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세종시 복두산, 유모산, 듬배산, 노고봉, 화봉산

꼴통 도요새 2021. 3. 23. 12:03
반응형

세종시 복두산, 유모산, 듬배산, 노고봉, 화봉산

1. 산행지: 복두산(281.5m), 유모산(341.5m), 듬배산(279.6m), 노고봉(305.5m), 화봉산(251.1m)

2. 위치: 충남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충북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3. 일씨: 2021년 3월 21일(일)

4. 날씨: 흐림고 옅은 박무

5. 누구랑: 강일형님과

6. 이동거리 및 소요시간: 12.16km/ 5시간 45분

7. 들머리/ 날머리:

8. 산행코스:

9. 특징:

복두산성(幞頭山城)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 복두산(해발 281m)의 정상부에 돌을 쌓아 만든 성으로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산막리와 걸쳐 있다. 복두산성이 자리하고 있는 복두산 정상에서 서쪽으로 약 1.1km 떨어진 곳에 성재산성(세종특별자치시 향토문화유산 제56호)이 있으며, 남동쪽으로 약 2.4km 지점에는 노고봉산성과 애기바위산성(老姑峰山城과 애기바위山城, 세종특별자치시 향토문화유산 제59호)이 있는 노고봉(해발 305m)이 보인다. 복두산성은 북서-남동 방향의 능선을 따라 평평한 정상부를 감싸고 있는 내성(內城)과 그 외부를 두르고 있는 외성(外城)으로 이루어져 있다. 성벽은 가공된 돌을 이용하여 수평눈금을 맞춰가며 쌓은 후 돌과 돌의 틈새에는 쐐기돌을 박았으며, 외성의 일부는 흙으로 쌓았다. 복두산성의 둘레는 내성 130m, 외성 635m로 모두 765m라 보고된 바 있으나 북쪽 능선의 외성까지 더하면 1km가 넘는다. 산성의 문(門)은 동쪽과 북쪽, 남쪽에 1곳씩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복두산성의 내부와 인근에서는 4∼5세기경 삼국시대의 토기조각들과 통일신라시대 때 사용되던 것으로 보이는 토기의 부분들이 수습(收拾)되고 있어 성을 쌓고 사용하던 시기를 짐작하게 한다.

독안산성(南二 독안山城)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 부용 외천리와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에 걸쳐 있는 삼국시대의 석축산성이다. 2017년 3월 17일 청주시의 향토유적 제30호로 지정되었다. 유모산에 있다.

노고봉산성(老姑峰山城)

세종시 부강면 등곡리와 문곡리 경계의 노고봉(해발 306m)에 위치하고 있으며, 애기바위산성은 노고봉으로부터 남서쪽으로 약 370m 떨어진 정상부(해발 291m)에 있는데, 두 성 모두 산 정상부에 돌을 쌓아 만든 성이다. 노고봉산성이 자리하고 있는 노고봉 정상에서 남쪽으로 약 1.4km 떨어진 곳에 화봉산성(華峰山城, 세종특별자치시 향토문화유산 제58호)이 있으며, 약 2.4km 북서쪽에는 복두산성(幞頭山城, 세종특별자치시 향토문화유산 제57호)이 있다. 노고봉산성은 둘레 194m의 소규모 산성이지만 인근지역에 밀집되어 있는 산성 중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주변지역을 살피기 좋으며, 성에 이르는 길이 험해 적군이 공격하기 어려운 전략적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다. 노고봉산성은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은 지형에 동-서 방향의 능선을 따라 만들어져 동-서 방향 길이가 약 70m, 남-북 방향 길이가 약 42m이며, 성의 서쪽이 좁고 동쪽은 넓은 형태이다. 지형적으로 접근이 어려운 북쪽성벽은 가공된 돌을 수평눈금으로 맞추어서 쌓았으나 남쪽 성벽의 경우 큰 돌을 깬 후 깍지 않고 불규칙하게 쌓은 모습으로 본래 북쪽 성벽과 같은 형태로 쌓았으나 적군의 공격으로 무너지자 급하게 다시 만든 것으로 보인다. 애기바위산성은 동-서 방향의 능선에 남-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자연암반을 이용해 만든 성으로 지세가 험해 방어하기 좋은 곳에 자리하고 있으며, 서쪽으로 약 1.45km 떨어진 곳에 성산성(城山城, 세종특별자치시 향토문화유산 제54호)을 내려 보고 있다. 애기바위산성의 성벽 둘레는 약 124m로 가공된 돌을 수평눈금으로 맞추어 만들었으며, 일부분은 성벽의 바깥쪽에 한 겹을 더 쌓은 곳도 있다. 적군을 방어하기 용이하도록 만든 평탄지(平坦)地)와 해자(垓字)를 성벽 아래에 만든 것이 관찰된다. 노고봉산성과 애기바위산성 두 곳 모두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토기의 부분들이 수습(收拾)되고 있어 성을 쌓고 사용하던 시기를 짐작하게 한다.

