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지도

보은 오정산과 삼년산성

꼴통 도요새 2020. 1. 2. 16:50

보은 오정산과 삼년산성

 

1. 산행지: 오정산(326.2m)

2. 위치: 충북 보은군 보은읍 성주1104/ (지번)주소: 보은읍 어암리 산 1-1 (지번)

 

6. 이동거리 및 소요시간: 소요시간 2시간/ 이동거리 약 3.7 km]

7. 들머리/ 날머리: 보은 농경문화관

8. 산행코스: 보은 농경문화관고분군팔각정북문서문(암각지)남문오정산 정상동문전망데크북문산림욕길농경문화원

등산로 상태: 전체 A급으로 이정표가 잘 되어 있음

9. 특징:

삼년산성[三年山城]

사적 제235

삼국사기에는 성을 쌓는데 3년이 걸렸기 때문에 삼년산성이라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고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오항산성으로,신증동국여지승람,충청도읍지에는 오정산성으로 기록되어 있다. 둘레 1.68. 사적 제235. 오정산의 능선을 따라 세 봉우리와 서쪽 골짜기를 잇는 포곡식 산성을 이루고 있으며, 산은 높지 않지만 꼭대기에서 바라보면 평야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470(자비왕 13)에 축조했는데, 성벽은 납작한 판돌로 한 켜는 가로로 놓고 다음 한 켜는 세로로 놓아 우물 정()자처럼 엇물려 쌓았다. 특히 기초를 견고히 하여 하중을 잘 견딜 수 있게 했으며, 성벽이 높은 곳은 13m에 달한다. 동서쪽 성벽은 바깥쪽에 돌을 쌓고 안쪽에 흙으로 다진 내탁외축(內托外築) 방식이며, 남북쪽은 안팎에 돌을 쌓고 그 안에 돌을 채운 내외협축(內外夾築) 방식이다. 성문터는 동서남북 4곳에 있으며, 서문터에는 너비 165간격의 홈이 패어 있어 큰 수레가 다녔던 것으로 보인다. 7개소의 옹성은 대개 둘레가 25m, 높이 8.3m로서 지형상 적의 접근이 쉬운 능선과 연결되는 부분에 축조했다. 수구는 서쪽 성문 옆 계곡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오각형의 수문이 동쪽 성벽에 남아 있다. 우물터는 5개소가 있었는데, 그중 아미지(蛾眉池)라는 곳이 유명하다. 이 산성에서는 삼국시대 이후 고려·조선 시대에 걸친 기와·토기 등의 유물이 발견되어 조선시대까지 줄곧 이용되었음을 증명해준다.[출처/ 다음백과]

우리산줄기이야기

삼년산은 보은읍터미널에서 쳐다보이는 산이 삼년산성으로 [한남금북]오봉(탄부)단맥에서 분기한 여맥상의 산이다[출처/ 다음카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