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임청각(安東 臨淸閣), 법흥사지 칠층전탑, 예움터마을
탐방일시: 2025년 2월 22일(토)
임청각(臨淸閣)
위치: 경북 안동시 임청각길 53 (법흥동)
형조좌랑(刑曹佐郞)을 지낸 바 있는 이명이 1515년(중종 10)에 건립한 주택이며, 상해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의 집이기도 하다. 이 집은 영남산(映南山) 동쪽 기슭에 앉아 낙동강을 바라보는 배산임수한 명당에 남향하여 자리 잡고 있다. 중앙선 철도부설 때 50여간의 행랑채와 부속 채가 철거되어 현재의 규모로 줄어들기는 하였으나, 길에서 보면 맞담 너머로 보이는 웅장한 모습의 행랑채가 이 집이 소위 말하는 99간 집이라는 것을 느끼게 해준다. 이 중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보물로 지정된 군자정은 임청각의 별당으로 조선 중기에 지은 ‘丁’자 평면의 누각형 건물이다.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이고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중심은 남향의 대청이고, 그 서쪽에 이어서 지은 T자형의 온돌방이 부설되어 있다. 내부는 4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 둘레에는 툇마루를 돌려서 난간을 세웠으며, 출입은 두 군데에 마련해 놓은 돌층계를 이용하게 되어 있다.
법흥사지 칠층전탑
위치: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 8-1
전탑(塼塔)이란 흙으로 만든 벽돌을 이용하여 쌓아 올린 탑을 말한다. 법흥동에 세워져 있는 이 탑은 남북국 시대에 창건된 법흥사에 속해있던 탑으로 추정되고 있다. 탑은 1단의 기단(基壇)위로 7층의 탑신(塔身)을 착실히 쌓아올린 모습이다. 기단의 각 면에는 화강암으로 조각된 8부중상(八部衆像)과 사천왕상(四天王像)을 세워놓았고, 기단 남쪽 면에는 계단을 설치하여 1층 몸돌에 만들어진 감실(龕室:불상을 모시는 방)을 향하도록 하였다. 진한 회색의 무늬없는 벽돌로 쌓아 올린 탑신은 1층 몸돌에 감실을 마련하였고, 지붕돌은 위아래 모두 계단모양의 층단을 이루는 일반적인 전탑양식과는 달리, 윗면에 남아 있는 흔적으로 보아 기와를 얹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제강점기에 보수를 한다는 명목하에 기단의 윗면을 시멘트로 발라 놓아 아쉬움을 남기는 이 탑은 7층이나 되는 높은 층수에 높이 17m, 기단너비 7.75m의 거대한 탑임에도 매우 안정된 자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국내에 남아있는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에 속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중앙선 철도가 탑의 바로 전면을 통과하여 탑에 심각한 손상을 입히고 있으며 현재 해당 철도는 시 외곽으로 이설이 추진되어 탑 보존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예움터마을 + 동산서원
위치: 경북 안동시 민속촌길 190
경북 안동의 예움터마을과 이육사문학관이 문체부와 한국관광공사 주관 '2025 열린관광지 조성사업' 공모에 선정돼,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관광지로 새롭게 탈바꿈한다.
안동시가 지난 해 월영교와 선성현문화단지 일원에 이어, 2년 연속 선정된 열린관광지 조성사업은 장애인, 노약자 등 누구나 제약 없이 관광할 수 있는 무장애 관광환경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전국 35개 지자체에서 총 86개 관광지가 신청해 역대 최대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 2016년 개관한 예움터마을은 조선시대 전통 건축물들을 활용한 고품격 고택숙박시설로, 전통 건축물의 미와 현대적 서비스, 콘텐츠가 결합된 독특한 공간이다. 이육사문학관은 탄신 100주년을 맞아, 지난 2004년 이육사의 고향인 경북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에 설립됐으며, 그의 독립정신과 업적을 알리고 있다. 이번 선정으로 예움터 마을은 보행로 개선 및 무장애 특화 고급 객실 리모델링 등 인프라를 개선하고, 황토길 맨발체험 프로그램과 전통문화 체험콘텐츠 개발사업을 추진한다. 이육사 문학관에서는 장애인 주차장 정비 및 무장애 특화 객실 리모델링 등과 함께, 청포도사생대회와 연계한 문학 읽어주기 해설 프로그램과 어울림 문화예술학교 등 참여형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관광거점도시 안동의 숨겨진 매력을 소외 계층 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도록 만들겠다. 앞으로 안동을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열린관광지로 조성하겠다"고 전했다.
동산서원
'볼거리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감포주상절리, 골굴사 (0) | 2025.02.07 |
---|---|
완도군해조류센터 (1) | 2025.02.01 |
오랜만에 나간 명동 거리 (2) | 2024.12.02 |
무흘구곡(武屹九曲) (4) | 2024.11.19 |
박달재[朴達─] (0) | 2024.08.04 |