화봉산성(華峰山城)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노호리 화봉산(해발 252m)의 정상부에 돌과 흙을 쌓아 만든 성이다. 화봉산성이 자리하고 있는 화봉산 정상에서 북쪽으로 약 1.4km 떨어진 곳에 노고봉산성과 애기바위산성(老姑峰山城과 애기바위山城, 세종특별자치시 향토문화유산 제59호)이 위치한 노고봉(해발 305m)이 있으며, 약 2km 북서쪽에는 성산성(城山城, 세종특별자치시 향토문화유산 제54호)이 있다. 화봉산성은 화봉산의 정상부와 남쪽 계곡을 포함한 산성(包谷式)으로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은 지형을 따라 만듦으로써 산성의 북쪽은 좁고 남쪽은 넓게 퍼지는 형태이다. 성벽의 전체 둘레는 약 950m이며, 북쪽과 동쪽, 서쪽 성벽은 안과 밖을 모두 흙으로 쌓았고 남쪽 성벽은 돌로 쌓은 부분이 일부 남아있다. 화봉산성의 내부 남쪽에는 묘고사(妙高寺)라는 절이 있던 자리가 있는데 이 부근에서 8~10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토기의 부분들이 수습(收拾)되고 있어 성을 쌓고 사용하던 시기를 짐작하게 한다.[출처/ 위키백과]

우리산줄기이야기

한남금북팔봉노고단맥

한남금북팔봉지맥이 한남금북정맥에서 분기하여 흐르며 용덕산을 지나 덕고개에서 올라간 八峰산(290) 정상 남측 0.3km 지점 등고선상29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594번지방도로 삼포아파트고개(150,1.1)-장뜰고개(170,0.8/1.9)-큰말티고개(150,0.4/2.3)-씨골고개(170,2.3/4.6)-유모정고개(270,1.7/6.3)-유모산(330,0.6/6.9)-96번국지도 수레넘어고개(130,1.2/8.1)-꽃동네대학교 저목골십자안부 도로(150.1.6/9.7)-老姑봉(△305.1,0.7/10.4)-경부선 부강터널 591번지방도로(90,1.8/12.2)-장고개(70,2.6/14.8)를 지나 세종시 부강면 금호리 평뜸마을 금강변(50,1.2/16)에서 끝나는 약1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또는 노고봉에서 0.3km정도 내려간 등고선상290m지점 거대암봉(10.7)에서 위 산줄기는 우측 서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이고 다른 한줄기가 좌측 남쪽으로 흘러 애기바위산성(봉화대,290)-치재고개 도로(110,1/11.7)-화봉산성(250,0.4/12.1)-등골도로(110,0.7/12.8)-가루개고개도로(90,0.3/13.1)-△57.1m지점(0.7/13.8)-591번지방도로 시목교 사거리(50,0.2/14)-경부선철로(50,0.2/14.2)를 지나 세종시 부강면 노호리 말미개마을 외천천이 금강을 만나는 곳(50,0.4/14.6)에서 끝나는 약14.6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