70, 0.5/13)로 내려와 도리미들판을 가로질러 소속리산(부용산)이 발원지인 응천이 청미천을 만나는 곳(70, 0.6/13.6)에서 끝나는 약13.6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
'충청북도 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산 우라실산, 들봉, 왕봉, 부친당산, 소사봉 (0) | 2019.07.29 |
---|---|
음성 소속리산, 보현산, 함박산 (0) | 2019.07.26 |
옥천 국사봉, 명지봉, 도덕봉, 성치산, 말동산 (0) | 2019.05.21 |
옥천 하마산, 여수울산, 큰달음산, 매봉, 국사봉 (0) | 2019.05.14 |
옥천 삼성산, 용봉산, 마성산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